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중국 여성의 이상심리에 제자훈련이 미치는 역동적 변화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0.08.14 최종저작일 2020.03
120P 미리보기
중국 여성의 이상심리에 제자훈련이 미치는 역동적 변화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목차

    I. 제 1 장 서론
    1. 연구의 이론적 배경
    2. 연구의 동기와 목적
    3. 연구의 목표
    4. 연구의 의의
    5. 연구의 핵심주제
    6. 연구의 질문
    7. 연구의 범위
    연구의 방법
    연구의 개관

    II. 제 2 장 제자 훈련 중 발견한 이상 심리의 사례와 치료 사역
    1. 중국 동북 지역 도시여성의 지위와 가치관
    2. 중국 동북 지역 도시 여성의 독특한 이상 심리
    3. 중국 동북 지역의 이혼율
    4. 중국 동북 여성들에게 필요한 상담 분야
    5. 제자 훈련 중에 발견한 이상심리의 분석 평가와 치료 사역
    사례 1. 우울증과 자살 유혹 사례
    사례 2. 용서함으로 병 고침 받은 사례
    사례 3. 중국여성들의 이혼에 대한 분노와 태도

    III. 제 3 장 성서 속 인물들의 이상심리와 신적 치료의 역동성
    1. 우울증과 자살
    2. 용서에 관한 성서적 관점
    3. 제 3자의 출현으로 인해 이상심리를 겪는 성서의 여인들

    IV. 제 4 장 중국 여성의 이상 심리 해소를 위한 기독교 상담 심리 연구
    1. 이상 심리 해소를 위한 상담 연구
    2. 기독교 심리상담적 처리

    V. 제 5 장 중국 여성의 이상심리를 해소하는 제자훈련의 체계화
    1. 중국 여성의 가치관 변화를 목표로 하는 제자훈련의 체계
    2. 중국여성의 역동적 변화의 경험과 그 너머의 세계

    VI. 제 6 장 결론

    VII. 제언

    VIII. 인용문헌 (REFERENCES CITED)

    본문내용

    이 연구는 이상심리를 겪는 중국 여성들에게 제자훈련이 역동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국의 여러 도시 지역으로부터 온 여성들을 훈련센터에 모아 훈련사역을 한 결과를 토대로 시작하여 성경적 근거와 이론적 연구를 진행한다. 1990년부터 2014년까지 선교사로서 필자가 경험한 동북지방의 중국 교회는 숫자적으로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삼자교회와 가정교회에는 강력한 제자화 훈련이 없었다. 그런 상황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이단에 빠지거나 세상의 유혹에 그대로 노출되어 이상심리를 겪는 이들이 많아진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한편 훈련 센터에서 진행된 소 그룹의 참가자들은 일정한 신앙의 성숙과 극적인 삶의 변화를 체험하였다. 이 훈련을 통해 삶의 변화와 문제의 해결을 경험한 이들이 각 교회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들의 간증을 들은 다른 성도들, 특히 이상심리를 겪는 이들이 제자 훈련을 사모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다. 그 결과 몇 년 지나지 않아 제자 훈련을 받기 원하는 성도들이 줄을 서게 되었다. 이는 곧 제자훈련이 이상심리를 겪는 이들에게 끼치는 영향력을 입증한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
    이상심리를 겪는 여성들에게 소 그룹을 통한 제자훈련이 효과가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역동적 변화의 급진성 (radicality of change dynamics)
    존 스토트(John Stott)는 그의 책 [제자도]의 서문에서 성경에는 그리스도라는 단어보다 제자(disciple)라는 단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고, 예수님도 이 단어를 즐겨쓰셨다고 말하고 있다。그에 의하면 ‘급진적인’, ‘ 근본적인’ 이라는 뜻의 영어단어 ‘ radical’은 라틴어의 뿌리를 어원으로 한다. 이는 ‘근본적인 문제를 들추어 내고 철저하게 헌신하는 이들을 가르친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이 둘을 합쳐 ‘급진적 제자 (The Radical Disciple)’ 란 예수님에게 철저하게 헌신하는 사람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 대한성서공회. 개역개정 성경전서. 서울: 청아문화사, 2013..
    · 톰슨성경 편찬위원회. 톰슨 II 주석성경. 서울: 기독지혜사, 1991.
    · English Bible. NIV. Seoul: Published by World of Life Press. 2015.
    · Chinese Bible: 新旧约全书 和合本 (Holy Bible Version). Taibei: Chinese Bible International Inc.2003.
    · 구성애. 니 잘못이 아니야. 서울: 올리브, 2008.
    · 글배우. 지쳤거나 좋아하는 게 없거나. 서울: 강한별, 2019.
    · 금병달. 멍든 남자 가슴 패인 여자 마음.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4.
    · 기독여민회 신학위원회. 성서가 보는 여성 여성이 보는 성서. 서울: 녹두, 1994.
    · 김남용. 역동적인 평신도 지도자를 세워라. 서울: 멘토, 2002.
    · 김병오. 영혼과 우울증. 서울: 대서, 2008.
    · 김성주. 박성수 외 3인. 나는 정직한 자의 형통을 믿는다. 서울: 규장, 2004.
    · 김영봉. 그분이 내 안에. 내가 그분 안에. 서울: 홍성사, 2015.
    · 김예식. 생각 바꾸기를 통한 우울증의 치료. 서울: 장로교출판사, 1998.
    · 김용태. 가짜 감정. 서울: 덴스토리, 2014.
    · 김은성. 나를 변화시키는 지저스 코칭. 서울: 위즈덤 하우스, 2010.
    · 김종삼. 나는 더 이상 끌려다니지 않기로 했다. 서울: 스틱, 2019.
    · 김종성. 의사 예수. 전나무 숲, 2009.
    · 김주환 회복탄력성. 서울: 위즈덤하우스, 2011.
    · 김창옥. 당신은 아무 일 없던 사람보다 강합니다. 서울: 수오서재, 2016.
    · 김청송.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DSM-5. 서울: 싸이북스, 2015.
    · 김태균. 오늘도 진료실에서 삶을 배웁니다. 서울: 수오서재, 2019.
    · 김현철. 불안하니까 사람이다. 서울: 애플북스, 2017.
    · 김형국. 요한과 함께 예수 찾기.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9.
    · 노안영.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17.
    · 문요한. 여행하는 인간. 서울: 해냄, 2016.
    · 박요한. 성경 속 여인들의 사랑과 야망 1. 파주: 성안당, 2010.
    · 박요한. 성경 속 여인들의 사랑과 야망 2. 파주: 성안당, 2010.
    · 백영옥. 빨강머리 앤이 하는 말. 서울: 아르테, 2016.
    · 신영준, 고영성. 뼈 있는 아무 말 대잔치. 서울: 로크미디어, 2018.
    · 양창순 담백하게 산다는 것. 서울: 다산북스, 2018.
    · 양창순. 오늘 참 괜찮은 나를 만났다. 서울: 김영사, 2019.
    · 옥성호. 심리학에 물든 부족한 기독교.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7.
    · 옥한흠. 이것이 목회의 본질이다.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4.
    · 윤태익. 나답게. 서울: 더난출판사, 2011.
    · 이관직 관계의 걸림돌 극복하기. 서울: 두란노 서원, 2017.
    · 이선이. 마음앓이. 서울: 보아스, 2017.
    · 이영희. 내적 치유 가이드. 이도희, 한충희, 최동진 역. Brington: Adora Productions, 2018.
    · 이찬수. 세상에서 믿는 자로 산다는 것. 서울: 규장, 2019
    · 이현우. 애도와 우울증. 서울: 그린비, 2011.
    · 정도언. 프로이트의 의자. 서울: 웅진지식 하우스, 2009.
    · 정태연. 허성호 외 3인. 현대심리학개론. 서울: 솔과학,2019.
    · 정혜신 당신으로 충분하다. 서울: 푸른숲, 2013.
    · 조영엽. 교회와 사회의 당면 문제들에 대한 성경적 해답. 서울: 북커뮤니케이션, 2016.
    · 최정윤. 박경. 서혜희.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6.
    · 하형록 페이버. 서울: 청림, 2017.
    · 한경은. 당신 생각은 사양합니다. 서울: 수오서재, 2019
    · 가타다 다마미. 나는 너를 용서할 수 있을까? 오시연 역. 서울: 이어달리기, 2018.
    · 게리 콜린스. 마음탐구. 허영자 역. 서울: 두란노, 1997.
    · 게리 콜린스. 크리스천 카운셀링. 피현희, 이혜련 역. 서울: 두란노, 2003
    · 그렉 옥던. 새로운 교회 개혁 이야기. 송광택 역. 서울: 미션월드 라이브러리, 2000.
    · 그렉 옥던. 제자도 (Transforming Discipleship). 박규태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7.
    · 기시미 이치로, 고가 후미타케. 미움 받을 용기. 전경아 역. 서울: 인플루엔셜, 2014.
    · 기엔 카젠. 믿음의 여인들1. 양은숙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7.
    · 기엔 카젠. 믿음의 여인들2. 양은숙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7.
    · 나폴레온 힐. 여덟 가지 삶의 태도. 유혜인 역. 서울: 흐름, 2019.
    · 노먼 라이트 사랑의 열쇠. 오정현 역. 서울: 사랑플러스, 2016.
    · 닐 앤더슨. 조앤 앤더슨. 내가 누구인지 이제 알았습니다. 정석영 역. 서울: 죠이선교회, 2006.
    · 달라스 윌라드. 하나님의 음성. 윤종석. 서울: IVP, 2016.
    · 댄 알렌더, 트렘퍼 롱맨3세. 감정 영혼의 외침. 안정임 역. 서울: IVP, 2011.
    · 데이빗 스툽 & 제임스 매스텔러. 부모를 나를 용서하기. 정성준 역. 경기 고양: 예수전도단, 2005.
    · 데이빗 씨맨즈. 치유하시는 은혜. 윤종석 역. 서울: 두란노, 1995.
    · 데이빗 프라이어. 고난과 영광. 이옥화 역. 서울: 두란노, 1990.
    · D.H.스몰. 그리스도인의 결혼설계. 전용원 역.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1990.
    · 딕 티비츠. 용서의 기술. 한미영 역. 서울: 알마, 2012.
    · 롤프 메르클레. 도리스 볼프. 감정사용 설명서. 유영미 역. 서울: 생각의 날개, 2012.
    · 리로이 아덴 , 데이비드 G. 베너. 용서와 상담. 전요섭 역. 서울: CLC, 2012.
    · 린세이 하딘, 케런 켄톤. 주홍 코드. 백지숙, 윤진숙 역. 서울: 탑북스, 2014.
    · 마시 시모프, 캐럴 클라인. 이유없이 행복하라. 안진환 역. 서울: 황금가지, 2014.
    · 배르벨 바르데츠키. 여자의 심리학. 강희진 역. 서울: 북폴리오, 2009.
    · 비키 제니아. 영적발달과 심리치료. 김병오 역. 서울: 대서, 2010
    · 세네카. 화 다스리기. 정윤희 역. 서울: 소울메이트, 2014.
    · 셀리 트레비쉬. 고립의 축복. 황의정 역. 서울: 베다니서원, 2018.
    · 스탠턴 L. 존스 & 리차드 E. 버트만. 현대 심리치료와 기독교적 평가. 이관직 역. 서울: 도서출판 대서,2016..
    · 스티브 레더. 정말 미안해 라고 말하기. 박아람 역. 서울: 책읽는 수요일, 2019. 115
    · 스티브 브라운. 율법 아래 있다고 느낄 때. 이상신 역. 서울: 두란노, 1992.
    · 아론 벡. 인지적 치료와 우울증, 214.
    · R T 켄달. 하나님을 열망하다. 손정훈 역. 서울: 두란노, 2019.
    · 엘리자베스 엘리엇. 고통은 헛되지 않아요. 정성묵 역. 서울: 두란노, 2019.
    · 우르슐라 누버. 심리학이 어린 시절을 말하다. 김하락 역. 서울: RHK, 2012.
    · 윌리암 글라써. 긍정적 중독. 김인자 역. 서울: 한국심리상담연구소, 2004.
    · JB 필립스. 당신의 하나님은 너무 작다(Your God is Too Small). 홍병룡 역. 서울: 비전북, 2016.
    · 존 가트맨, 낸 실버. 부부 감정치유. 최성애 역. 서울: 을유 문화사, 2014. 235.
    · 존 가트맨. 낸 실버. 행복한 결혼을 위한 7원칙. 노동욱, 박윤영 역. 서울: 문학사상, 2017.
    · 존 스토트. 제자도. 김명희 역. 서울: ivp, 2010.
    · 짐 그래함. 잠자는 거인을 깨운다. 윤준서 역. 서울: 두란노, 1990.
    · 칼 로저스. 사람 중심 상담. 오제은 역. 서울: 학지사, 2007
    · 토머스 조이너. 자살에 대한 오해와 편견. 지여울 역. 서울: 베이직북스, 2011.
    · 폴 브랜드, 필립 얀시. 아무도 원하지 않는 선물. 최종훈 역. 서울: 비아토르, 2019.
    · 폴 스티븐스. 내 이름은 야곱입니다. 최동수 역. 서울: 죠이선교회, 2011.
    · 폴 히버트. 21세기 선교와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 있는 사람. 2010.
    · 필립 얀시. 교회, 나의 고민 나의 사랑. 윤종석 역. 서울: IVP, 2019.
    · 헨리 클라우드. No라고 말할 줄 아는 그리스도인. 차성구 역. 서울: 좋은 씨앗, 2008.
    · 호와드 H. 캔들러. 심리학사. 이승복, 이현진, 김혜리, 김영란 역. 서울: 학문사, 1996.
    · 휴버트 반덴 베르그. 잡담의 인문학. 박홍경 역. 서울: 마리서사, 2017.
    · 颜培金. 东北女人. 北京: 中国友谊出版公司, 2005。
    · Shelly Trebesch. Isolation. Altadena: Barnabas Publishers, 1997.
    · 오인열. "제자훈련을 통한 중국인 교회를 북미 남가주 지역에 설립하는 방안 " D. Min. Fuller
    · Theological Seminary. 2016
    · http://blog.daum.net/heatproof/262
    · http://www.sohu.com/a/234085035_124749
    · http://www.fnnews.com/news/201912051737057329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77XX68600009
    · https://baijiahao.baidu.com/s?id=1654089624933257302&wfr=spider&for=pc
    · https://ko.dict.naver.com/#/userEntry/koko/6d7376f6883da71a67da67e8a11c9e5b
    · 2015.11.9
    · 대한의사협회 국민의학지식향상위원회. 2008. 10.9.
    · 연합뉴스. <의학> 화 잘 내는 사람 심장마비 위험. 2002년 4월 23일.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