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속도, 시각, 현대성: 시각체제의 변동과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 (Speed, Vision, Modernity: Transformation of the Scopic Regime and Virilioʼs Dromological Think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1 최종저작일 2013.08
34P 미리보기
속도, 시각, 현대성: 시각체제의 변동과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47권 / 4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주은우

    초록

    이 글은 19~20세기 동안 현대성의 시각체제가 겪은 변동을 속도와 가속화의 견지에서 검토한다. 이는 항상적인 운동과 유동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현대성의 경험과 그 변증법적 동학을 시각성의 견지에서 검토하는 것이기도 하다. 폴 비릴리오의 독창적이고도 도발적인 사유에 따르면, 현대세계는 운동의 독재와 속도에 의한 통치를 수립한 질주정 혁명의 산물이다. 산업화·기계화된 전쟁은 자신의 정수인 속도에 의해 공간의 절멸을 추동해왔다. 1차 세계대전은 전투용 운송수단과 카메라라는 시각기계를 융합시킴으로써 이미지의 공급이 군수품의 공급과 등가물이 되는 군사적 지각의 병참술(학)을 정초했다. 시각기계는 공간적 거리를 제거하고 원격현전으로써 현전을 대체하며 눈과 신체의 운동을 카메라 렌즈에 의존시키고 종속시키는 시지각의 원격위상학을 가동시킨다. 지각장의 전유를 목표로 삼는 지각의 병참술은 이 ʻ시선 없는 시각ʼ의 일반화된 ʻ광명에의 의지ʼ를 실현하며, 그것은 곧 ʻ속도에의 의지ʼ에 다름 아니다. 이 글은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를 시간과 공간, 근대 자본주의의 기원, 매체미학, 감시권력 등에 관한 사회이론의 맥락 속에 위치지우면서 그것이 근·현대적 시각체제와 그 시각양식의 연구에 던져주는 신선한 통찰들을 탐색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tries to review the transformation that the scopic regime of modernity has undergone during the 19th and 20th centuries in terms of speed and acceleration. This means to reexamine the experiences of modernity and its dialectical dynamics,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constant movement and mobility, in terms of visuality as well. According to the original and provocative thinking of Paul Virilio, modern world is a result of dromocratic revolution which established the dictatorship of movement and the rule by speed. Industrialized and mechanized warfare has driven the extermination of space by speed, the essence of war. The first world war laid the ground for a logistics of military perception, in which a supply of images becomes the equivalent of an ammunition supply, by fusing combat vehicle and camera as a vision machine into one. Vision machines activate the teletopology of visual perception, eliminating spatial distance, replacing presence by telepresence, making eyes and bodily movements dependent on and subject to camera lens. Logistics of perception aiming at the appropriation of the field of perception has realized the general will of illumination of this eyeless vision which is none other than the will to speed. This article explores the fresh insights of Virilioʼs dromology on studying modern scopic regime and its mode of vision, putting his thinking in social theoretical contexts of time and space, the origin of modern capitalism, media aesthetics, surveillance p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