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산 방언의 어원 연구(1)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3.10
26P 미리보기
부산 방언의 어원 연구(1)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연구 / 35권
    · 저자명 : 이근열

    목차

    1. 들어가기
    2. 방언 분화와 어원 의식
    3. 부산 방언의 어원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경남방언권역인 부산 방언의 어원을 밝히는 것이 목적
    이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단어는 ‘살찐이, 고빼, 두투, 모때, 적쇠, 석
    쇠, 재첩, 무까끼하이, 찌짐’이었다. ‘살찐이’는 ‘삵+진(陳)+이’의 구조로 ‘삵
    을 길들인 것’의 의미로 확인하였고, ‘고빼’의 경우 ‘고(庫)+배’가 아니라
    ‘고(고리처럼 맨 것)+배’의 구조로 ‘고를 걸어 끌고 가는 배’의 뜻으로 확인
    하였다. ‘두투’는 상어의 머릿고기가 아니라 ‘두툽상어’ ‘개상어’의 분화와
    관련하여 ‘두꺼비’를 의미하는 ‘두툽’의 변화형임을 밝혔다. 또한, ‘모때’의
    경우, ‘모[方]+ㅅ+대’의 구조로 네모난 틀의 의미이며, ‘석쇠’는 ‘˜何烏로 ‘철
    사로 가로 세로로 엮어 놓은 쇠’가 그 어원이며 ‘˜品이라는 어형 때문에 ‘설
    쇠, 석쇠’가 나타났음을 밝혔다. 또, ‘재첩’은 원래 작다는 뜻의 ‘재치’에서
    변한 낱말로 확인하였다. ‘무까끼하이’는 ‘무학’의 일본말인 ‘무가쿠’에다가
    고유어 ‘-하게’의 뜻인 방언 ‘-하이’를 붙여 만든 말이며, ‘찌짐’은 일본어
    ‘지지미’에서 온 말임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 inquiry on the etymology in Busan dialects. The words looked
    into are ‘saljjini, goppae, dutu, mottae, jeoksoe and seoksoe, jaecheop,
    mukkakkihai. We found that ‘saljjini’ means taming a wildcat and has a word
    structure of ‘salk+jin+-i’. Also in the case of ‘goppae’, it means a dragging ship
    hooking a coil and consists of ‘go(tying likea loop)+bae’, not ‘go+s+bae’. We
    indecated that ‘dutu’ is modified ‘dutup’ which means a toad regarding the
    differentiation of ‘dutupsang-eo’ and ‘gaesang-eo’, not a shark's head. In the case
    of ‘mottae’, it means a square mold which has a word structure of ‘mo[方]+s+dae’.
    ‘seoksoe’ means a wire of ‘seolksoe’ tying together in width and length, and
    ‘seolsoe’ and ‘seoksoe’ are formed because of ‘seolk’. ‘jaecheop’ has been changed
    from ‘jaechi’ which means small. ‘mukkakkihai’ is made by adding ‘mugaku’
    Japanese of ‘muhak’ and ‘-hai’ a regional dialect of ‘-hage’. ‘jjijim’ is made by ‘jijimi’
    of Japanes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