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급인의 착오로 인한 자금이체의 효력 - 착오이체의 법률관계에 관한 판례법리의 전개 - (The Effect of Electronic Funds Transfer by Mistake of Payer - A Study on the Legal Theory of Supreme Court -)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8
48P 미리보기
지급인의 착오로 인한 자금이체의 효력 - 착오이체의 법률관계에 관한 판례법리의 전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사법 / 20권 / 3호 / 711 ~ 758페이지
    · 저자명 : 서희석

    초록

    전자자금이체는 은행에 계좌를 가지고 있는 자(지급인)가 그 은행 또는 다른 은행에 계좌를 가지고 있는 자(수취인)에게 은행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금을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신속하고 안전하게 자금을 이동시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전자적 방법에 의해 순식간에 이체정보가 이동하기 때문에 입력실수 등에 의하여 애초에 의도하지 않았던 자금이체(착오이체)가 일어날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인터넷의 발달로개인이나 단체가 컴퓨터 등으로 전자자금이체를 실현하는 예가 증가하면서 착오이체를 둘러싼 대법원의 판결도 급증하고 있다. 착오이체의 유형에는 그 주체에 따라 지급인이 착오이체를 하는 경우와 은행이 착오이체를 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고, 각각 수취인을 잘못 지정하는경우와 금액을 잘못 지정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현재까지 대법원판결의 압도적인 다수는 지급인이 수취인을 잘못 지정하여 일어나는 착오이체의 유형이다. 본고의 목적은 2004년 이래2012년까지 거의 매년 하나씩 등장하고 있는 “지급인에 의한 수취인착오로 인한 자금이체”에 관한 대법원판결을 분석하여 이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있다. 검토의결과 대법원의 판례법리는 “지급인이 원인관계없는 수취인에게 착오로 자금이체를 한 경우에도 수취인은 수취은행에 예금채권을 취득한다”는 법리를 중심축으로 하여 형성되고 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수취인이 예금채권을 유효하게 취득하기 때문에, 수취은행이 수취인에 대한 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하고 수취인이 착오로 취득한 예금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여 상계하는 것도 허용되며, 수취인의 채권자에 의한 수취인 예금채권의 압류 내지 강제집행도 허용된다. 다만 지급인은 법률상 원인없이 이익을 얻은 수취인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취득하게 되는바 이를 통하여 착오이체로 인한 손해를 전보받아야 한다. 그러나 수취인이 도산하여 예금계좌가 지급정지된 경우나 수취은행이 상계를 함으로써 무자력상태인 경우, 수취인의채권자가 수취인의 예금채권을 압류한 경우 등에는 현실적으로 착오이체금을 반환받을 방법이 없기 때문에 착오이체자의 보호문제가 등장하게 된다. 짧은 기간 안에 착오이체를 둘러싼대법원 판례가 쏟아져 나온 것은 착오이체 사안이 대단히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은행실무를통한 해결에 납득하지 못하는 착오이체자(지급인)가 소송을 통하여 구제받고자 하는 경우가그만큼 많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그 결과는 대부분 원고측 패소로 귀착되었다. 착오에 의해 이체를 하였으므로 그 불이익을 스스로 부담하여야 한다는 규범적 평가는 타당한 것이지만, 착오이체자의 손해로 생긴 다른 이해당사자들(수취인, 수취은행, 수취인의 채권자)의 ‘불로소득’을 정당하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인지 의문이 없지 않다는 점에서 착오이체자의 보호문제에대하여 고민할 시점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향후 착오이체자 보호를 위한 논의들이 진행되기를기대해본다.

    영어초록

    Electronic funds transfer (hereinafter the “EFT”) refers to shift of funds via system of bank from a party (a payer) having an account at a bank to another party (a payee) having an account in the bank or in other bank. While this has a merit of shifting the funds quickly and safely, there is a problem of an ever-present possibility that unintended transfer of funds (mistaken transfer), caused by input mistake for example, may take place because information of the transfer is electronically shifted in an instant. With growing number of cases where individuals or companies fulfill the EFT through computers along with the advance of the internet in Korea, the number of rulings made by the Supreme Court has been also rapidly increasing. The mistaken transfer is to be classified into (1) one made by payers and (2) another made by banks according to who is the subject of the act, and each includes (a) a case when they incorrectly designate a payee and (b) a case when they incorrectly enter the amount of funds.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Supreme Court cases to date belong to a type of mistaken transfer when a payer incorrectly designate a paye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ccomplish the work of theoretical systemization based on analysis of the Supreme Court cases related to “funds transfer made by a payer due to his mistake concerning payee”, each of which is filed almost every year from 2004 through 2012. It was able to ascertain, as a result of the review, that the judicial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have been formed around a legal principle that “the payee obtains deposit claim from a recipient bank even in case a payer made the transfer of funds by mistake to an illegitimate payee.” Because the payee legitimately obtains the deposit claim, a set-off is allowed in which the claim of the recipient bank against the payee constitutes an active claim and the deposit claim of the payee acquired by the payer’s mistake constitutes a passive claim, and seizure and compulsory execution of the payee’s deposit claim by a creditor of the payee are also allowed. Here, the payer should get compensated for damages from the mistaken transfer via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which is obtained against the payee who acquired profit without legal ground. However, in case the (1) payee’s bank account is suspended, (2) the payee is insolvent due to implementation of the set-off by the recipient bank, or (3) creditors have already seized the deposit claim of the payee, an issue on protection of the mistaken transferor (or the payer) as a practical problem requires attention as there is no means in practice to retrieve the mistakenly transferred money. The fact that Supreme Court cases have poured out in a short period of time is because mistaken transferors (or the payers) who could not be convinced of the abovementioned legal principle provided by the Supreme Court intended to seek a remedy by lawsuit.
    However, the result has mostly ended up with rulings against complainants. While normative assessment that disadvantage derived from the transfer by mistake should be imposed to the payer is valid, it is questionable that the unearned profit acquired by other involved parties (payees, recipient banks, creditors of the payees) can be also really justifiable, and therefore, it is time that we should consider the issue of protection for mistaken transferor. It is expected that discussions for the protection of mistaken transferors are developed hencefor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