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용자 중심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 계획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s Space planning and Characteristics for the User-oriented Publicnes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1 최종저작일 2013.06
9P 미리보기
사용자 중심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 계획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2권 / 3호 / 52 ~ 60페이지
    · 저자명 : 김세영

    초록

    현대사회에서 재해석되어지는 공공성이란 다수의 공공 영역들이 복합적으로 관계 맺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사용자들의 복합적인 욕구와 이질적인 사용 행위를 이해하고 개인과 사회의 의사소통적 접근이 가능한 역할을 하는 시설과 공간이 갖추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에서 공공성 실현을 위해 주체가 되는 사용자 중심의 공공디자인을 위해 고려되어지는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현상과 공공공간의 계획 및 특성에 관한 연구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러한 공공성 실현을 위한 사례는 사용자 참여 및 공간의 경험 창출에 대해 더 높은 효용 가치를 가지는 면모를 볼 수 있는 선진국가에서의 복합화 시설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여러 유형의 공공공간 가운데 특히 공공 도서관을 중심으로 현대 사회에서 주체가 되는 사용자 중심의 공공성이 어떻게 공간적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그 지향하는 가치와 계획적인 요소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공공공간과 연계된 공공성 실현의 맥락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공공성 개념에 대한 고찰할 수 있는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현대적 공공성의 개념과 공공성 실현을 위해 주체가 되는 사용자가 갖는 개념 및 역할을 분석하여 사용자 중심의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한 기초 개념을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공공성 실현을 위한 현대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복합화 개념을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복합화를 통한 공공공간의 계획요인 및 공간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특성이 사용자 중심의 경험을 유발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셋째, 기존 도서관의 기능과 함께 교육 및 문화시설 등과의 시설 복합적 관계를 실현해나가는 선진 국가에서 나타나는 공공도서관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공공공간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자들에게 공공성 실현을 위한 디자인으로 어떠한 영향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해 고찰한다. 넷째, 공공성 실현을 위해 적용된 프로그램 복합화의 공간적 특성과 사용자 중심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간 계획 및 활용방법들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적 장소의 열린 공간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적 특성들은 사용자들에게 의도되었던 목적의 행위를 제공하는 동시에 예측하지 못했던 사용자 및 공간에 의한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을 제공하는 잠재된 공간으로써의 사용자 및 지역사회에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으로서 의미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중심의 공공성 실현을 지향하는 공공도서관은 사용자의 행위와 경험을 통합적으로 구현하고 전체구성의 유기적인 복합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공간 계획들을 제시하여 사용자 중심의 체험형 공간에서 도심의 문화지구로서 재생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시설과의 복합화를 이루어나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합화는 사용자들의 보다 다양한 상호작용적 형성을 지원하고 공간들간에 합리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시너지 효과의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ontemporary concept of publicness is re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emporary publicness. Contemporary perception of public space has now branched and grown into a multitude of non-traditional sites with a variety of programs in mind. In this study, the aim is to discuss how contemporary public library has been evolved as public space and how to create User-centered interaction. I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the Public Libraries have showed the expected effects because they have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plan. Also, these libraries are placed with each facility, not distributed separately. It promotes the accumulation of profit on the space and Increases the efficiency. They support more effectively users' activities through the linkages between each facility and create the active interaction between users. Formation of the various interactions and synergies between space had been induced. Publicity means that the state will relate a combination of a number of specific public area. In addition, open space, public place, shall be directed to: This place as one of the users in order to have meaning, must be equipped with the facilities and space to communicate and understand the local role.
    Method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the concept and role of the users with the concept of modern publicity, to examine the concept of multi-complexity of public libraries for the user-oriented publicness,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s in the public libraries that appear in the advanced countries, to examine how to affect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public libraries,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and the various application methods on th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space. In the end, the public librari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publicity, support program complexity such as education and culture, welfare facilities, and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the 21st century, these complex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in public libraries. These spaces can be an alternative to be kept comfortable in a more vibrant area, and can affect the social, natur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objects and relationships, as well as exp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