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간지각능력 도모를 위한 그리기 지도 방안 연구 -도식기 아동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4.12
16P 미리보기
공간지각능력 도모를 위한 그리기 지도 방안 연구 -도식기 아동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미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미술교육 / 13권
    · 저자명 : 서영옥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교수전략
    Ⅲ. 결 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이 공간을 인식하기 시작하는 도식기( 7~9세)부터 공간적 탐색을 할 수 있도록 교육적 환경을 제
    공하여 또래 집단기( 9~11세)에 이르러 사실적 표현의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을 위한 교육적 대안으로서 지도 방
    안을 모색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식기 아동의 공간지각능력 발달을 도모하는 그리기 지도 방안을 고찰 해
    보았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아동의 발달과 공간지각에 대한 학자들의 개념과 정의 아동의 공간
    발달단계와 아동이 공간을 지각하는 특수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 날 수 있는 교수 전략
    을 분석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실물 중심의 주제를 2차원의 평면에 공간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위치에서 사물보기, 인물의 동세, 중첩 등의 요소들을 유도하여 표현능력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있다는 전
    제하에 방안을 모색하였다. 지도 방안으로 아동의 활동 과정은 교사의 역할과 아동 개개인 잠재적인 공간인식
    능력과 환경에 초점을 두고 자유롭고 아동중심적인 지도 방법이 적용하여 지도 할 필요가 있다. 요약하여 본 연
    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들이 공간을 이동하여 보는 사물이 장소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동들이 생생한 실물중심의 그리기 활동을 통해 중첩 표현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셋째, 아동
    들이 인물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공간을 인식하는 범위를 넓히는데 도움이 된다. 넷째, 아동들의 잠재된 능력이
    나타나는 과정을 생생하게 볼 수 있어 교육적 의미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아동의 활동은 지도가 아닌 탐구 활
    동으로서 스스로 즐기며 동기 부여 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 공간 탐구를 위한 그리기 지도는 아직 사실표현에
    익숙하지 않은 도식기의 아동이지만 그 단계가 가진 공간적 표현의 특성이 아동 개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활
    동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아동에게 주어진 약간의 도전적 과제는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하여 공간지각력 향
    상을 도모하는 그리기 지도에 효과적인 결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아직 일반화 되어 있지 않는 도식기 아동
    의 그리기 지도를 위한 연구이다. 과거보다 성장이 빠른 아동들을 생각할 때, 좀 더 구체화 되어 현장에 제시
    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 과제로서 새로운 접근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for offering the children of the schematic stage (children from 7 to 9 years belong to that) in which they
    begin to recognize space the study environment of space recognition and then preventing those of the gang age(children
    from 9 to 11 years belong to that) having difficulty in expressing objects realistically. Therefore the research analyzes
    children's development, the concept of space recognition and the particularity of space recognition which is the basis of
    study for the method of drawing guidance which helps the children of the schematic stage to improve space recognition
    ability and then presents guidance strategy and the examples of drawing activity that will become the result of an
    effective studying. According to that, they drawing real things as a concrete activity, the research tried to improve the
    power expression for space as having children express space variously on two-dimensional plane at various positions through
    object observation, man's movement, overlap, etc.. For guidance method, children's course of activity focuses on teacher's
    role, each child's potential space recognition ability and the environment applying that of easy circumstances and the child
    center. Tools for the expression of drawing are restricted to drawing books and 4B pencils to use easily. Accordingly, the
    educational effect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hen the children who participate in drawing activity move here
    and there, they know the objects look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osition and can express what they saw. Second, when
    real drawing objects are presented for children, they can express overlap concretely. Third, when children see man's
    movement and expressed it, they can take the effect that broadened at the visual range for the recognition of the space.
    Fourth, one can see the children in the schematic stage who recognize the hidden space and express it as drawing vividly.
    Fifth, one can see children's learning activity has the value which makes them enjoy themselves and motivates them as
    investigation activity instead of teaching one. The drawing guidance for recognizing space makes them in the schematic
    stage who are poor at expressing real things express the space and show their individuality. And one can see their ability
    of drawing for the space. Like this, some of the challenging task given to children stimulate the curiosity and the interest
    and then that improves the power of expression for space. This kind of research is not common, but that needs to
    concretize as the subject of study on the children of the schematic stage. If in the future one approaches experimentally
    about this research with consistency, one will obtain the new educational effec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미술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