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 석굴사원의 Relief Stupa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8.28 최종저작일 2012.08
18P 미리보기
인도 석굴사원의 Relief Stupa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1권 / 4호
    · 저자명 : 김준오, 천득염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석굴사원의 조성과 전개
    3. 석굴사원의 Relief Stupa
    3-1. 초기 석굴사원
    3-2. 후기 석굴사원
    4. 석굴사원 Relief Stupa의 형식
    5. 결 론
    References

    영어초록

    The Buddhist cave temple carved into the rock provides a large space for the ritual in general in which a structure of Stupa is built in the center of the space purely for religious worship empty of Sarira, and the temple is formed around this Stupa. Relief-Stupa of the cave temple indicates the similar shape that of Relief-religious worship of flat land temple. However, there appears a small difference in representation since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the cave temple differs in that of flat land temple. Specially, Caitya Stupa of currently existing cave temples have been damaged to lose of their original shape only possible to be analyzed the stylistic development through Relief-Stupa from which the characteristic of Stupa could be understood. The early cave temple could be characterized with a balanced structure consists of upturn bowl, steeple stone with simple drum & Hamikawasnagae, in which it appears strongly the detail factor characteristics of drum & steeple of having system with Caitya Stupa. In the post cave temple, the subject of worship moved to statue of Buddha due to the influence of Gandhara, Mathura art which reduced the importance of Stupa. This illustrates in Relief-stupa as well the style change as well as changes in detail factor. The sculpture appeared at the limited location either the wall of Caitya shrine or pillar in vihara cave with stronger decorative meaning. Contrast to the Relief Stupa of early flat land temples or the cave temples mentioned above sculptured with symbolism, however, the post cave temple showed the relief structure based on the plan of flat pla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