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해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겪는 성장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6.14 최종저작일 2017.03
35P 미리보기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해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겪는 성장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교육 / 37권
    · 저자명 : 박미현, 김소희, 배진형

    목차

    Ⅰ. 서 론
    II.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 사회복지실습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사회복지실
    습 전반을 통해 어떠한 성장 경험을 하였는지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
    해 보다 발전적인 실습교육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기능하고자 하는 의의를 가지
    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G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북한이탈주민 학생 6명을 대상
    으로 이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실습을 통한 성장 경험을 탐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
    양한 경험 상황을 실질적으로 보다 구체화 하여 드러내주기 위한 목적으로 Strauss and
    Corbin의 개방코딩을 활용하여 질적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 사회복
    지실습생의 성장 경험은, 39개의 개념, 16개 하위범주, 6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범주는
    ‘탈북민으로서 위축감을 떨쳐내고 자신과 주변 관계를 새롭게 구축함’, ‘낯설던 사회복지
    영역에서 전문역량의 증진을 경험함’, ‘남한에서 사회복지사란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지
    를 자각해 감’, ‘남북의 차이를 인식하고 발전의 기회로 삼음’, ‘졸업 후 남한 사회 정착을
    위한 진로와의 연결점을 찾음‘ 그리고 ’나눔의 계기가 되어 남한사회에 대한 공헌의식으로
    성장되고 실천해감‘ 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차별화된 성장 경험을 더욱 증
    진하고 대학과 실습기관에서 반영하여야 할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growth experiences through
    their field work practicum.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providing basic informations
    for improving education both within the university sector and also for the social welfare
    agencies that manage the program. In this study, 6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were recruited and they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with their consent.
    Data was analyzed by open coding through constant comparison method in grounded
    theory. The results showed 39 concepts, 16 sub-categories and 6 categories. The categories
    include ‘building a new relationship with themselves and people around them through
    active trying’, ‘experiencing the growth of professional capacities’, ‘figuring out reality
    and the fundamental attitudes of South Korean social workers’, ‘considering the
    practicum as productive opportunities through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eek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acticum and their own future
    career in the aspect of adjustment in South Korea’ and ‘growing a sense of social
    contribution through social sharing'. According to the results, suggestions for increasing
    their growth experience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nd perspectives that the
    universities, and community agencies who educate them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in
    the expectation of improving field work education in more cultural competent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