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운 U-topia를 향한 가상공간의 E-topia : 카오 페이(Cao Fei)의 <RMB City -Second Life City Planning(2007)> (E-topia of Virtual Space for New U-topia : by Cao Fei)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0 최종저작일 2013.07
41P 미리보기
새로운 U-topia를 향한 가상공간의 E-topia : 카오 페이(Cao Fei)의 &lt;RMB City -Second Life City Planning(2007)&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미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미술학 논문집 / 17권 / 1호 / 53 ~ 93페이지
    · 저자명 : 오윤정

    초록

    중국의 미디어아티스트 카오 페이는 3D온라인 커뮤니티 게임인 세컨드라이프(SL)를 예술창작 플랫폼으로 하여 2007년부터 현재까지 ‘RMB City(Ren Min Bi, 元貨, 중국화폐의 첫글자를 딴 도시명) Project’를 진행하고 있다. 본 글을 그 프로젝트 가운데 카오 페이와 그녀의 아바타 차이나 트레이시(China Tracy)가 그 가상현실에 최초 개설하여 머시니마로 제시한 <RMB City -Second Life City Planning(2007)>에 방점을 두었다. 이는 지금 이 순간에도 시뮬레이션으로 발전・변화되고 있는 RMB City의 태생을 보여주며, 이상과 현실이 독특하게 교직된 카오 페이의 유토피아적 예술관을 포착할 수 있는단초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글은 우선 개혁개방 이후의 중국 내에서도 가장 하이브리적 변화를 체화한 세대와 지형으로서 카오 페이의 ‘1978년 태생’과 ‘광저우(広州) 출신’이라는 점을 주목했다. 그리고 그러한 시공간의 혼성적 특징이 그녀의 예술관에 기저를 이루어 혼성변이가 일상화되는 사이버스페이스로 전개되는 과정을 고찰했다. 이러한 토대에서 카오 페이가 대표적인 가상현실 미디어로서 SL에 어떻게 자신의 First Life(FL)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수렴・확장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RMB City의 오브제들(상하이의 랜드마크 동방명주(東方明珠), 베이징올림픽 주경기장, 램쿨하스의 CCTV, 천안문 광장의 인민영웅기념비(人民英雄纪念碑), 텐진 수이상 공원(水上公园)등등)의 면면을 고찰하였다. 즉 ‘RMB City’는 바로 중국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가 혼재된 시공간에서 발췌된 스펙터클의 도시이며, 전 지구의 자본화가 은폐하는 디스토피아를 드러내는 알레고리적 도시였다. 더불어 그러한 알레고리의 RMB City를 탐험하는 SL의 플레이어(관람자)에게 하나가 아닌 여러갈래의 길들을 따라 다양한 결론을 찾아가게 하는 카오 페이의예술적 언어관을 게임의 텍스트성과 연결시켰다. 이를 통해 게임이라는 멀티미디어를 예술적 저항의 도구로 전유한 카오 페이가 가상과 현실의 사이를 지속적으로 왕복하며 FL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SL로 연장하고 그 대안을 다시 Real Life로 확장하는 게임을 진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술을 공통분모로 삼는 온라인 3D게임과 디지털아트의 플랫폼에서 유토피아적 상상력을 증폭시키는 관람자는 RMB City를 탐험하며 그곳이 우리가 살았던 과거와 살고 있는 현재라는 것을 인지하며,더 나은 삶을 위한 미래를 재구성하는 기회 생성의 유동적 텍스트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중국식 사회주의를 체화하고 있는 카오 페이의‘RMB City Project‘는 자본의 욕망통제에서 이질적인 것들이맺는 관계와 자유로운 개개인들의 연합으로 다른 형태의 ‘함께살기’를 구축해나가는 것이다. 예컨대 카오 페이와 그 혼성체들의 플랫폼인 SL은 ‘공유・참여・개방’의 웹2.0 환경에서 ‘함께 있기’의 커뮤니티를 강조하며, ‘공통적인 것’을 재구성하여 가상세계에서 또 다른 삶을 살아가는 장소이다. 그렇기에 카오 페이는 SL을 세계의 실험실로 간주하며 플레이어의 구성적 참여로자본이 사유화한 ‘공통적인 삶’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회적 관계들을 모의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카오 페이는 멀티매체라는 기술의 발판에 한 발을 딛고, 유토피아적 상상력이라는 사유의 발판에 다른 발을 디디어 ‘어디에도 없는’ 가상의E(lectronic)-topia로 항해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Chinese media artist Cao Fei has been working on ‘RMB City’ project since 2007 in Second Life (SL), the online 3D virtual game, as a platform for her art. The name “RMB city” comes from the three main letters of China’s official currency renminbi. This paper focuses on the “RMB City - Second Life City Planning (2007)”, which was launched in the virtual world for the first time by Cao Fei and her avatar China Tracy and presented as a machinima. It is because the game “RMB City – Second Life City Planning(2007)” simulates the birth of RMB city, which continuously develops and changes even at the moment and is a clue for insight into the Cao Fei’s utopian view of art, which includes a unique blend of the ideal and reality. From such perspective, this paper took note of the fact that Cao Fei was born in 1978 and she was from Guangzhou. Her generation and the city of Guangzhou experienced the most hybridized changes in China after the reformation and opening of the country.
    This paper discussed the way in which those hybrid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ion and the city formed the foundation of her philosophy on art and have spread into cyber space, where hybrid transformation become common.
    Also, in order to see how Cao Fei gathered and expanded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of her First Life (FL) to Second Life (SL), this paper studied each and every one of the objects of RMB City (landmarks of Shanghai such as Oriental Pearl TV Tower, Beijing Olympic stadium, CCTV building by Rem Koolhaas, the monument to the people's heroes in Tiananmen Square, Tianjin Water Park and so on). As results of the studies, it was found out that RMB city was a spectacle city taken from the time and space wher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China co-existed, and an allegorical city that revealed the dystopia concealed by the capitalization of the entire earth. This paper connected Cao Fei’s artistic philosophy on language, which led players (the audience) in the RMB City to travel along different paths to reach various conclusions, to the textuality of game. Through the process, it was ascertained that Cao Fei, who exclusively possesses multimedia (game) as a tool for artistic resistance, operated a game in which players continue to shuttle between the virtual world and real world to expand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of FL to SL and expand the alternatives found in SL to real life. Players amplify their imagination on the platforms of online 3D games and digital art, which share technology as a common denominator. They explore RMB City to understand that the city represents our past and present and experience the fluid text of opportunity creation, which reorganizes the future to make our lives better. Cao Fei’s RMB City project ultimately embodies Chinese socialism and establishes a different type of ‘togetherness’ that consists of relationships created by heterogeneous entities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desires of capitalism and coalitions of free individuals. For example, SL, a platform of Cao Fei and the hybrids, is a place where ‘common things’ are reorganized with an emphasis on the community of ‘togetherness’ on a web 2.0 environment of ‘sharing, participation and openness’ and people live a different life in a virtual world.
    Cao Fei regards SL as a world laboratory and plots diverse social relations to reorganize a ‘common life’ in which capital is privatized by constitutive participation of the players. Cao Fei has one foot on the step of technology and multimedia and the other on the step of thinking, which is the utopian imagination, to sail E(lectronic)-topia, which exists now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미술학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