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태준의 <화관> 연구 (Body and Love in a Popular Novel; An Essay on Yi Tae-jun(이태준)'s The Wreath(화관))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04.09
26P 미리보기
이태준의 &lt;화관&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23호 / 291 ~ 316페이지
    · 저자명 : 최현희

    초록

    이 논문은 통속소설로 유형화되는 이태준의 장편소설들 중 <화관>을 대상으로 하여 ‘통속성’의 의미를 재점검해 보고, 이태준 장편소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려는 의도하에 쓰여졌다. 이러한 문제 의식은 기존의 이태준 연구사가 단편소설과 장편소설 사이에 놓여 있는 심연을 메꾸는 데 성공하지 못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간취한 데서 출발하였다. 기존 연구의 이러한 결락을 상쇄하기 위하여 본고는 이태준의 작가 의식의 변모 과정보다는 무의식적 욕망의 발현 양상을 추적해야 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위해 정신분석학의 이론적 전제들을 수용하여, 정신이 아닌 육체를 키워드로 설정하여 그것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랑이라는 욕망의 동력학을 구명하는 방향으로 연구의 시각을 설정하였다. 이 때 사랑의 근대적인 발현 양상을 고려함으로써 정신분석학적 방법론이 빠질 수 있는 탈역사화의 함정을 피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입지에서 출발한 본고는, <화관>에서 발견되는 연애의 서사는 사랑의 전복적인 동력을 억압하고자 하는 작가의 무의식적 욕망에 의해 좌절될 수밖에 없도록 선규정되어 있음을 밝혀내었다. 작품의 전반부에서 돌출하는 사랑과 그 욕망의 본능적인 대상으로서의 육체는, 후반부에 이르러 정당한 서사적 매개항 없이 ‘정신적’인 것으로 승화되어 버리는데, 이 과정에서 가부장적 욕망이 전적으로 긍정되고 있다. 이러한 작품의 구조는 그 서사를 주조해내고 있는 작가의 무의식적 욕망을 읽어낼 수 있는 음화(陰畵)로서 재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화관>은 근대를 규정짓는 부르주아 계층의 내면에서 작동하는 욕망을 적확하게 포착한 작품이면서, 동시에 그것을 은연중에 긍정하는 작가의 무의식이 숨겨진 작품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서사 구조를 통속소설의 본질로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제안으로 마무리되고 있다. 이 논의의 틀은 이태준 소설 전체와 통속소설의 의의를 재조명하는 새로운 관점으로 전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essay attempts to redefine the concept of popularity of a novel through analyzing Yi Tae-jun(이태준)'s The Wreath(화관) placed under the category, popular novel, and find a new way to interpret Yi's whole works. The intention of this study started from recognizing the failures of former studies on his works to explain critical differences between Yi's short stories and novels. To avoid this kind of defect and explain Yi's works thoroughly, I assumed that examining the author's unconscious desire could be the better method than focusing on the writer's conscious intention. On the grounds of psychoanalysis I took the body as my keyword of this study, and I tried to illuminate the dynamics of love structured around the body.
    Consequently, I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 love in this work was destined to be failed by the author's unconscious desire to repress the subversive power of love. The love and its instinctive object and origin of body described and narrated in detailed way in the first half of the work are sublimed and twisted without decent process in the second half. In this mechanism of sublimation, the bourgeoisie's internal desires apparently emerge. This narrative structure can be interpreted in a negative film which shows the author's unconscious desire. In this sense The Wreath can be defined as a novel which precisely catches the truth about the internal desires of bourgeoisie whose characteristics is connected to the heart of modernity, and also is the key to the author's unconscious desire to justify bourgeoisie's internality. This essay is concluded with the suggestion that narrative structure found in this work be thought as the nature of a popular novel and be used in finding new ways to reveal the key character of Yi Tae-jun's whole literary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