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숙, 「춘향전의 현대적 수용과 문학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인하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 김병국,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문화사, 1991.
· 김석배, 「춘향전의 이별 대목에 나타난 변모 양상」, 『판소리 연구』제 2집, 판소 리 학회, 1991.
· 김수연, 「완판본 춘향전의 인물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9.
· 김영철 외, 『文學의 理論』, 형설출판사, 1998.
· 김종철, 「춘향전을 이해하는 한 방법」, 『한국고전문학입문』, 집문당, 1996.
·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3.
· 백문임, 『춘향의 딸들, 한국 여성의 반쪽짜리 계보학』, 책세상, 2001.
· 서은아, 「월매의 성격과 역할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 - 춘향과의 관계를 중심 으로」,『태릉어문연구』7, 1997.
· 서은아, 「정신분석학적 접근을 통한 춘향의 성격 연구」, 서울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1997.
· 설성경 역주, 「열녀춘향수절가」(완판 84장본), 『한국고전문학전집』12, 고려대 민 족문화연구소, 1995.
· 설성경 편저,『춘향예술사 자료총서1』, 국학자료원, 1998.
· 설성경, 「춘향전에 나타난 여인상」, 『인문과학연구논총』, 12집, 1994.
· 설성경, 『한국고전소설의 본질』, 국학자료원, 1999.
· 설중환, 「춘향전의 인물 구조와 사회적 성격」, 서울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 신동흔, 「춘향전 주제의식의 역사적 변모양상-완판 계열 이본을 중심으로」
· {판소리연구} 제8집, 판소리학회, 1997.
· 신동흔 「평민 독자의 입장에서 본 춘향전의 주제- `신학균본 별춘향가`를 중심으 로」 {판소리연구} 제6집, 판소리학회, 1995.
· 신영명, 「춘향전의 작품구조와 조선후기의 사회구조」 고려대 석사학위 논문, 1982.
· 신정순, 「춘향과 신분상승 의지」, 『국어교육논지』15, 대구교대, 1989.
· 유정상, 「춘향전에 나타난 인물 비교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
· 이배근, 「춘향의 성격 연구」, 상지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 장성원, 「춘향전에 나타난 인물의 형상과 갈등양상 연구」, 강릉대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1999.
· 춘향문화선양회,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광학술자료사, 1994.
· 한규섭, 「춘향의 애정과 분노의 발전 양상」, 『우암논총』제21집, 청주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 황수진, 「韓國小說에 나타난 女性人物 硏究-贖罪羊的 人物을 중심으로」, 건국대 석사학위 논문, 1989.
· 황패강, 「춘향전 연구」,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문화사,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