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남도청 앞 광장 및 모두누리 열린 숲 재조성 계획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3 최종저작일 2022.12
11P 미리보기
전남도청 앞 광장 및 모두누리 열린 숲 재조성 계획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휴양 및 경관연구 / 16권 / 4호
    · 저자명 : 배현미, 이창훈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현황분석
    2.1 대상지의 형성 역사
    2.2 대상지 환경 분석
    2.3 사례조사 및 이용자 행태 분석
    3. 기본구상
    3.1 계획목표 및 추진방향
    3.2 기본구상
    4. 기본계획
    4.1 모두누리 열린숲 조성계획의 기본방향
    4.2 청사 내 호수 및 숲 등 기존자원을 활용한 특화된산책로 계획
    4.3 수요자 중심의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의 공간 조성및 제공
    4.4 청사 앞 녹지의 효율적 이용 및 상징성 부여를 위한 상징 정원광장 조성
    5. 결론
    References

    초록

    본 연구는 전라남도 청사 및 남악호수 일원에 도민 모두가 함께 누리는 녹색문화숲 확충을 목표로 전라남도와 무안군이 함께 진행한 것이다. 2005년 조성 이후 많은 시간이 경과되었으나 공공청사에 부설되어 있는 녹지라는 이미지로 인해 도청방문객 및 지역주민들의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에 한계가 있어 방치되어왔다. 이에 청사 전면부와 청사 내 주변 공간을 도민을 위한 공공공간 즉 공원으로 조성하여 개방하였다. 청사 앞 광장과 청사 주변 공간은 기능을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도청 내 호수 주변 녹지는 도민을 위한 개방된 공공공간인 공원, 즉 열린 숲으로 계획했다. 청사 내 기존자원 즉 남악 호수 및 숲 등을 활용하여 지역의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특화된 산책로를 계획했으며, 모두가 원하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기능의 공간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했다. 아울러 지금까지는 편하게 이용되지 못한 장소를 도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아 공유마당 즉 쉐어링 가든으로 조성하여 도민 모두에게 공여하는 장소로 쓰이도록 계획했다. 2022년 정원페스티벌이 개최되는 도청사 전면녹지는 효율적 이용 및 상징성 부여를 위해 전라남도를 상징하는 상징 정원광장으로 계획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jointly conducted by Jeollanam-do and Muan-gun with the goal of expanding green cultural forests enjoyed by all residents of Jeollanam-do and Namak Lake. A lot of time has passed since its establishment in 2005, but due to the image of a green area attached to public buildings, it has been neglected due to limitations in free access and use by visitors to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and local residents. Accordingly, the plaza in front of the government building and the surrounding space were created and opened as a public space for citizens, namely a park. The space in front of and within the government building was planned with differentiated functions. The green area around the lake in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was planned as a park, an open public space for citizens, in other words, an open forest. We planned a specialized trail where you can feel the nature of the region by utilizing existing resources in the government building, such as Namak Lake and forest. In addition, consumer-centered spaces with various functions that everyone wants and can use comfortably are placed in the right place. In addition, with the meaning of actively providing a place that has not been used comfortably until now, it was planned to be used as a place that is provided to all citizens by creating a shared yard, or sharing garden. The front green area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where the garden festival will be held in 2022, was planned as a symbolic garden plaza that symbolizes jeollanam-do for efficient use and symbo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휴양 및 경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