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녹두영감>과 <팥죽할멈> 설화의 문화사적 이해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4.17 최종저작일 2015.12
28P 미리보기
&lt;녹두영감&gt;과 &lt;팥죽할멈&gt; 설화의 문화사적 이해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41권
    · 저자명 : 신연우

    목차

    1. 머리말
    2. 설화 자료와 의미 추정
    3. 설화와의 대비적 고찰
    4. 설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
    5. 맺음말

    초록

    <녹두영감> 설화는 농사를 방해하는 토끼와 영감의 싸움을 그리고 있다. 토끼를 혼내려
    던 영감이 오히려 토끼에게 속아 손자를 삶아먹고 집은 화재로 잃는다는 충격적인 내용이
    다. 영감과 토끼의 적대적 관계는 농사를 두고 벌어진다. 이를 농경시기에 접어든 인간이
    자연-동물과의 적대적 싸움을 벌이던 모습으로 이해해볼 수 있다. 토끼는 인간이 자연을 점
    령할수록 삶의 위협을 받아 저항하며, 노인은 타협이 아니라 토끼를 처치하려는 악수를 두
    다가 파멸하고 말았다.
    이와 대조되는 것이 <팥죽할멈> 설화이다. 할머니가 혼자 팥농사를 하고 있는데 호랑이
    가 와서 잡아먹겠다고 위협한다. 할머니는 멍석, 바늘 등 살림살이 도구들의 도움을 받아
    호랑이를 물리친다. 영감은 졌던 싸움에 왜 할머니는 이기는 것일까? 영감과 달리 팥죽할
    멈은 인공적 도구, 인간친화적 도구들을 이용한다. 주변 생활도구들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도구의 도움이 없던 영감의 시대와 달리 도구를 통해 자연과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나가
    는 모습을 반영한다. 녹두영감이 자연을 적대시하고 파멸하는 남성적 모습을 보여주는 것
    과 달리 팥죽할멈은 자연과 타협을 시도하고 주변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여성적 원리를 제
    시한다고 이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를 다시 조망해볼 수 있다. 이 설화에는
    도구를 이용해 호랑이를 물리치는 오누이의 모습이 팥죽할멈과 닮은 면이 있다. 그러나 그 결말은 원래 호랑이에게 아이들이 죽임을 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나 몽고 설화에는
    해와 달이 되는 결말이 없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는 인간이 호랑이 앞에서 죽음을
    피할 수 없었던 과거의 상태를 담고 있는 설화이다. 이 설화는 <녹두영감>이나 <팥죽할
    멈>과 마찬가지로 인간과 동물의 갈등, 농경과 자연에 대한 인간의 대응과 변화를 보여주
    던 설화로 이해할 수 있다.
    원래 호랑이에게 희생되는 것으로 끝났던 그 설화는 그 자체로 끝나는 각편도 많지만,
    다른 결말이 추가된 것들이 두 종류 있다. 오누이가 해와 달이 되는 결말은 아이들이 호랑
    이에게 희생된 것을 신화적으로 처리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결말과 달리 <팥죽할
    멈>설화와 연결되는 것은 도구를 이용해 동물을 제압해 문명을 일구어나가던 단계의 인간
    의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Mung-bean Codger”, one of the Korean Folktales, describe the fight between
    the codger and hares who intrude into the mung-bean field. And it was
    cultivated by the codger. The codger, who wanted to punish the hares, was
    fooled inversely. It is shocking to find the codger boiled his own grandson
    and set his house afire. The antagonistic relations between them centers in
    farming or agriculture. We can understand it as the fight between man and
    nature-animal in the age of the beginning of agriculture. The more man
    cultivated farmland, he more the other animals resisted as they were to be
    submit to threats by the mankind. The codger did not take a compromising
    attitude, but tried to do away with hares. He draw ruin upon himself.
    "Red-bean Soup Grandma" is the antithetic to “Mung-bean Codger.” A
    grandma was sawing red-bean when a tiger came and threat her to vorant.
    The grandma beat him out with the help of straw-mat, needle, an A-frame
    carrier pole etc. Why did she win the fight when the codger lost? The grandma
    differ from the codger used the manmade and human-friendly tools. She was
    helped by the tools for life. She showed us how she formed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the nature-animal. She won by arranging compromise measure and tried to present the female principle seeking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Now we can cast a new light upon the Korean folktale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Moon." It also is a tale of the past, which
    shows the strife between man and nature, the response to the agriculture of
    humankind. Originally the kids in the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Moon" seemed to be killed by the tiger like the codger’s grandchild.
    That might be the real situation. And some of the versions of “The Brother
    and Sister” and “The Red-bean Soup Grandma” are resembling in repelling tigers
    using some tool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