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7 4 27). 항공교통량, 국제선⋅국내선 모두 ‘지속 증가’, 지난해 비 6.5% 늘어...김해공항 증가세 두드러져.
· 김규미 (2015). 공 선택결정요인이 공만족도와 공몰 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향. 한양학교 국제학원 석사학논문.
· 김미 (2014). 뉴 에어스이(New Airscape)가 종사원의 직무 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미치는 향:A380 항공 기를 심으로. 인하학교 석사학논문.
· 김민경 (2014). 항공사의 에어스이(Airscape)가 지각된 가치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향. 신라학교 석사학논 문.
· 김선희⋅김홍빈⋅차석빈 (2011). 직원의 항공사 캐빈 서비 스스이 (Cabin Servicescape) 척도 개발. 연구, 26(3), 43-66.
· 김순희 (2012). 항공사 승무원 조직의 후원 인식, 몰입, 서비스 성과간의 구조 계. 연구, 27(4), 53-74.
· 김소 (2014). 에어캡스이와 랜드인지도가 감정반응, 랜드인지도가 감정반응, 랜드이미지, 만족도와 충성 도에 미치는 향: A380 항공기 랜드를 심으로. 세종학교 박사학논문.
· 김연진 (2016). 에어스이와 인서비스가 감정반응 충성 도에 미치는 향: 국내항공사를 심으로. 청운학교 석사학논문.
· 김재원 (2014). 항공사의 서비스스이가 고객만족과 애호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향. 연구, 26(5), 195-210.
· 김창곤 (2007). 호텔종사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한 연구. 연구, 15(1), 159-174.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2(3), 2018 109
· 김경⋅조혜진⋅정철 (2017). 항공사 기내 물리, 사회 서비 스스이 차이 비교분석. 연구, 31(1), 51-65.
· 김홍희⋅김남조 (2012). 서비스스이를 통해 본 박물 람 환경이 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향: 쟁기념 방문객 을 상으로. 한양학교 석사학논문.
· 김화진⋅한진수 (2012). 항공사 서비스스이가 고객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향 연구. 서비스경학회지, 13(1), 259-281.
· 남헌 (2004). 호텔 서비스 제공자의 지각된 친사회 행동이 시장성과와 품질성과에 미치는 향. 연구, 16(1), 39-54.
· 박성연 (2000). 종업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의 서비스지향성이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한국마, 2(1), 99-117.
· 반미순 (2013). 교정공무원의 여가만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향 요인 연구: 여가유형과 여가참여시간의 조효과 를 심으로. 백석학교 석사학논문.
· 백지⋅김문명⋅이은용 (2014). 기내 서비스스이가 고객 의 감정, 신체 반응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향. 연구, 26(8), 375-392. 서명선 (2012). 서비스스이가 고객만족, 계의 질, 계행동 요인에 미치는 향계. 서비스경학회지, 13(1), 283-314.
· 서숙⋅김택⋅조한주 (2005). 변⋅거래 리더십이 직 원 만족과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연구, 20(2), 227-245.
· 유민 (2008).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에서 서비스스이 지각 과 서비스장소성에 한 탐색 연구. 연구논총, 20(2), 189-208.
· 유민 (2013). 서비스스이 개념의 확장. 연구논총, 25(1), 125-143.
· 유민 (2014). 캠핑장 서비스스이가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 에 미치는 향. 물리, 자연, 사회 서비스스이 를 심으로. 학연구, 38(10), 33-56.
· 윤문길⋅이휘 (2011). 항공사의 효율인 RM 운을 한 시스템 환경개선연구. 한국항공경학회, 9(2), 127-135.
· 윤설민⋅박일우⋅정희진 (2012). IPA를 활용한 비용항공사의 발 방안에 한 실증분석: 에어스이(Airscape)개 념을 심으로. 경연구, 52(1), 217-236. 이생노⋅박철호⋅한수정 (2014). 호텔종사원의 서비스지향성, 직무만족, 경성과 간의 계 연구. 연구, 28(3), 207-219.
· 이경은 (2016). 비용항공사 에어스이, 랜드 인식, 주 경력성공 간 구조 계. 연구, 30(7), 157-174.
· 이권희 (2013). 호텔조리사의 주방환경 인식이 직무몰입, 만족 성과에 미치는 향. 제주학교 석사학논문.
· 이순구⋅박미선 (2011). 호텔기업리자의 감성리더십이 조직 유효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향. 연구, 23(1), 122-140.
· 이진성⋅김용수 (2012).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서비스지향성 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향-직무만족, 서비스몰입의 매개효과를 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8(1), 189-208.
· 이재철⋅배성일 (2013). 호텔기업 종사원의 서비스지향성이 직 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향. 연구, 27(6), 457-469.
· 이춘수⋅하명신⋅이주의 (2009). 물류기업의 내부마이 조 직유효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향. Korea Logistics Review, 19(2), 189-211.
· 임미경 (2015). A380 캐빈서비스스이가 승무원의 직무태도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향. 세종학교 석사학논 문.
· 임진⋅정경일 (2017). 항공기 객실의 물리 환경과 객실 승무 원의 서비스 지향성의 계에서 승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연구, 31(8), 123-136.
· 홍섭⋅박남수 (2014). 호텔 종사원의 심리 주인의식이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향-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심으 로. Tourism Research, 39(3), 91-113.
· 정태연 (2015). 항공사 승무원의 직무스트스가 조직유효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향-국내 형항공사, 비용항공 사, 외국항공사 비교. 동북아연구, 11(4), 127-153. 채서일⋅김종범⋅이성근 (1993). SPSS/PC+를 이용한 통계분석. 서울: 학사.
· 최승담⋅최문석 (2012). 주제공원의 서비스스이가 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향. 연구, 27(4). 297-512.
· 한진석⋅김남조 (2017). 시회 서비스스이가 참객의 혼 잡지각과 응행동에 미치는 향연구: 한국국제 에서의 방문동기 조효과를 심으로. 학연구, 41(6), 167-190.
· Berry, L. L., Parasuraman, A.., & Zeithaml, V. A. (1994). Improving service quality in america: Lesson learned. Academy of Management Execute, 8(2), 32-52.
· Bitner, M. J., (1992). Servicescape: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Journal of Marketing, 56(4), 57-71.
· Hair, J. F., Black, W. C.,Babin, B. J., & Anderson, R. E. (2010). 110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irscape, service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f the cabin crew for a sustainable airline tourism industry
· Multivariate date analysis.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 Hightower. R. (2003). Framework for managing the servicescape: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e Marketing Management Journal, 13(2), 84-95.
· Kelley, S. W., & Hoffman, K. D. (1997). An investigation of positive affect, prosocial behaviors and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73(3), 407-427.
· Kotler, P. (1973). Atmospherics as a marketing tool, Journal of Retailing, 49(4). 48-64.
·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Dunnette, M. D.,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 Maier, N. F., & Verse, C. (5th ed.). (1982). Psychology in industrial organizations, Boston: Houghton Mifflin Co.
· Milliman, R. E. (1986), The influence of background music on the behavior of restaurant patr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2). 286-289.
· Messner, W. (2016). The impact of an aircraft's service environment on perceptions of in-flight food quality. Journal of Air Transport Management, 53, 123-130.
· Neuyen, N., & Leblac G. (2002). Contract personnel,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perceived corporate image of intangible service by new cli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13(3), 242-262.
· Parkington, J., & Schneider, B. (1979). Some correlates of experienced job stress: A boundary role stud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2(2), 270-281.
· Rosenbaum, M. S., & Massiah, C. (2011). An expanded servicescape perspective. Journal of Service Management, 22(4), 471-490.
· Saxe, R., & Weitz, B. A. (1982). The SOCO scale: A measure of the customer orientation of sales peopl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8), 343-351.
· Shostack, G. L. (1977). Breaking free from product marketing. The Journal of Marketing, 41(2), 73-80.
· Shostack, G. L. (1987). Service positioning through structural change. Journal of Marketing, 51(1), 34-43.
· Smith, H. C., Kendal, H. M., & Hulin, C. L. (1969).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retirement. Chicago: Rand McNally
· Tombs, A., & McColl-Kennedy, J. R. (2003). Social-servicescape conceptual model. Marketing theory, 3(4), 447-475.
· Turley, L., & Milliman, R. (2000). Atmospheric effects on shopping behavior: A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9(2), 193-211.
· Wirz, J., Heracleous, L., & Pangarkar, N. (2008). Managing human resources for service excellence and cost effectiveness at singapore airline. Managing Service Quality, 18(1),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