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초국경소지역 개발협력과 동북아시아 지역정치 (North Korea-China-Russia Trans-national Sub-region Development Cooperation and Northeast Asian Regional Politic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9
37P 미리보기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초국경소지역 개발협력과 동북아시아 지역정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53권 / 3호 / 427 ~ 463페이지
    · 저자명 : 신범식

    초록

    북한 동북지방, 중국의 동북 3성, 러시아의 연해주지방이 함께 만나는 두만강 하구의 경제협력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최근 커가고 있는 가운데, 이글은 상기 초국경지역 개발협력이 참여국들의 어떤 개별 및 양자적 이해를 동력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 노력들이 동북아 지역정치 일반에 대하여 지니는 영향과 의의는 무엇인가 밝히려는 시도이다. 두만강지역개발계획(Tumen River Area Development Plan)으로 출발하여 광역두만강개발계획(Greater Tumen Initiative)으로 이어지는 동북아 소지역협력은 참여국들의 복잡한 이해가 얽히면서 양자, 3자 그리고 다자의 협력구도가 복합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중국의 동북진흥전략과 러시아의 극동·자바이칼 개발계획 및 광역블라디보스톡 건설 그리고 북한의 나진·선봉 특구개발은 이 소지역협력의 중요한 동력이 되고 있다. 문제는 이 소지역협력이 단순히 북-중-러 경제협력의 차원에서 머물지 않고 향후 동북아시아 지역협력의 구도와 북한의 미래에 커다란 영향을 끼쳐 지역정치의 질서의 변동을 이끄는 모멘텀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소지역협력의 지역정치적 의미와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동북아 세력망 구도에서 관찰되는 ‘사회적 자본’과 ‘구조적 공백’을 네트워크론의 견지에서 파악하는 작업은 유용하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의 결과 동북아 소지역협력이 중국 주도형의 경직적 사회적 자본으로 형성되거나 미국 등에 의한 대(對)중국 견제로 와해되는 것보다는 균형적이고 유연한 사회적 자본으로 성장해 가는 것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러시아와 한국 그리고 북한 사이의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대응 방식은 경성 권력의 대결보다는 관계적 권력의 조정을 지향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것은 궁극적으로 동북아 소지역협력이 동북아 지역단위의 형성과 연계될 수 있는 협력 가능성을 지향하여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Recently interest over the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in the lower Tumen River area where the NE part of North Korea, NE China(Dongbei) and the Primorsky Krai region of Russia share borders is growing. It is important to illuminate what is the driving forces of such sub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s being promoted between the participating governments, an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ose efforts in relation with regional politics in Northeast Asia. The NE Asia subregional cooperation consisting a range of initiatives from the Tumen River Area Development Plan to the Greater Tumen Initiative is operating in a complex dynamic as sophisticated calculations of interests and understandings of bilateral, trilateral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structure are being intertwined. The NE Revitalization Plan of China, the Far East and Zabaikal Development and the Vladivostok Mega-City Construction of Russia, and Rajin-Sonbong Economic Special Zone development of North Korea are key forces behind the promotion of the subregional cooperation project. It is possible that this subregional cooperation can create a momentum of change in regional political order as it develops beyond a level of economic cooperation, which will significantly influence the future dynamic of NE Asia regional cooperation and the future of North Korea.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and impacts of the subregional cooperation on regional politics, it is useful to understand the ‘social capital’ and ‘structural holes’ observed in the power networks of NE Asia in the context of Network Theory. It is found out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subregional developments in NE Asia to develop into a more balanced and flexible social capital, not as a rigid social capital led by China nor as a part of the US’ China policy and the cooperation among Russia,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na play a meaningful role.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it will be wise for South Korea to pursuit a formation of network that aims for an adjustment of relational power in the region rather than a hard power competition, which ultimately entails aiming for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that links subregional development with region-formation efforts in North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정치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