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학(實學)과 실학파(實學派) 문학의 쟁점과 방향 (Issues and Directions in the Literature of the Silhak and Silhak Schoo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24.09
30P 미리보기
실학(實學)과 실학파(實學派) 문학의 쟁점과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100호 / 231 ~ 260페이지
    · 저자명 : 박수밀

    초록

    지금의 실학(實學)은 역사적 실체라는 입장과 근대가 기획한 상상의 허구라는 시선을 동시에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실학과 실학파 문학을 둘러싼 논의를 점검해 봄으로써 실학의 방향성을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실학이란 개념은 조선 후기 특정 시기에만 사용되던 용어가 아니라 유학에서 사용하던 보편적인 개념어이다. 하지만 실학 개념의 불완전성에도 불구하고 조선 후기의 새로운 문제의식과 시대 정신을 담을 그릇으로써 실학이란 개념은 유효하다고 보았다. 20세기 이후 실학의 근대 지향과 민족주의 정신이 비판받아 왔으나 초기 실학 연구자들이 실학에서 근대 지향성과 민족주의를 찾아내려 한 노력은 그 시대에선 최선의 학문적 성과였다. 나아가 과거의 실학 담론을 넘어 지금 여기에서 실학을 바라보는 태도와 방향성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먼저, 실학과 다른 사상과의 관계를 바라볼 때 이분법적 모순율보다는 대대(對待)의 논리로 바라볼 것을 제안하였다. 대대의 논리는 서로 반대되고 모순되는 것이 서로 의존하면서 함께 발전하는 상반상성(相反相成)의 관계이다. 선현들은 이분법적 모순을 지양하는 데서 대립을 풀지 않고 대대의 논리에서 변화와 발전을 도모하였다. 따라서 동양 고전의 사상인 실학과 성리학과의 관계, 실학의 근대성 문제도 대대의 논리로 풀어가야 한다. 또한 실학의 형성과 전개에는 내․외적으로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요소들이 관계되어 있으므로 내재적 발전론에서 벗어나 외부와의 적극적 교섭과 소통에 주목할 것을 제안하였다.
    실학파 문학과 관련해서는 문학의 본질에 초점을 두어 실학과 문학의 관계를 생각해 보고 실학파 문학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학자의 문학에서 문학의 고유한 특성인 미적 특질이나 형상화 수법을 찾아내어 실학파 문학의 함의를 풍부하고 다채롭게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문학에서의 실학적 탐구는 성리학적 도(道)와 실학적 진(眞)과의 차이를 구별해줌으로써 실학과 실학파 문학의 특성을 더욱 분명하게 보여줄 수 있다.

    영어초록

    Currently, the field of silhak(Practical Learning, 實學) is viewed both as a historical reality and as an imaginative fiction shaped by moderni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the debates surrounding silhak and Silhak School literature to reconsider the direction of silhak.
    The concept of silhak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perio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is a universal concept within Confucianism. Despite its conceptual incompleteness, silhak was a valid framework for addressing the emerging concerns and spirit of the tim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lthough the modern orientation and nationalist spirit of silhak have faced criticism since the 20th century, the efforts of early researchers to identify these elements were among the best academic achievements of their time.
    This paper also reflects on how we should approach silhak today, moving beyond past discourses.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ilhak and other schools of thought, I propose adopting the logic of mutuality(對待) rather than binary opposition. This logic suggests that contradictions and opposites can coexist and develop together in a complementary manner(相反相成). The sages did not resolve contradictions by avoiding binary thinking but instead sought growth and transformation through the logic of mutuality.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ilhak and Neo-Confucianism, as well as the issue of silhak's modernity, should also be examined through this lens.
    Furthermore, sinc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ilhak involved complex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 suggest moving beyond an internalist perspective to emphasize activ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external influences.
    Regarding Silhak School literature, this paper explores the intrinsic nature of literature to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silhak and to consider its direction. It is suggested that identifying the aesthetic qualities and expressive techniques unique to silhak scholars' writings can enrich and diversify the implications of Silhak School literature. Such exploration can also help clarify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Neo-Confucian concept of Dao(道) and the practical notion of Truth(眞), further illuminat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silhak and Silhak School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