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 학습공동체에서 구성원의 사고양식에 따른 만족도,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6.08
22P 미리보기
대학생 학습공동체에서 구성원의 사고양식에 따른 만족도,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방법연구 / 28권 / 3호
    · 저자명 : 노혜란, 최미나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이 연구는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대학생의 사고양식에 따라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협력
    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사고양식은 Sternberg & Wagner(1991)가 개발한 사고양식 검사도구 중에서 기능범주의 3가지 사고유
    형을 진단하는 15개 문항을 활용하였고, 협력적 자기조절은 DiDonato(2013)가 개발한 6개의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집단응집성은 박하나(2015)가 10개의 문항으로 측정한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충북 소재 대학교에서 실시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2015년 2학기부터 2016년 1학기까지 참여한 89
    개 팀 1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기술통계, ANOVA 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첫째, 사법형 학생들의 ‘열의를 가지고 참여’에 대한 만족이 입법형 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지도교수 면담 도움’과 ‘주간학습 보고서 도움’에 대한 만족은 사법형 학생들이 행정형 학생들보다
    높았다. 둘째, 협력적 자기조절 정도에 대한 6가지 모든 항목에서 행정형보다 사법형과 입법형 학생
    들이 높았다. 셋째, 집단응집성에서는 과업 응집성 항목 중에서 ‘갈등’ 정도에 대하여 사법형이 행정
    형보다 높게 인식하였고, ‘문제 발생시 팀원이 서로 도움’에 대한 인식은 행정형보다 입법형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학생들의 사고양식이 학습공동체 활동의 만족도, 협력적 자기조
    절, 집단응집성과 관련이 있고, 특히 사법형과 입법형이 행정형보다 학습공동체 활동에 긍정적인 사
    고양식임을 알 수 있었다. 행정형의 경우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다소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시사
    하는 결과로서 팀 및 리더 구성과 워크숍 등의 맞춤 지원 전략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how different were satisfaction, co-regu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in
    activities of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inking style of university’s students. To conduct this study,
    we used three type questionnaires that thinking styl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15 items by Sternberg
    & Wagner(1991), co-regulation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6 items by DiDonato(2013), and Group
    cohesiveness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10 items by Park(2014). An object of this study was 193
    students on 89 teams who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mmunity in the university of Chungbuk province in
    the 2015 fall semester and the 2016 spring semester. The results of statistics and ANOVA analysis were in
    the following. First, the type of jurisdiction had meaningful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type of legislation’s
    one in ‘participation with enthusiasm’, and the type of jurisdiction had meaningful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type of administration’s one in ‘usefulness of professor’s counsel’ and ‘usefulness of weekly learning
    reports’. Second, the type of jurisdiction and the type of legislation had meaningfully higher awareness than
    the type of administration’s one in all items of co-regulation. Third, the type of jurisdiction had meaningfully
    higher awareness than the type of administration in ‘conflict’ and the type of legislation had meaningfully
    higher awareness than the type of administration in ‘inter-helping when problem occurred’ among group
    cohesiveness’s items. As a result, we could have several implications. Above all, thinking styles of students
    were related to satisfaction, co-regu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Especially, the type of jurisdiction and the
    type of legislation were a positive style in activities of learning community than the type of administration.
    This result had an implication that the type of administration feels difficult to activities of learning
    community. Therefore, the university needs to support an adaptive strategy to the type of administration,
    such as composition of the team and workshop for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방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