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2 revision, NY, USA: United Nations 2003.
· 통계청. 고령인구 비율. 2007.
· http://kosis.kr/gen_etl/start.jsp?orgId=101&tblId=DT_1YL0201&conn_path=I2&pat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3차 국민건강 영양조사 심층분석 보고서.2007.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생애의료비 추정을 통한 국민의료비 분석.2009.12.
· 김종배, 최유진, 문혁수 외 4인. 공중구강보건학. 고문사. 2005. p266-276.
· 서순규.성인병.고려의학원.1992.
· Lomax J. Geriatric ambulatory and institutional care, Tokyo: Ishiyaku
· Euro-AmericaInc.1987.
· KushnirD, ZusmanSP, RobinsonPG.Validationofa hebrew versionofthe
· oralhealthimpactprofile14.JPublicHealthDent2004;64(2):5-75.
· 건강보험심사평가원.건강보험통계지표.서울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06.
· 국민건강보험 2010년 11월 8일 보도자료. 건강보험정책연구원 통계분석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전략개발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 Grath CM,BediR.Can dentalattendanceimprovequality oflife?JPublic
· HealthDent2001;190(5):262-265.
· LockerD,MatearD,StephensM,JokovicA.Oralhealth-related qualityofa
· population ofmedically compromised elderly people.Community DentHealth 2002;19(2):90-97.
· 보건복지부. 2003년 전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요약집 V. 서울. 보건복지부.2003.
· Gorin SS,Arnold J.Health promotion handbook.Mosby,USA.1998.pp
· 322-323.
· 권호근,김영남,정기호,송근배,박덕영.노인 틀니 보험급여를 위한 건강보험 재정 추계 연구.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3;27(3):347-356.
· WongMC,LoEC,McMillanAS.Validationofachineseversionoftheoral
· health impact profile (OHIP).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2;30(6):423-430.
· John MT,patrick DL,Slade GD.The German version ofthe oralhealth
· impact profile-translation and psychometric properties. Eur J Oral Sci
· 2002;110(6):425-433.
· AttW,StappertC.Implanttherapytoimprovequalityoflife.Quintessence
· Int2003;34(8):573-581.
· Szentpetery A,Szabo G,Marada G,Szanto I,John MT.The Hungarian
· versionoftheoralhealthimpactprofile.EurJOralSci2006;114(3):197-203.
· 배광학.한국 노인의 삶의 질 관련 구강건강 실태 및 구강건강사업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박사 학위논문 2005.
· 김설희,임선아,박수정,김동기.구강건강영향지수를 이용한 삶의 질과 관련된 구강건강 평가.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4;28(4):559-569.
· 이명선,김설희,양정승,오정숙,김동기.65세 이상 일부 노인의 oralhealth impactprofilee의 타당도 및 신뢰도.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29(2):210-221.
· 한동헌,김현덕,진보형,백대일,배광학.장노년층에 의한 의치 보철 사업과 구강건강관리사업의 비교 평가.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6;30(4):431-437.
· 장문성.한국노인의 치주건강상태가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박사 학위논문 2007.
· SladeGD.Derivationandvalidationofshort-form oralhealthimpactprofile.
· CommunityDentOralEpidemiol1997;25(4):284-290.
· Allen PF,LockerD.Doitem weightsmatter?An assessmentusingtheoral
· healthimpactprofile.CommunityDentHealth,1997;14(3):133-138.
· 성상석,최찬범,성윤경,박용욱,이혜순,엄완식,김태환,전재범,유대현,이오영,배상철. 한국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 대한류마티스학회지 2004;11:254-262.
· 김승권,장영식,조흥식,차명숙.한국인의 행복결정 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 김명석,김혜원,차경호,임지영,한영석.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한국심리학회지 2003;8(2);415-442.
· 김명소,한영석.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조사연구 2006;7(2);1-38.
· 추홍규.개인의 행복지수 수준과 결정 요인.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보건복지부.구강보건업무편람.2000.
· Akifusa S,Soh I,Ansai T,Hamasaki T,Takata Y,Yohida A,et al.
· Relationship ofnumberofremaining teeth to health-related quality oflife in
· community-dwellingelderly.Gerodontology2005;22(2):91-97.
· Takata Y,AnsaiT,Awano S,Fukuhara M,SonokiK,Wakisaka M,etal.
· Chewingabilityand qualityoflifeinan 80-year-old population.JOralRehabil
· 2006;33(5):330-334.
· 정진아.노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와 관련요인.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 오나래.불소도포.스케일링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 김남희.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2003.
· 김기록.한국 노인의 구강건강실태조사:예산군 65세 이상 노인을 중심으로.호서대학교 행정대학원.2001.
· 조경애.방문보건사업 노인 대상자의 구강건강상태.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 우석류.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2010.
· 서성미.일부지역 거동불편노인과 자가활동노인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비교연구.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 Abegg C,Croucher R,Marcenes WS,er al.How do routines ofdaily
· activitiesand flexibilityofdailyactivitiesaffecttoothcleaningbehavior.JPublic HealthDent2000;60(3):154-158.
· 박정순,전주연,박인숙.노인의 구강건강 관리실태에 관한 연구.보건교육증진학회지 1999;16(2):93-104.
· 이가령.일부 농촌 노인들의 의치 만족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2008.
· 박지혜.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치아상실과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간의 관련성.경북대학교 대학원.2007.
· Duffy ME.Determinantsofhealth promotion in midlifewomen,NursRes
· 1988;36(6):358-362.
· SteeleJG,SanderAE,SladeGD,Allen pF,LahtiS,NuttallN,SpencerAJ.
· How do age and tooth tossaffectoralhealth impactsand quality oflife?A
· study comparing two nation sample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 2004;32(2):107-114.
· 권미영,양진영.노인의 구강보건행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조사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06:6(4):271-276.
· 김지화.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 안권숙.노인의 구강건강 실태와 사회적 지지 및 신체적 기능과의 관련성.충남대학교 대학원,2009.
· FernandesMJ,Ruta DA,Orden GR,pittsNB,Ogston SA.Assessing oral
· health-related qualityoflifeingeneraldentalpracticeinScotland:Validationof theOHIP-14.CommunityDentOralEpidemiol2006;34(1):53-62.
· Kressin NR,ReisineS,Sporo A,JonesJA.Isnegativeaffectivity associated withoralqualityoflife?CommunityDentOralEpidemiol2001;29(6):412-423.
· 김안엽.지역사회 노인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 수준과 관련요인.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2009.
· http://www.noin1389.or.kr/07_data/content.asp?idx=206&BBS_ID=4
· 권중돈,조주연.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한국노년학회 2000;20(3):61-76.
· 조계화,이현지.한국 여성노인의 연령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2009;39(1):21-32.
· 이지현,강형곤,정우식,채유미,지영건.취업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한국노년학회 2008;28(1):143-156.
· 신경림,변영순,강윤희,오지원.재가노인의 주관적 신체 증상,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대한간호학회지 2008;38(3):437-444.
· 김혜령,오가실,오경옥,이선옥,이숙자,김정아 등.기초생활보장 수급 노인의 삶의 질.대한간호학회지 2008;5(3):694-703.
· BrennanDs,SinKA,SpencerAJ,Roberts-ThomsonKF.Postiveand negative affect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Qual Life Outcomes
· 2006;4:83-93.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1/04/201011040105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