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의 初期 外位體系와 ‘及伐尺’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4.17 최종저작일 2016.12
29P 미리보기
新羅의 初期 外位體系와 ‘及伐尺’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61권
    · 저자명 : 윤선태

    목차

    Ⅰ. 머리말
    Ⅱ. ‘及伐尺’의 존재
    Ⅲ. 초기 外位體系의 복원
    Ⅳ. 外位制의 성립과정
    Ⅴ. 맺음말

    초록

    『三國史記』직관지 外位條에는 干 아래에 一伐, 一尺, 波旦, 阿尺의 등급만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진흥왕대에 작성된 함안 성산산성 출
    토 신라목간에서 ‘及伐尺(急伐尺)’이라는 새로운 외위 등급이 보고되었다. 또 「봉
    평리비」(524년)에서도 종래 ‘居□尺’으로 판독한 글자는 ‘居伐尺’으로 읽을 수 있는
    데, 이 역시 ‘及伐尺’의 異表記라는 점에서 ‘급벌척’이라는 외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출토문자자료의 발굴과 기존 금석문의 재판독을 통해 ‘급
    벌척’이 신라 외위 등급 중의 하나였음을 분명히 알 수 있게 되었다.
    외위의 사례가 가장 풍부한 10개의 「남산신성비」(591년)에서 급벌척이 전혀
    확인되지 않고 있고, 또 문무왕 13∼14년 외위제가 소멸될 무렵의 상황을 전하는
    『삼국사기』에도 급벌척이라는 등급이 전혀 언급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급벌척
    은 법흥왕∼진흥왕대에 기능했던 초기의 외위제 등급이었다고 생각된다.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를 비롯해 진흥왕대의 자료로 추론해볼 때, 초기의 외위체계는 干 아래에 一伐, 一尺, 波旦, 阿尺, 沙尺, 及伐尺, 一今智의 등급으로
    서열화 되어 있었다. 이러한 등급구성은 ‘干支/一今智’라는 「냉수리비」(501년) 단
    계까지 기능했던 지방인 위호체계가 사라지지 않고 퇴행적 잔재로 여전히 남아있
    는 상태에서, 법흥왕대의 율령에서 확립된 一伐, 一尺, 波旦, 阿尺, 沙尺, 及伐尺의
    새로운 외위체계가 병존하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이후 一今智는 곧 소멸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사척이나 급벌척 등 최하위의 외위 관등 역시 삼국의 항쟁
    이 격화되고 지방인의 군사활동 등 정치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지방인에 대한 국가
    적 포상이 폭증하는 외위 관등 사여의 인플레 현상 속에서 진평왕대 이전에 소멸
    되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영어초록

    It is recorded that there were Ilbeol(一伐), Ilcheok(一尺), Piil(Padan,
    波旦/彼日) and Acheok(阿尺) under Gan(干) as the local official position
    ranks in the Oewi(外位) of the Samguksagi(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However, on the wooden document excavated
    from the ruins of Seongsan mountain castle(城山山城) in Haman(咸安)
    ‘Geupbeolcheok(及伐尺, 急伐尺)’, another Oewi rating was written in
    Chinese ink. This wooden document was from the period of King
    Jinheung(眞興王) of the Silla(新羅) Dynasty. In addition, the letters of
    the Bongpyeong-ri stone monument(鳳坪里碑)(AD 524), which were
    read as ‘Geo△cheok(居△尺)’ in the past, can be read as ‘Geobeolcheok
    (居伐尺)’. Geobeolcheok(居伐尺) is considered another expression of
    Geupbeolcheok(及伐尺). It can be clearly seen that there was a Oewi
    called ‘Geupbeolcheok’ through the excavation of new wooden
    documents and the re-reading of the existing inscription materials.
    However, the rank, Geupbeolcheok was not found on 10 Namsansinseong
    stone monuments(南山新城碑)(AD 591), which contain abundant
    expressions related to the Oewi. In addition, Geupbeolcheok was not
    mentioned at all in Samguksagi, which tells about the situation from the 13th to 14th year of King Munmu(文武王) when the Oewi system was
    going to disappear. Therefore, Geupbeolcheok seems to have been the
    early Oewi system of the Silla which functioned in the period from King
    Beopheung(法興王) to King Jinheung(眞興王). The early Oewi system
    was ranked under the Gan with the grades of Ilbeol, Ilcheok, Padan,
    Acheok, Sacheok(沙尺), Geupbeolcheok, and Ilgeumji(一今智). This is
    because the local government rank system of “Ganji(干支) - Ilgeumji”,
    which functioned before the stage of Naengsu-ri stone monument(冷水
    里碑) (AD 503), remained as retired residue without disappearing, and
    the new Oewi system of Ilbeol, Ilcheok, Padan, Acheok, Sacheok,
    Geupbeolcheok,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statute of the King
    Beopheung(法興王), coexisted at the same time. Since then, Ganji,
    which has the meaning of the chief, seems to have been changed soon
    to the name of Haganji(下干支) in the Oewi system. Ilgeumji was also
    estimated to have vanished in the days of King Beopheung. On the
    other hand, Sacheok and Geupbeolcheok also seemed to have vanished
    before the time of King Jinpyeong(眞平王).
    Judging by the Junseong-ri stone monument(中城里碑), only Ilbeol
    was set up under Ganji in the Six Division(6部) of the capital, and only
    Ilgeumji was set up under Ganji in the local governments. The Ganji
    of Six Division was politically divided into the different ranks in
    the central government: Ilbeolganji, Ilganji, Pajinganji, Aganji, Saganji,
    and Geobeolganji(Geupbeolganji). It is considered that the local
    official position ranks followed the same Oewi system as the central,
    there were positions like Ilbeol, Ilcheok, Padan, Acheok, Sacheok,
    Geobeolcheok(Geupbeolcheok).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