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용어사전의 계보와 문학 관련 개념들의 정립 양상 - 1910~1920년대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에서 편술된 문학용어사전을 중심으로 (The Geography of Literature-Related Concepts Established in Japanese Empire and its Colony Chosu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0 최종저작일 2013.06
39P 미리보기
문학용어사전의 계보와 문학 관련 개념들의 정립 양상 - 1910~1920년대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에서 편술된 문학용어사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38권 / 143 ~ 181페이지
    · 저자명 : 강용훈

    초록

    특정한 시기 문학 관련 용어들을 정리하는 작업이 나타나게 된 원인은 무엇이며, 그 작업들을 형성하게 만든 원동력은 어디에 있는가? 문학용어사전의 계보를 탐색하는 이 논문의 시선은 바로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고민하는 과정과 연결되어 있다.
    새로운 말, 즉 신어(新語)는 과거의 말로 온전히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사물, 혹은 새로운 관념이 출현했을 때 생겨나게 된다. 그렇기에 신어(新語)가 급증하여 신어의 의미를 해설한 책(=신어사전(新語辭典))이 편찬된 시기는 사물의 변화가 격렬하게 진행되고 있는 때, 혹은 새로운 사상이 출현하기 시작한 때로 볼 수 있다반면 학술용어사전은 특정한 학문 영역 사이에서 사용하고 있는 개념어들의 의미를 정립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학술용어사전 편술 작업은 신어를 소개하는 작업보다 전문성을 담보하고 있었으며 다층적 의미로 사용되던 개념의 의미를 특정한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활동이었다. 따라서 학술용어사전이 편찬되었다는 것은 서양에서 유입된 새로운 말들이 당대의 언중들 중 일정한 계층에 정착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며, 그 어휘들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학술 제도적 기반이 확립되고 있었다는 점 또한 의미한다.
    1910~1920년대 일본과 식민지 조선에서 편술된 ‘문학용어사전’에서도 신어사전과 학술용어사전의 경계가 확립되어 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사전은 일본어 혹은 조선어로 번역된 서양 문학용어의 의미를 정립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는 곧 서양의 문학용어들이 당대의 학술·문화에 통용될 수 있는 생명력을 지닌 어휘로 인식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그렇기에 용어사전 편술 작업은 서양의 번역어를, 다층적 의미 연관을 내포한 개념어로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낸 작업으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
    일본의 ‘문학용어사전’에 수록된 표제어와 박영희가 편술한 「중요술어사전(重要術語辭典)」 속 어휘는 상당 부분 겹쳐 있었으며 유사한 표기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1910~20년대 동아시아 사회에, 서양의 문학용어가 언어의 경계를 횡단하여 유통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사전의 편술자들이 서양의 문학 관련 용어들을 전유하는 방식은 각기 달랐다. 일본의 ‘문학용어사전’이 주요 개념으로부터 파생되는 다층적 용어들을 수록하며 개념 간의 연관성을 드러내려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박영희의 ‘중요술어사전’은 문학용어들 간의 대립 관계를 부각시키며 당대 조선문학의 경향과 단절하려는 기대를 부각시키고 있다.
    문학용어사전의 형성 및 변화 과정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은 특정한 시기 문학 관련 개념들을 정리하는 작업이 나타나게 된 원동력을 추적하는 작업과 연결된다. 새롭게 생겨난 말들에는 기존의 언어적 질서로부터 이탈하기를 원하는 언중들의 기대가 내재되어 있다. 용어사전 편술작업은 다층적 어휘들을 새롭게 배치하는 작업을 통해 그러한 기대들을 특정한 지평 위로 옮겨놓는다. 박영희의 「중요술어사전」에 부각되어 있는 ‘-主義’와 관련된 용어들은 그 대표적 예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Neologisms, i.e., new words, are coined with the appearance of new objects or concepts that cannot be explicated by erstwhile words. A sudden increase in neologisms leads to the compilation of a neologism dictionary, which is interlinked with the fast-faced world or the advent of a new idea.
    Technical dictionaries are to define technical terms for specific fields. The compilation of a technical dictionary needs more advanced expertise, compared to that of a neologism dictionary, and needs the delimitation of polysemous words. Thus, the compilation of a technical dictionary implies that neologisms, introduced from Western countries, have planted their roots in a specific class in the language family, and that the academic foundation has been so established that those lexicons may be used usefully.
    ‘Dictionaries of Literature Terms’ compiled by Japan and its colony, Joseon, during the 1910s and 1920s (Japanese colonial era) shows a process to draw lines of demarcation between neologism dictionaries and a technical dictionaries. The dictionary was to clearly define Western literature terms translated into Chosun language and Japanese language. It shows that Western literature terms began to be recognized as living vocabularies applicable to the scientific and cultural fields of those days. Therefore, the compilation of a technical dictionary may be regarded as a foundation to develop translated words into conceptual words including multi-semantics, which can be confirmed in a debate over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modern poems precipitated by ‘Dictionary of Literature Terms’ compiled under Japanese colonialism.
    The headwords in the Japanese dictionary considerably overlap with vocabularies in ‘Dictionary of Principal Technical terms’ compiled by Young Hee Park, and similar notations are observed. It shows that Western literature terms had transcended the language barriers and had been distributed throughout East Asia during the 1910s and 1920s. However, the dictionary compilers had Western literature terms to themselves in different ways. ‘Dictionary of Literature Terms’ focused on containing polysemous words derived from principal concepts and identifying inter-conceptual relationship, whereas ‘Dictionary of Principal Technical terms’ magnified the conflictive interactions between literature terms and an attempt to cut off from the trend of Chosun literature of tho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