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식회사와 신탁에 관한 비교 고찰* -재산분리 기능을 중심으로- (The Stock Corporation and the Business Trust:A Comparison in Terms of Asset Partitioni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8
32P 미리보기
주식회사와 신탁에 관한 비교 고찰* -재산분리 기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증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증권법연구 / 14권 / 2호 / 627 ~ 658페이지
    · 저자명 : 노혁준

    초록

    이 글에서는 기업조직법리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속성이 재산분리기능이라는 전제하에 이를 잣대로 주식회사와 사업신탁을 비교, 검토하여 보았다. 어떠한 경우에나 기존의 계약법리나 조합법리에 의하여 현행 주식회사법 및 신탁법상의 재산분리를 달성하기는 어려우므로, 주식회사법과 신탁법이 조직법제로서 독자성을 갖는다는 점에는 큰 의문이 없다.
    전형적인 기업조직법제인 주식회사법은 유한책임원칙과 조직격리가 완벽하게 구현되어 있다. 또한 재산분리의 실현시 큰 중요성을 갖는 지분적 권리양도의 자유도 보장되어 있다. 신탁법제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탄력성’이라는 이름 하에 하나의 법제로 포괄하고 있다. 현재 법령이 부여하고 있는 탄력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경우 주식회사에 준하는 재산분리와 지분적 권리양도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신탁에 특유한 재산분리 문제를 고려하더라도 그러하다. 특히 계속적 기업(going concern)으로서 조직 실체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신탁의 일부 해지⋅철회가 제한되어야 하고 이는 신탁계약을 통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개정 신탁법의 내용 중 신탁사채 등도 사업신탁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지만, 재산분리의 관점에서 볼 때 더 의미 있는 것은 신탁법 제62조의 신탁채권의 우선적 지위, 신탁법 제114조 이하의 유한책임신탁, 신탁법 제46조 제4항의 비용상환청구권 등의 제한, 신탁법 제78조 이하의 수익증권발행신탁이다.
    이 글에서는 개정 신탁법이 기업조직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을 마련하였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나아가 사업신탁이 주식회사에 비하여 강점을 갖고 있는지 여부와 실제의 활용도 여부는 별도의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향후 신탁에 의한 기업조직을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면 기존의 신탁법과 다른 별도의 단행법률을 만드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조직법제가 갖추어야 할 핵심적인 요소를 개정 신탁법이 구현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신탁을 통하여 기업조직을 형성하려는 당사자들에게 일종의 기본규정(default rule)을 부여한다는 차원에서 볼 때 현재의 신탁법은 그 넓은 스펙트럼과 탄력성으로 인해 오히려 혼선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trust law has been reviewed in terms of property law or contract law in Korea. Now that the revised trust law of 2011 adopted various provisions similar to corporate law, the trust law can be analyzed from organizational law angle. Is the trust law, following the reform of 2011, able to function as the rule for organizing business entities?As is noted by the seminal paper by professor Henry Hansmann et al, the essential role of organizational law is “asset partitioning,” which is fully realized in corporate law in Korea. This role is essential because without those statutory provisions the asset partitioning would never be possible through mutual negotiation and contract among related parties. In this paper the author raised two questions: (1) does the trust law of 2011 operate as a device for asset partitioning?; and (2) can investors create an entity equivalent to business trust just by using contract law jurisprudence?For the first question, the answer is positive. Especially, the attributes of asset partitioning have been further developed in the new trust law through ① priority of creditors in trust (Art. 62), ② limited liability trust (Art. 114), ③ limitation of indemnification (Art. 46 Sec. 4), ④ certificates of beneficiary interests (Art. 78). For the second question, this paper concludes that contractual arrangements are not appropriate devices to create an entity equivalent to business trust.
    This paper only covers the comparison between business trust and stock corp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sset partitioning. While two entities have similar asset partitioning function, the issue of whether the business trust under the new trust law may replace the traditional stock corporation should require another discussion. In order to provide the entrepreneurs and investors with more convenient default rules, the legislative authority in favor of a trust with business purpose may consider adopting tailor-made rules or statutes for business tru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증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