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복지 쟁점을 통해서 본 한국의 문화복지정책 : 특징 및 한계 그리고 대안 (Cultural Welfare Policy in Korea and its Alternative : Cultural Welfare Issues Analysi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8
36P 미리보기
문화복지 쟁점을 통해서 본 한국의 문화복지정책 : 특징 및 한계 그리고 대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판사회정책 / 40호 / 149 ~ 184페이지
    · 저자명 : 심창학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복지 영역의 확대와 관련하여 최근 화두 중의 하나인 문화복지 개념의 이론적 토대 및 쟁점 분석을 통해 한국 문화복지정책의 특징과한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의 대안으로 문화권 기반 사회정책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사회복지의 관심은 기존의 경제적, 물질적 차원에서 삶의 전 영역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있는데 문화복지는 이의 핵심에 있다. 한편, 잉글하트의 탈물질주의 가치이론과 존 롤스의 정의론은 이러한 문화복지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제시하는 이론적 토대라 할 수 있다. 둘째, 문화복지는 학문적 용어라기보다는 정책 용어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문화복지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몇 가지 쟁점을 제시하고 있는데 문화복지 인식(문화 영역 혹은 복지 영역), 문화복지의 실현방법(문화의 민주화 혹은 문화민주주의), 문화복지의 적용대상(보편성 혹은 선별성), 선별성 내부 논쟁(경제적 소외층 혹은 문화적 소외층), 문화복지의 토대(권리 혹은 욕구)가 바로 그것이다.
    셋째, 문화복지와 관련된 쟁점의 관점에서 현행 한국의 문화복지정책은 문화복지를 문화의 한 영역으로 보는 경향, 문화민주주의에 대한 문화의 민주화에 대한 상대적 강조, 선별성에 대한 보편성의 상대적 우위, 법적 권리보다는 행정부의 재량에 바탕을 둔 문화복지 프로그램 실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넷째, 이에 본 연구는 대안으로 문화권 기반 사회정책으로의 방향 전환을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복지의 한 영역으로서의 문화복지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문화의 민주화에 대한 문화 민주주의의 상대적 강조, 적용대상의 보편성과 선별성에 대한 균형된 강조, 법적 권리 혹은 개별법에 바탕을 둔 문화복지프로그램의 실시가 그 특징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Korean cultural welfare policies which is one of the latest buzzword relative to the recent expansion of welfare area. And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emphasizing the need for attention to, as its alternative policy orientation, cultural right based social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cent interest in the welfare is to be spread from the economic and material dimensions of life to its all areas of culture and cultural welfare is at its core. R. F. Inglehart’s theory of intergenerational value change relative to post-materialism and J. Rawl’s theory of Justice can be regarded as theoretical foundation of cultural welfare.
    Second, cultural welfare is yet an policy term rather than an academic term. In order to investigate its nature, this study presents some issues :recognition of cultural welfare (welfare area or culture area?), methode to realize cultural welfare (democratizing culture or cultural democracy?),coverage of cultural welfare (universality or selectivity?), selectivity’s internal debate (economic poor or cultural poor?) and foundations of cultural welfare (right or needs?).
    Third,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welfare, Korean current cultural welfare policies have tendency to see cultural welfare as an area of culture, of emphasizing democratizing culture rather than cultural democracy, emphasizing the relative advantage of the universality to selectivity and to be see as more important discretion of the administration rather than the statutory rights as basis of implementation of cultural welfare programs.
    Fourth, this study emphasizes, as an alternative, the orientation to cultural rights -based social policy, which is to see cultural welfare as an welfare area, emphasizes more cultural democracy than democratizing culture and has a balanced emphasis on both universality and selectivity and finally is characterized by the implementation of cultural welfare based on legal rights or la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판사회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