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연결망 불평등에 대한 학제적 이론화 모색 (Toward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of Online Network Research)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1 최종저작일 2013.08
31P 미리보기
온라인 연결망 불평등에 대한 학제적 이론화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47권 / 4호 / 107 ~ 137페이지
    · 저자명 : 강정한, 조연정

    초록

    Web 2.0 시대의 도래와 SNS 서비스를 통한 교류의 폭발적 증가는 온라인 데이터를 이용해 사람 간 상호작용이나 관계에 대한 통찰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가져다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네트워크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는 네트워크 연구를 계산능력에 의존한 속도경쟁으로 이끈 측면이 있으며, 가상세계의 인간관계에 대한 이론적 통찰보다는 대규모 데이터의 효율적 지표화, 다양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로지르는 공통의 패턴이나 연관관계, 즉 법칙의 발견에 주목해온 면이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온라인 인간관계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는 다소 혼란스런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본 연구는 멱함수 법칙으로 대변되는 연결 분포의 불평등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적 이론화 작업을 세 가지 학제적 측면에서 제안한다. 우선, 면대면 관계와 온라인 관계의 형성원리에 대한 통합적 이해는 멱함수 분포의 이면에 있는 정규분포적인 상호작용의 차원을 밝히는 것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이고 경험적 예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파레토 법칙을 응용한 상호작용의 폭을 정의하고 활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두 번째로 멱함수 법칙의 사회과학적 진단과 해석은 멱함수 분포의 순서 통계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보인다. 이와 연관하여, 연결 분포의 불평등을 해석할 때 멱함수 분포의 지수에 대한 최대우도추정치 및 파레토 법칙의 일반화를 바탕으로 할 것을 제안한다. 세 번째로 멱함수 법칙의 창발적 생성을 포함한 다양한 온라인상의 사회적 현상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이 필요함을 논하고, 그러한 모델의 원형으로서 쿠커-스메일(Cucker-Smale) 미분방정식 모델을 소개하고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상과 같이 통계학적 분포론이나 미분방정식 모델을 통합한 학제적 이론화를 시도하는 것은, 융합 연구로 나아가고 있는 온라인 연결망 연구에 사회학적 통찰과 해석을 통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arrival of Web 2.0 and the explosion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SNS) expanded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human interactions via online communications. Those opportunities, in conjunction with massive data-mining, led us to find general laws in online communication but brought us less sociological insight than we could have expected. This article attributes the disappointing contribution of sociology to the lack of theoretical frameworks for online networks and proposes interdisciplinary theory-building efforts threefold. First, the turn of research focus from the small-world network to the power-law network leaves us a missing-link between the normal distribution and the power-law distribut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concept of major tie-width as the link and provides an empirical example. Secondly, the socially meaningful interpretations of power-law distributions require us to correctly understand order-statistics and effectively summarize the degree of inequality in distribution. This article introduces a maximum-likelihood estimation for an exponent of power-law distribution and a generalized Pareto Principle as two indices of inequality. Thirdly, we need to explain how the power-law network emerges from micro-level human communications by a sociologically meaningful model. This article introduces Cucker-Smale model, the first analytic proof of emergent property, and explores its application to the power-law network. We believe that these three efforts can help understand the genesis and structure of online human networks and derive socially meaningful i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