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EPA in US) (2002), "Solid waste and management and green house gases : A life-cycle assessment of emission and sinks".
· EPA (1992), Life-cycle Assessment : Inventory Guidelines & Principles, EPA/600/R-92/245.
· Habersatter,K. and F.Widmer (1991), "Ecobalance of Packaging Materials, State of1990", Swiss Federal Office of Environment, Forestand Landscape (FOEFL).
· IPCC (1995), Green House Gas Inventory Reference Manual,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Vol.3.
· ISO 14040~ISO 14043, "Life cycle assessment - Principle sand framework, Goal and scope definition aninventory analysis, Life cycle impactassessment, Life cycle interpretation.
· ISO / DIS 14040 (1996), "Environmental Management - Life Cycle Assessment - Principles and Framework".
· ISO / FDIS 14040 (1997), "Environmental management - Life cycle assessment - Principles and framework.
· LCA실무입문편집위원회 (2003), “LCA 실무입문”.
· Miller Ronald E.,Blair PeterD. (1985), "Input-Out put Analysis : foundations and extensions", Prentice-Hall, Inc, pp.200-204.
· OECD (2003), "Carbondioxide emissionsembodiedininternationaltradeof goods", STI working paper 2003/15.
· Ronald E. Miller, Peter D. Blair (1985), Input-Out 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Prentice-Hall, Inc, pp. 200-204.
· Seongwon, Yongwoo Hwang (1999), An Estimation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Debris in Seoul, Korea; Waste Amount, Type, and Estimating Model, Journal of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Vol. 49, No. 8, pp. 980-985.
· SETAC (1993.3.31-4.3), Guidelines for Life-Cycle Assessment : A Code of Practice".
· TOTAL(Version2.3.1)프로그램
· UNEP (1996), Life Cycle Assessment - Whatitis and How todoit, UNEP, Paris, France, pp. 7-8.
· 건설교통부 (1999), 도로포장 유지보수 실무 편람, 건설 교통부 도로관리과.
· 국제환경 경영표준화 대책반 (1994.10), “ISO 주요문서(TC 207/SC1, SC3, SC5, WG1)", 한국경영자총협회 및 공업진흥청.
· 금종수, 정용현 (2000), “지구환경과 21세기 건축설비의 LCA", 한국전과정학회 논문집, 제29권, 제8호, pp. 23-29.
· 김도군 (1995), “전과정 평가(LCA)기법에 의한 강구조 교량과 콘크리트 교량의 환경성과 경제성의 기초적 비교”, 한국과학기술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국과학기술원.
· 김도군 (1998), “환경친화적 건설활동을 위한 LCA 적용의 문제점 및 방안”, 한국 전과정평가 학회 ‘98정기총회 연구논문집, pp. 185-192.
· 김용기, 윤희택, 이재영, 김진용 (2005),“LCA 연구동향과 활용방안 사례”, 한국철도학회논문집, pp. 150-157.
· 김종엽 (2005), “국내 건축물 LCA를 위한 환경부하 원단위 개발동향”, 대산설비공학회, 제34권, 제12호, pp. 36-45.
· 김종엽, 김성완, 손장열 (2004), “건축물 LCA를 위한 건설자재의 환경부하 원단위 산출 연구”, 대학건축학회논문집, 20권, 7호.
· 대우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2006), “친환경적 설계를 위한 전과정평가(LCA)", 대우엔지니어링 기술보, 제22권, 제1호, 통권 제 27호, pp. 48-58.
· 맹승주 (1995), “LCA의 영향평가 기법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 박광호 (2000), “고속도로의 전과정에 따른 환경부하 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광호, 황용우, 서성원, 박중현 (2000), 고속도로의 수명주기에 따른 환경부하 평가, 대한토목학회지 제20권, 제3-D호, 2000년 5월
· 박광호, 황용우, 서성원 (1999a), "도시기반산업의 LCA를 위한 Database구축 - 도로 건설장비를 중심으로“, 대한환경공학회 ‘99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초록집, 광운대학교, pp. 379-380.
· 박광호, 황용우, 서성원 (1999b), "Hybrid LCA를 이용한 도로의 환경부하 평가“, 대한 환경공학회 ‘99추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초록집, 광주과학기술원, pp. 291-294.
· (사)한국물가정보센터 (1995), 종합물가정보
· 서성원 (1998), 주거용 건축물의 전과정에 따른 CO2배출량 평가 및 전산체계 구축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서성원, 지재성 (2000), “건설산업에서의 LCA 적용 방법론”, 토목학회, 제48권, 제1호, pp. 19-26.
· 서성원, 황용우 (1999a), 건축물의 전과정에 따른 CO2 배출량평가를 위한 전산체계 구축 및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9권, 제2-6호, pp. 749-755.
· 서성원, 황용우, 김성순 (1998a), “건설산업에 따른 CO2배출량의 정량적 평가”, 대한 토목학회 논문집, 제 18권, 2-4호, pp. 379-405.
· 서성원, 황용우, 김성순 (1998), “건설산업에 따른 CO2배출량의 정량적 평가”, 대한 토목학회 논문집, 제 18권, 2-5호, pp. 521-529.
· 서성원, 황용우 (1998b), 주거용 건축물의 전과정에 따른 CO2배출량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8권, 제 11-5호, pp. 521-529.
· 서성원, 황용우, 탁성제 (1998c), 온난화가스 저감을 위한 주거용 태양에너지 이용시스템의 전파정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9권, 제2-2호, pp. 215-224.
· 서성원, 황용우, 탁성제 (1998), “투입산출분석을 이용한 건설자재의 탄소배출량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98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 초록집, 스위스그랜드호텔, pp. 607-608.
· 서성원, 황용우 (1998), “주거용 건축물의 전과정에 따른 CO2배출량 평가”,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 18권, 2-5호, pp. 521-529.
· 서성원, 황용우 (1998), “주거용 건축물의 전과정에 따른 CO2배출량 평가”,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 19권, 2-2호, pp. 215-224.
· 윤성이 (1999), 화석에너지원의 LCI구축 및 온난화가스 배출량분석 ; 일본의 사례, 한국전과정평가학회논문집, 제1권, 제1호, pp. 83-93.
· 오일권 외, (1999), “환경정책 측면에서의 LCA 활용방안 사례 연구,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제1권, 제11호, pp. 95-101.
· 유한킴벌리 (1991), “종이 기저귀가 부담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할 사유”(주)유한킴벌리,(1991), “일회용 대 재사용 기저귀 : 보건, 환경, 경제적 비교”.
· 이태규 (2008), 교량의 합리적인 환경부하 평가를 위한 LCA 평가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 이태규 (2009), 교량의 합리적인 환경부하 평가를 위한 LCA 평가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전해표, 전효택, 김영석, (2003), “전과정 평가와 simulated annealing을 통한 폐수처리 공정의 환경적 최적화”, 한국지구 시스템공학회지, Vol.40, No.6, pp. 420-428.
· 조한권, (2001), “LCA를 적용한 건축물의 환경부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통상산업부 (1997), 에너지부문 전과정평가 인프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론.
· 한국도로공사 (1997a), 서해안고속도로 건설공사 단가산출서.
· 한국도로공사 (1997b), 서해안고속도로 건설공사 수량산출서.
· 한국도로공사 (1999), 유지보수 공종별 단가집.
· 한국은행 (1998), “95 산업연관표 CD-ROM”.
· 환경 보호 전협회 (1994), “토론자료 : ISO 14000국제환경표준화와 기업환경경영에 관한 세미나”.
· 황용우 (2000a), “건설산업의 종합적인 환경부하 평가를 위한 LCA의 필요성”, 토목학회, 제48권, 제1호, pp. 13~18.
· 황용우, 박광호, 서성원 (2000), “도로건설에따른 CO2배출량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Ⅱ-1호, pp. 113-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