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 시대’ 방언 조사ㆍ연구의 이론과 실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4.04
40P 미리보기
‘이 시대’ 방언 조사ㆍ연구의 이론과 실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연구 / 37권
    · 저자명 : 김정대

    목차

    1. 머리말
    2. 구술 발화의 조사와 연구
    3. 어휘·음운·문법의 조사와 연구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글은, 경남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필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이 시대’ 방언 조사·연구의 방법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 시
    대’라는 표현을 넣은 것은, 산업화 시대를 맞아 방언이 급속도로 사라져
    간다는 절박함 때문이다. 필자는 방언의 조사·연구가 그 대상에 따라 이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고 있는데, 하나는 구술 발화에 대한 것이
    고 다른 하나는 어휘·음운·문법에 대한 것이다. ‘이 시대’ 구술 발화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해는 제2장에 밝혀져 있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전래 방언이 더 이상 사라지기 전에 양질의 구술 발화를 많
    이 수집(녹음)하여 저장하는 일임을 강조했다. 국립국어원(2006)의 구술발화 부문과 같은 기존의 질문지를 참조하여 부족한 내용을 보충한 질문지로써 구술 발화를 조사하는 일이 유익하다는 점도 지적했고, 조사한 자료는 디지털 방식으로 안전하게 저장해야 함도 정리해 두었다. 그리고 구술 발화를 조사할 때가 아니면 영원히 조사되지 않았을지도 모르는 문법자료나 어휘·음운 자료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몇몇 예로써 소개해 두
    었다. ‘이 시대’ 어휘·음운·문법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
    해는 제3장에 정리돼 있다. 이것들에 대한 조사 지점은 가능하다면 시·
    군 단위가 아니라 면 단위로 좁힐 것을 힘주어 말했다. 그리고 그 까닭을
    설명하기 위해, 산청·창원·창녕 등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면 단위,
    혹은 마을 단위의 차이로 말미암아 언어가 달라진 상징적인 예를 도표로
    정리하고 약간의 설명을 덧붙여 두었다. 자료 조사와는 달리 ‘이 시대’ 어
    휘·음운·문법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
    는 특별한 언급을 할 수 없음을 밝히고, 앞선 연구에서 다시 살펴보아야
    할 내용, 앞선 연구에서 지나쳐온 내용 등을 조명하는 일이 필요함을 강
    조했다. 그리고 늘 우리 곁에 존재하지만, 눈여겨보지 않으면 놓치기 쉬
    운 자료들을 예의주시하여 늘 새로운 연구 주제를 개발해 나가야 함을 암
    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필자가 관심을 가졌던 몇몇 연구 주제를
    정리하기도 했고, 최근 관심을 갖고 살펴보고 있는 ‘이엉’과 ‘써근새’(썩은
    이엉) 관련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written in order to clarify a desirable method of dialectal
    investigation and research for Gyeongnam dialect in ‘these times.’ The reason why
    the author used an expression ‘these times’ is due to my desperate feeling for the
    rapid disappearance of dialects with the advent of industralization.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dialectal investigation and research should be made on two stages;
    one is of oral utterances, the other is of words, phonemes, and grammars.
    The author’s opinion of the former part of the subject is discussed in the second
    chapter. He suggested that what’s the most urgent was to record and store oral
    utterances of good quality before the complete disappearance of traditional dialects.
    Moreover he pointed out the profit from the investigation of oral utterances by
    complementary questionnaires which refer to the existing questionnaires published
    in the National Academy of the Korean Language(2006), and maintaining that
    collected dialectal materials should be safely stored in digital style. Additionally he
    illustrated some examples of grammar, and phonemes, and words, which might have
    not investigated eternally but for the investigation of oral utterances.
    The author’s opinion of the latter part of the subject is discussed in the third
    chapter. He emphasized that the investigation points should be downsized to as
    narrow as myeon unit possible, not si or gun. He explained its reason to take
    examples of symbolic differences from myeon or small village to myeon or small
    village in three regions of Sancheong, Changwon, and Changnyeong with additive comments.
    Contrary to investigating dialectal materials, he could not make special discuss
    what the lexical, phonological, and grammatical research should be made in these
    times. He rather stressed the necessity of review and re-illumination what has been
    described but we overlooked in the precedent works. And he gave an hint that we
    should always develop new subjects from materials which exist as usual but we
    likely to pass by, unless we should cautiously watch them. For its explanation, he
    summarized some research subjects which have interested the author, and showed
    some lines of reasoning concerning to ‘ieong’ (straw thatch) and ‘sseogeunsae’(rotten
    straw thatch) which he recently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