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승려들의 송대 喫茶 문화 경험과 수용 -나한도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3 최종저작일 2022.09
27P 미리보기
일본 승려들의 송대 喫茶 문화 경험과 수용 -나한도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東洋美術史學 / 15권
    · 저자명 : 이정은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일본에 전래된 차의 수용과 소비
    1. 불교 의례에서의 공양물: 어영공(御影供), 천태대사공(天台大師供)
    2. 궁중 의례에서의 소비: 계어독경(季御讀經)과 히키챠(引茶)
    3. 밀교 법회에서의 사용: 북두법(北斗法)과 북두공(北斗供)
    Ⅲ. 入宋 승려들의 천태산 순례와 그들이 경험한 차
    Ⅳ. 나한도에 표현된 송대 의례와 청규로서의 喫茶
    1. 나한회, 나한공
    2. 입욕, 욕실
    3. 반승(飯僧), 끽다, 끽다준비
    Ⅳ.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본 논고는 일본 헤이안 시대 말에서 가마쿠라 시대 초기 중국에서 전래된 차의 수용 양상 을 천태대사공(天台大師供), 계어독경(季御讀經), 북두법, 나한신앙과 나한공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당시 궁정과 사원 의례 및 승원에서 사용된 차의 구체상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입송(入宋) 일본 승려들의 일기류 문헌, 선원청규(禪苑淸規)를 포함한 송대 사원의 각종 규칙서, 당시 남송 승원의 모습을 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나한도에 표현된 끽다 관련 양 상을 함께 분석하여, 일송(日宋) 교류의 배경 속에서 입송 일본 승려들이 중국에서 경험한 사원 의례와 승원 문화 속 차의 모습이 어떤 것이었는지, 이것이 어떻게 일본에서 수용되었 는지 그 구체적 일면을 고찰한다. 의례적인 관점을 통해 단순한 기호 음료가 아닌 갖추어야 할 공양물로서의 차 그리고 영적인 효능이 기대되던 차의 구체적 사용양상을 이해할 수 있으 며, 중국 송대 사원의 의례와 규율이 일본에 전래된 정황을 파악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Japanese early reception of Chinese tea, focusing on how tea was used in Buddhist and court rituals in the late Heian and early Kamakura periods. By examining priests’ diaries, religious texts, ritual manuals, and illustrated handscrolls, this paper details how tea was used in royal court and temple rituals, including offering rituals for abbots of the Tendai Buddhist sect(天台大師供), court rituals of Buddhist priests’ chanting the Prajñā-Paramitā sutra praying for the emperor’s and the court’s health and safety(季御讀經), and the Buddhsit offering rituals to the seven stars of the Big Dipper/ rituals for the workshop of the Big Dipper(北斗法) as well as offering rituals to arhat (羅漢供). By analyzing in particular the diaries of Japanese priests who visited Song Dynasty China, various priests’ rule books of the Song Dynasty that includes Tea-drinking(喫茶), and tea practices depicted in arhat paintings from China and Japan, this paper analyzes accounts of monastic rules and lives from the Song dynasty and investigates the specific uses of teas in the temple rituals and monastery culture that Japanese monks experienced in China in the context of the Japanese-Song ex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東洋美術史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