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태·이영환. (2006).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의제 설정 모델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23
· 곽금주. (2016). 발달심리학: 아동기를 중심으로. 학지사
· 권석만. (2012).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학지사
· 권석만. (2015). 현대 성격심리학: 이론적 이해와 실천적 활용. 학지사.
· 나은영. (2005). 청소년의 이동전화 애착 이용, 효과 지각 및 커뮤니케이션 효능감. 한국언론학보 49권 6호. 198-232.
· 박혜민, [스페셜 리포트] 한국 SNS 보급률 세계 최고... 스마트폰, 길찾기·소액결제 때 많이 써, 중앙일보, 2011.06.22. 경제 2면. http://news.joins.com/article/5673362
·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박나리. (2015).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변해림. (2016). 대인불안성향, 지각된 사회적지지, SNS 중독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 서거. (2013). 페이스북(Facebook) 이용 중독이 대학생의 사회성 및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 염선규. (2014). 모바일 SNS에 대한 애착이 우울감, 불안감,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이진형. (2012).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확산과 동향, 인사관리 통권27호
· 이장호 (1982). 상담심리학 입문. 서울: 박영사.
· 오윤경. (2011).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 우공선. (2011).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Mobile Social Network Service)의 이용 충족과 중독 연구 :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 윤승욱·박원준. (2007). 휴대전화 애착정도가 사용자의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1권 1호. 243-275.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 정인아. (1993).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련 스트레스에 따른 대인관계 행동.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조맹제·김계희. (1996). 주요우울증 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2권 3호. 381-399.
·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 (2013).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5), p.1005-1015
· 최서윤. (2011). 휴대전화에 대한 애착.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8권 4호. 219-256.
· 최세경·곽규태·이봉규. (2012).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모바일 SNS 애착이 SNS 상호작용과 이용 후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권 1호. 159-200.
· 한미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홍구표 (2017).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권 1호. 34-67.
· 홍신영. (2015). 대학생의 SNS 이용특성과 자아정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2016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 Ainsworth, M. D. S., Blehar, M. C., Waters, E., & Wall, S.(1978).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Hilladale, NY: Erlbaum.
· Allen, Jon G. (2005). Coping With Trauma. 권정혜 역 (2010). 트라우마의 치유. 서울: 학지사
· Bowlby, J. (1979). The Making and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London: Tavistock Publications.
·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s stress. J 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 Comer, (2010). Fundamentals of Abnormal Psychology : 7th Edition. Worth Publishers
· Freud, S. (1938). An outline of psychoanalysis. London: Hogarth
· Freud, S. (1959). Inhibitions, symptoms, anxiety (A. Stra chey, Trans. and J. Stra chey, Ed.). New York: Norton.
· Gaulin & McBurney. (2001). Evolutionary Psychology, 2nd Edition. Pearson.
· Gene Smith. (2007). “Social software building blocks”
· Goldberg. (2000). Attachment and Development. Routledge.
· Hazan, C. & Shaver, P. (1987).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511-524.
· Hokanson, J. E. & Butler, A. C. (1992). Cluster analysis of depressescollege student’s social behavi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2), 273-280.
·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es: Addison-Wesley Publishers Inc.
· Kietzmann, J. H. Hermkens, K. McCarthy, I. P and Silvestreet, B. S (2011) Social media? Get serious! Understanding the functional building blocks of social media. Business Horizons, Vol. 54.
· Meena, P. S., Soni, R., Jain, M., & Paliwal, S. (2015). Social networking sites
· addiction and associated psychological problems among young adults: a study
· from North India. SriLanka Journal of Psychiatry, 6(1), pp.14-16.
· Pollet, T. V., Roberts, S. G., & Dunbar, R. I. (2011). Use of social network sites and instant messaging does not lead to increased offline social network size, or to emotionally closer relationships with offline network member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4, 253-258.
·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 Sarason, B. R., Pierce, G. R., Shearin, E. N., Sarason, I. G., Waltz, J. A., & Poppe, L. (1991).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orking models of self and actual others. J 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2), 273-287.
· Spielberger, C. D., Gorshch,R.L., & Luschene, R. E. (1970). Manual for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