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상공회의소, 『대구경제총감』, 1985.
· 전국부두노동조합, 『한국부두노동운동백년사』, 1979.
· 전국철도노동조합, 『철로30년사』, 1977.
· 조선전업노동조합, 『전업노자10년사』, 1959.
· 한국노총, 『한국노동조합운동사』, 한국노동조합총연맹, 1979.
· 한국노총, 『한국노총 50년사』, 2002.
· 권오봉 인터뷰, 녹취: 임송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출처)
· 김관호 인터뷰, 녹취: 임송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출처)
· 김기곤 인터뷰, 녹취: 임송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출처)
· 나경일 인터뷰, 녹취: 김상숙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출처)
· 이옥화 인터뷰, 녹취: 김상숙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출처)
· 『경향신문』, 『대구매일신문』, 『동아일보』, 『매일신문』
· 『조선일보』, 『한국일보』.
· 김낙중, 『한국노동운동사』 -해방후편-, 청사, 1982.
· 김사욱, 『한국노동운동사』 <하>, 산경문화, 1979.
· 교육출판협의회, 『교육노동운동: 한국 및 일본 교원노동운동사』, 석탑, 1986.
· 서중석, 『1950년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비평사, 1998.
· 서중석, 『조봉암과 1950년대』 <상>, 역사비평사, 2000.
· 송종래 외, 『한국노동운동사』 4, 지식마당, 2004.
· 윤여덕, 『한국초기노동운동연구』, 일조각, 1991.
· 임송자, 『한국의 노동조합과 노동운동의 역사』, 선인, 2016.
· 장명국, 『노동운동과 민족문제』, 석탑, 1989.
· 조창화, 『한국노동조합운동사』, 한국노동문제연구원, 1978.
·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편, 『대구·울산 지역 실태와 노동운동』, 민중사, 1988.
· 한국역사연구회 현대사연구반, 『한국현대사』 2, 풀빛, 1991.
· 강신준, 「4·19혁명 시기 노동운동과 노동쟁의의 성격」, 『산업노동연구』, 제8권 제2호, 2002.
· 김영수, 「4·19혁명기 노동운동의 민주주의 이행전략」, 『민주주의와 인권』 제10권 제1호, 2010.
· 노진귀, 「한국노동운동사 재조명(1)- 8·15에서 4·19까지」, 『노동저널』, 2007.
· 박현채, 「특집한국 근현대사와 통일전선론. 4·19시기의 혁신운동과 그 한계 4·19시기 노동운동의 전개와 양상」, 『역사비평』, 1988.
· 이정권, 「권오봉 선생, 한국전쟁 후 노동운동의 기억」, 레프트 대구 6. 2013.
· 이정은, 「1950년대 노동 지배 담론과 노동자의 대응」, 『역사비평』, 2008.
· 이철국, 「4·19시기의 교원노동조합운동」, 『1950년대 한국사회와 4·19혁명』, 1991.
· 임송자, 「1950년대 후반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결성과 4월혁명기 노동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제 49호, 2006.
· 임송자, 「4월혁명 이후 노동조직 변화와 한국노총 결성과정」,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26호, 2006.
· 임송자, 「4월혁명기와 5·16 이후 부두노동조합 재편 과정과 노동조합 지도자들의 동향」, 『사회와 역사』 제93권, 2012.
· 장미현, 「1950년대 ‘민주적 노동조합’ 운동의 시작과 귀결 -‘대한방직 쟁의’와 전국노동조합협의회를 중심으로-」, 『동방사학』 제155집, 2011.
· 장미현, 「1950년대 후반 대구 대한방직 노동쟁의와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정호기, 「4월혁명기 전남지역의 노동조합과 노동쟁의」,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16권 1호, 2013.
· 조돈문, 「1950년대 대한노총의 노동조합과 계급지배 재생산」, 『산업노동연구』, 2000.
· 조창화, 「한국 노동조합운동에 관한 사적고찰」,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