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상경,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사회복지연구」, 제41권,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 강정인,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2, 정치사회」, 휴머니스트, 2006.
· 강태수, "주관적 공권으로서의 기본권의 발전과 내용", 「법학논집」, 제20권, 청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 권문택, "자살관여죄를 중심으로 한 법률문제", 「충남대학교 논문집」, 제1호, 충남대학교, 1959.
·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 김남연, "자살 예방", 「인문과학연구」, 제36권,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 김도균, “칸트와 법치주의”, 「철학사상」, 제24권,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7.
· 김명희, “한국사회 자살현상과 「자살론」의 실재론적 해석”, 「경제와 사회」, 통권 제96호. 비판사회학회, 2012.
· 김상배, " 자살불감증,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 「철학과 현실」, 제90호, 철학문화연구소, 2011.
· 김성돈, “형법상 작위와 부작위 구별”, 「고시연구」, 제14권, 고시연구사, 2002.
· 김은철·김태일,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미국헌법연구」, 제24권, 미국헌법학회, 2013.
· 김정수·송인한, " 자살예방 국가전략 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3권, 한구보건사회연구원, 2013.
· 김철영, "자살의 사회적 원인과 도덕적 치료에 관한 연구",「장신논단」, 제36집,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09.
· 김현조, “자살의 법적 성질과 자살관여죄의 재조명", 학위논문(박사), 경북대학교, 2011.
· 남기호, "자유로운 죽음의 방식", 「가톨릭철학」, 제16호, 한국가톨릭철학회, 2011.
· 노용환, “자살의 경제학적 분석”, 「경제학연구」, 제54집, 한국경제학회, 2006.
· 노용환·이상영, “우리나라의 자살급증원인과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제200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 문영석, "자살에 대한 사회적 성찰과 죽음학",「인간연구」, 제20호,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 민병로, "헌법상 자기결정권과 후견주의", 「법학논총」, 제32집,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 박이문, "철학 에세이-사유의 가시밭-자살소감", 「철학과현실」, 제53호, 철학문화연구소, 2002.
· 박현정, 박종익, "자살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 연구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을 중심으로", 「동아법학」, 제57권,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 박현준, "자살방조죄에서 방조행위의 범위", 「법률실무연구」, 제2권 제1호, 한국법률실무학회, 2014.
· 박화봉·김명환,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에 관한 연구”,「한국정치학회보」, 제34집, 한국정치학회, 2001.
· 배종대, 「형법각론」, 제7판, 홍문사, 2010.
· 백형구, "자살관여죄와 촉탁살인죄-학설의 정리-", 「고시계」, 제559호, 고시계사, 2003.
· 변상해·김세봉,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한국콘텐츠학회, 2011.
· 서동우·정상혁,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한국자살예방협회」, 2008.
· 서정혁, "헤겔의 『법철학』에서 ‘자살’의 문제", 「철학」, 제92집, 한국철학회, 2007.
· 손동권, 「형법각론」, 제3판, 율곡출판사, 2010.
· 송재룡, "한국 사회의 자살과 뒤르케임의 자살론",「사회이론」, 제34권, 한국사회이론학회, 2008.
· 오세혁, “자살의 의미-언어분석학적 관점에서”, 「법철학연구」, 제13권, 한국법철학회, 2010.
· 오정용, "공범성립에 있어서 위법의 연대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 제34집,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 유기천, 「형법학, 각론강의 上」, 19판, 일조각, 1981.
· 유호종, “자살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철학과 현실」, 통권 제82호, 철학문화연구소, 2009.
· 이덕인·박현도, "자살사건의 실증적 분석과 자살예방정책을 위한 제언", 「법학연구」, 제54권,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 이미경, "자살의 원인과 현황, 자살 예방 노력", 「사목정보」, 제5권, 미래사목연구소, 2012.
· 이상명·노용환·이기주, "우리나라의 자살급증원인과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2012-64, KIHASA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 이서규, "쇼펜하우어의 죽음에 대한 고찰", 「철학논총」, 제67집, 새한철학회, 2012.
· 이용훈, "자살의 형법관", 「법정」, 제19권, 법정사, 1984.
· 이재상, 「형법각론」, 제5판, 박영사, 2008.
· 이재상, 「형법총론」, 제6판, 박영사, 2009.
· 이한구, "자살은 자신에 대한 의무의 파기다", 「철학과 현실」, 제82호, 철학문화연구소, 2009.
· 이형국, 「형법각론」, 제5판, 박영사, 2007.
· 이혜성·박재황·김진희·이상희·노성덕, “또래상담 운영 방안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7권,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999.
· 임웅, 「형법각론」, 개정판 제2보정, 법문사, 2009.
· 정영석, 「형법총론」, 제5판, 법문사, 1988.
·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5판, 박영사, 2010.
· 정진욱, "일본의 자살 예방 대책", 「Issue & Focus」, 제84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정진욱, "일본의 제2차 자살예방 종합대책", 「보건복지포럼」, 제200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 정창운, "자살의 죄책성", 「법정」, 제21권, 법정사, 1966.
· 조한상·이주희,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법학연구」, 제49집, 한국법학회, 2013.
· 진재현·고혜연,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인구집단별 자살률 동향과 정책제언", 「보건복지포럼」제195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 최원기, "청소년 자살의 사회구조적 원인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18집,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2004.
· 토마스 브로니쉬, 이재원 역, 「자살」, 이끌리오, 2002.
· 토머스 조이너, 지여울 역, 「자살에 대한 오해와 편견」, 베이직북스, 2011.
· 표명환,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국민의 자유와 권리에 관한 체계적 고찰",「공법학연구」,제12권, 한국비교공법학회, 2011.
· 谷直之, 自殺罪にする一考察, 同志社法, 제44권 제6호, 同志社法, 1993.
· 田中成明, 法理學講義, 有斐閣, 1994年.
· Immanuel Kant, 백종현 역, 「윤리형이상학 정초(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아카넷, 2005.
· Arthur Schopenhauer, Samtliche Werke(Bd.2), Stuttgart/Frankfurt am Main 1996.
· G. Graber, “Mastering the Concept of Suicide,”, Suicide and Euthanasia, U. of Tennessee Press, 1998.
· R. Brandt, “The morality and Rationality of Suicide,” A Handbook for the Understanding of Suicide, Oxford, 1975.
· S. Almandras, "Assisted Suicide", House of Common Library, 2010.
· T. Beauchamp, “Suicide,” Matters of Life and Death, Philadelphia: Temple UP, 1980.
· W. Tolhurst, “Suicide, Self-Sacrifice, and Coercion,” The Southern Journal of Philosophy, New York: Prometheus,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