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박안전법상 정부검사 대행제도의 법적 성격과 민간위탁제도로의 편입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7.07
40P 미리보기
선박안전법상 정부검사 대행제도의 법적 성격과 민간위탁제도로의 편입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海事法硏究 / 29권 / 2호
    · 저자명 : 이상일, 유진호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국가사무의 민간위탁제도 개관
    1. 민간위탁의 법적 근거
    2. 민간위탁의 개념 및 유사개념과의 구별
    Ⅲ. 선박검사 대행제도의 법적 성질
    1. 대행제도의 법적 성질
    2. 선박검사 업무 대행의 법적성질에 대한 해석론
    Ⅳ. 선박검사 대행제도의 민간위탁제도로의 편입
    1. 선박검사 대행제도와 민간위탁제도의 내부관계 유사성
    2. 선박검사 대행제도와 민간위탁제도의 외부관계 유사성
    Ⅴ. 결 어
    참고문헌

    초록

    시민사회가 어느 때 보다도 안전·환경·보건·복지를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시대에서 정부는 이미 너무 많은 사무로 여유가 없는 상태이다. 현 시대는 점차사인이 주도하는 공적 거버넌스의 시대로 정의되어야 하고 우리는 공공서비스에 참여하는 사인과 정부 간 합리적이고 민주적 관계를 명확히 해야 하는 시급함에 처해 있다. 민간위탁이 행정적 위임의 특정적인 법 형식으로서 정부조직법상 국내에 도입된 지 오래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혁신적인 법 형식은 예외적으로 지방정부나 시도 지자체들이 지극히 단순하고 반복적인 사소한 업무에 대해서 민간 부문에 의뢰하는 경우 이외에는 한국사회에서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다. 정부조직법상 민간위탁은 어떤 알려지지 않은 이유로 입법자와 행정부에 의해 회피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오래된 비전형적 법형식인 “대행”은 한국 행정법에 극히 특이하고 국제 규범사회에는 상당히 이질적인 것으로서 아이러니하게도 우리의 국내 행정입법에서는 그 법적용이 증가하여 왔다. 예를 들어, 선박안전법상 규정된 위탁유사제도(대행)는 법령상 선박검사에 관하여 위탁자와 수탁자 간 법률관계를 규제하고 있으나 공적부문과 민간부문 간 파트너쉽이 한국적 형식의 위탁유사제도의 틀 안에서 어떻게 형성되어야 하는가에 관하여 많은 논쟁적이고 혼돈적인 해석을 초래한다는 비판이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선박안전법상 대행과 정부조직법상 민간위탁이 공사(公私)의 내적 및 외적관계에서 어떻게 다른가에 관한 논제를 제시하고 대행제도는 해석적 검토와 입법론적 검토 모두에서 민간위탁으로 편입되고 해석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영어초록

    In an era in which civil societies require safety, environment, health and welfare more than ever, governments already have their hands full. Now, the age should be increasingly defined as the time of a private party-driven public governance, where we are urgently under pressure to clarify a reasonable and democratic relationship between an Administration and a private actor participating in the public services. Despite it's been quite long since the 'Private Delegation,' as a specific legal form of administrative delegation, was first introduced into under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the innovative legal framework has rarely been employed in Korean society except where local governments or municipalities resort to private sectors only for such simple and repetitive trivial services. While the Private Delegation under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appears shunned by law-makers as well as the Administrations for some unspoken reasons, the old and non-orthodox legal formality known as ‘DaeHaeng’, extremely unique to the Korean administrative laws and considerably strange to the international legal societies, has ironically enlarged its statutory applications in our domestic administrative enactments. For instance, this Quasi-Delegation(‘DaeHaeng’) provided in the Ship Safety Act controls the privity between a delegator and a delegate with regard to statutory vessel inspections, being criticized as having opened the door widely to a lot of controversial and chaotic interpretations as to what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should be formed within this Korean style framework of the quasi-delegation. This Article poses the question as to how different the DaeHaeng under the Ship Safety Act and the Private Delegation under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would be in terms of internal and external public-private relations, and asserts that the DaeHaeng shall be shifting into, and construed as, sort of the Private Delegation in both interpretive and legislative re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海事法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