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중국의 회계기준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 재무상태표 자산항목을 중심으로 - (Comparison Study on Difference of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between China and Korea - Focused on Asset items on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1 최종저작일 2013.08
22P 미리보기
한국과 중국의 회계기준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 재무상태표 자산항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회계연구 / 50호 / 323 ~ 344페이지
    · 저자명 : 문용호

    초록

    세계 많은 국가들이 회계의 투명성과 대외신뢰도 향상, 비용절감 등을 목적으로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는 하나의 세계적인 추세가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어떤 나라는 국제회계기준을 수정없이 전면 채택하고 어떤 나라는 자국의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도입하기 때문에 회계기준의 큰 틀은 같다고 하더라도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간의 회계기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 국제회계의 하나의 중요한 연구분야가 되었다.
    그동안 한국과 중국의 회계기준을 비교 분석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양국 모두 최근까지 회계기준을 지속적으로 개정해 왔기 때문에 기존의 비교 연구는 일부 현실과 맞지 않는 부분이 있으므로 최신 내용을 바탕으로 새롭게 비교 분석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재무상태표 자산항목 중 차이가 비교적 많이 나는 항목을 중심으로 양국의 회계기준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국제회계기준을 수정없이 그대로 번역하여 전면 채택하였기 때문에 국제회계기준과 내용과 형식상 차이가 거의 없으나 중국은 국제회계기준의 전면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여전히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한다.
    둘째, 한국은 자산의 후속 평가에 있어서 공정가치 평가를 선호하고 공정가치 또는 원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중국은 원칙적으로 원가로 측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셋째, 한국은 마케팅, 고객, 예술, 계약 및 기술에 기초한 무형자산 등으로 무형자산의 범위를 상세하게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으나 중국은 무형자산의 범위를 특허권 등 몇가지로 제한하고 고객관계 등은 무형자산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넷째, 한국은 차입원가의 자본화 대상에 무형자산을 포함시키고 있으나 중국은 명확한 규정이 없으므로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한국은 영업권을 제외한 자산에 대해서는 일정한 요건을 갖출 경우 손상차손환입을 허용하고 있으나 중국은 손상차손을 환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영어초록

    A large number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ntroduc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for the purpose of transparency of finance, improvement of foreign confidence, cost saving, etc., which is becoming a worldwide trend. However, some countries totally adopt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without correction and other countries are adopting gradually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s of own countries. Even though the big frame of the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s same, it is different in specific contents. Therefore, it became an important study field in international finance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mong these countries. Numerous studies 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between Korea and China have been performed but in both countries,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have been corrected continually until now so that there are some unrealistic parts in existing comparison stu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newly financial standards based upon latest contents.
    In this study, this writer has compared and analyzed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between both countries focused on items with big difference in the asset items of the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and main study results are shown as followings.
    First, as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was interpreted without correction as they are and wholly adopted in Korea as they are, there is little difference on contents and form in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However, in China the government aims at introducing wholly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but there still exist great deal of difference in specific contents.
    Second, in Korea, fair value assessment is preferred in follow-up assessment of assets and it is a rule to select either fair value or cost and to measure but in China, it is a fundamental rule to assess by cost.
    Third, in Korea, the scope of intangible assets is described in detailed classifications such as marketing, clients, arts, agreement and intangible assets based on technology, etc. but in China, the scope of intangible assets is limited in several items such as patent, etc. and client relation, etc. are not considered to be intangible assets.
    Fourth, in Korea, intangible assets are included in the objects of capitalization of borrowing cost but in China, there is no definite regulation so complementary measures are necessary.
    Fifth, in Korea, if enterprises have some conditions in assets except goodwill, reversal of impairment loss is permitted but in China, impairment loss isn't rever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회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