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분석과 문학치료의 상호 텍스트성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sychoanalysis and Literatherap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8
21P 미리보기
정신분석과 문학치료의 상호 텍스트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정신분석 / 15권 / 1호 / 37 ~ 57페이지
    · 저자명 : 김숙희

    초록

    정신분석 현장은 분석자와 피분석자로 구성되며 이 둘 사이를 연결하는 것은 언어이다. 피분석자는 자유 연상과 꿈의 보고 등을 통해 분석적 텍스트를 제공하고 분석자는 그것을 해석하여 억압된 부분을 찾아내어 해소시켜 주는 역할을 맡게 된다. 한편 문학치료는 문학이라는 매체를 이용해서 언어로 재생시키는 작업을 하는 동시에 또한 치유 작업도 한다. 정신분석은 ‘말’ 이외에는 아무런 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핵심문제로 들어가는 과정과 통찰에 이르는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문학치료는 정신분석이 당황해하는 이 지점에 개입되어 문학작품을 통해서 내담자의 내면세계에 자연스럽게 우회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도입단계에서 문학적 매체를 이용해 회상시킨 다음, 그것을 말로 표현하게 하여 고착된 정동을 흔드는 작업을 하고 암시되어있는 기표를 치료자가 피드백해주며 ‘실재’를 건드린 후, 다시 글쓰기나 시 쓰기를 통해 승화시키는 마무리 과정을 거친다.
    정신분석의 텍스트나 문학치료의 참여자의 텍스트의 공통점은 ‘무의식’과 ‘언어’에 집중된다는 점이다. 둘 다 텍스트 안에 숨겨진 언어, 즉 텍스트성 무의식을 얼마나 잘 읽느냐가 관건이며, 치료적 성패는 이 무의식 속에서 출구를 찾지 못하고 기회를 엿보고 있는 정동을 언표 화하여 소산시켜 카타르시스를 얼마나 잘 경험하게 하느냐에 달려있다. 이 과정에 문학 치료적 중재는 참여자로 하여금 자기 서사에 보다 쉽게 접근하게 해주며 분석 현장을 떠나서도 이미지를 오래 유지시켜 통찰을 내재화 하게한다. 또한 문학적인 창조활동에 의해 자기도 모르게 미적체험을 하게 되어, 자신이 경험한 외상적 사건을 경유하여 비범한 실재적 대상을 향유하는 승화과정의 길에 점진적으로 들어서게도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내담자를 깊은 치료로 이끌어 줄 수 있다. 이렇게 문학 치료적 방법과 정신 분석의 ‘말하기 치료’(Talking Cure)는 씨실과 날실로 엮이면서 서로 상보적 역할을 한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sychoanalytic texts and literature-therapy texts. Psychoanalysis is composed of a analyst and a analysand who are connected with language. It is to help analysands find out and dispel the repressed by paying attention to what they are saying and how they are saying. Literature Therapy is to help participants arouse 'words' that they cannot say. In this respect, psychoanalysis is regarded as one of the roots of literatherapy. It takes a long time for analysands to encounter core problems and have insights because psychoanalysis doesn’t use any equipment or tools except for language. Literature Therapy has found itself playing the role of middleman in these embarrassing points. It can approach the inner worlds of participants in a indirect, natural and metaphoric way. In this paper, the Freudian and Lacanian psychoanalytic theory was applied in analysing the textual unconscious from texts of a literature therapy program participant. In the course of the expression of words, both 'Talking cure' and literature-therapeutic methods were key sectors. When the repressed comes back into the words hitting 'the Real' through Talking Cure, the traumatic symptoms will disappear. Literatherapy promotes the participant to get his own meaning of words through metaphorical signification. Therapists were able to access more easily to the unconscious of participants through the pieces of literary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정신분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