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구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활성도 평가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7.08
11P 미리보기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구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활성도 평가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해양환경안전학회
    · 수록지 정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23권 / 5호
    · 저자명 : 임영균, 백승호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현장조사
    2.2. 생물사멸 실험
    3. 결 과
    3.1. 현장조사
    3.2 실험실조사
    4. 고 찰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초록

    본 연구는 섬진강 하구역에서 2017년 2월 대조기 만조와 간조, 3월 소조기 간조 동안 염분 구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생리활성도를 평 가하였다. 또한 2월 대조기 조사에서 나타난 특이적인 pH 변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재현실험을 병행하였다. 현장조사 결과에 의하면, 만조와 간조에 수층 혼합에 의한 수직적인 염분의 차이는 미미하였지만, 담수역으로 향할수록 염분이 낮아져 수평적인 염분구배가 뚜렷하였다. 염 분과 영양염(질산염+아질산염: R=0.997, p<0.001; 규산염: R=0.979, p<0.001)과의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는 담수 기원의 질소와 규소의 높 은 농도의 영양염류가 해수와 혼합되는 과정에서 희석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인산염농도는 염분이 15 psu를 기점으로 고염분의 유역에 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가 관찰되었고, 이는 수심이 얕은 광양만의 퇴적물이 조석에 의한 수층혼합으로 재부유되어 인산염 재용출로 인해 수 층에 일정량 기여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섬진강 하구역에서 동계 2월과 3월 우점한 식물플랑크톤은 Eucampia zodiacus로 나타났고, 그들은 전체 군집의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특히, 3월 생물 활성도를 평가한 결과, 염분과 chlorophyll a(R=0.82)뿐만 아니라 active chlorophyll a(R=0.80)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특히 담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상류 정점에서는 해수종 규조류가 염분충격으로 생리활성을 잃어 최대 75% 사멸율을 기록하였다. 2월 대조기 조사에서는 상대적으로 형광값이 높은 정점에서 pH가 높게 나타났고, 이는 높은 밀도로 우점한 규조류의 광합성 작용으로 CO2가 다량 흡수되어 pH 상승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월 현장식물플랑크톤 군집을 농축하여 저염분 환경에서 생물농 도구배에 따른 pH 변화를 파악한 결과, 염분충격에 의해 사멸한 식물플랑크톤의 영향으로 광합성 활성도의 감소를 가져왔고, 우점 규조류의 사멸 로 인해 박테리아가 현저하게 증식하였다. 그 결과 박테리아가 규조류를 생분해하는 과정에서 CO2가 발생하여 pH 의 감소를 유발하였다. 결과적 으로 섬진강하구역에서는 염분 구배에 따른 생물의 광합성 활성도의 차이와 생물사멸이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이는 pH의 증감을 유발하는 중요한 인자로 파악되었다.

    영어초록

    We evaluated the viability of phytoplankt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 in the flood and ebb tides of spring tide of February and the ebb tide of neap tide of March 2017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dditional laboratory experiments were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ason of the pH changes along the salinity gradient using the field natural sample in February. In field, saltwater was well mixed at downstream vertically and the salinity gradient was horizontally appeared toward upstream of freshwater zone. There were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alinity and nutrient (nitrate + nitrite R = 0.99, p <0.001, and silicate R = 0.98, p <0.001), implying that those two nutrients of freshwater origin were gradually diluted with mixing the saltwater. On the other hands, relatively high phosphate concentration was kept in the stations of saltwater over 15 psu, indicating that it was caused by resuspended sediments of Gwangyang Bay and downstream by tidal water mixing.Among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winter, Eucampia zodiacus have occupied to be c.a. 70 % in the most stations. Based on the field survey results for survivability of phytoplankton by phytoPAM instrumen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alinity and chlorophyll a (R = 0.82, p <0.001) and, salinity and active chlorophyll a (R = 0.80, p <0.001), implying that the dominant marine diatom species may have significantly damaged in low salinity conditions of upstream. Also, maximum mortality rate of phytoplankton caused by low salinity shock was appered to be 75% in the upstream station. In particular, the pH in spring tides of February had tended to increase with high phytoplankton accmulated stations, suggesting that it was related with absorption of CO2 by the photosynthesis of dominant diatom. In laboratory experiments, phytoplankton mass-mortality caused by low salinity shock was also occurred, which is confirmed with reducing the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ctivity. Following the phytoplankton mass-mortality, bacteria abunda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24 hours. As a result, the mass-proliferating bacteria can produce the CO2 in the process of biodegradation of diatoms, which can lead to pH decrease.Therefore, marine phytoplankton species was greatly damaged in freshwater mixing area, depending 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 that wa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role in elevating and reducing of pH in Seomjin River Estuar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