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80년대 젠더-나이체제와 '여성' 범주의 생산 (The Production of the Category ‘Woman’ in 1960’s∼1980’s South Kore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9
39P 미리보기
1960~80년대 젠더-나이체제와 '여성' 범주의 생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29권 / 3호 / 41 ~ 79페이지
    · 저자명 : 전희경

    초록

    이 글은 한국사회의 변화하는 현실을 분석하고 개입하려는 여성주의 연구의 일환으로, ‘나이’가 젠더 생산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질문한다. ‘나이’를 분석 대상으로 위치시키고 구체적인 시・공간 속에서 ‘나이’가 젠더구조와 관련되어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틀로서 ‘젠더-나이체제’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근대화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던 1960∼1980년대에 어떻게 ‘여성’이라는 범주의 규범성이 생산되었는지를 탐구한다.
    산업화 시기 근대화 프로젝트 과정에서 ‘여성’이 호명되고 배치되고 규범화되는 과정은 ‘조국 근대화’, ‘민족중흥의 새 역사 창조’ 등 당시의 지배담론에서 드러나는 역사적 시간성에 대한 특정한 해석에 기반하여 학교, 노동시장, 가족 등의 제도들을 성별과 나이에 따라 구조화하는 일련의 복잡하고도 광범위한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 졌다. 근대적 모성이 집중적으로 작용해야 하는 대상이자 민족의 미래의 담지자인 ‘아동’, 경로효친과 장유유서의 유교질서에 기반한 ‘(웃)어른 공경’의 규범화, 경제발전의 동력으로서 민족의 밝은 미래를 책임질 연령대로서의 ‘젊은이(‘산업역군’)’ 등의 연령범주들이 새롭게 호명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는 공교육의 확대로 ‘학령기’가 형성되고 근대적 공/사 분리와 가정중심성에 기반한 근대적 핵가족의 이상이 안착됨에 따라 ‘결혼적령기’가 여성의 삶을 규율화하는 나이 규범으로 재정립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 과정에서 젊음/늙음, 성숙/미성숙의 위계는 이미 젠더화되어 있었고, 젊음에서 늙음으로, 미숙에서 성숙으로 가는 나이 듦의 과정은 성별에 따라 다른 궤도를 따르도록 각본화되었다. 즉 ‘여성’ 범주는 젠더-나이체제를 통해 구축되었고, ‘정상적 여성’이라는 규범성은 ‘자연스럽게 나이 드는 것’, ‘나이에 맞게 사는 것’으로서 수용되었다.

    영어초록

    As a feminist research that is to analyze and to intervene in the changing gender order, this study is question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the production of gender. I suggest an analytic concept, “gender-age regime”, to re-conceptualize the ‘age’ as not ‘natural process or asset’ but social construction, and examine how the category ‘Woman’ was produced in 1960’s∼1980’s South Korea.
    In these decades, there was an hypermasculine state developmentalism and it promoted ‘Modernizing Project’ so fiercely. “Modernizing our Fatherland” or “Creating New History of National Restoration” are the predominant discourses based on Western modern perspectives on the historical time.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e modern institutions-school, labour market, family, state-are structured by gender and age. That was a broad and complicated process, in which many concepts and categories are invented: ‘child’ who is both to be cared by modernized mothering and to be called as ‘national future’, ‘elders’ who is to be treated with honor in the confucian social order, and ‘young adult’ who was named as ‘pillar of industry’. Further, ‘the optimal age for marriage’ settled down as a norm which has disciplined many women’s lives. Women and men were not in the same life trajectory,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Woman’s Life’ was considered to be a mother. In conclusion, the gender category ‘Woman’ has been produced through the ‘gender-age regime’ in the specific historical context, and accepted as ‘natural’ just because the age(ing) is ‘natur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여성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