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이츠 후기시의 여성이미지: 왜 모드 곤이나 크레이지 제인이 아니라 댄서인가?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10.11 최종저작일 2016.08
11P 미리보기
예이츠 후기시의 여성이미지: 왜 모드 곤이나 크레이지 제인이 아니라 댄서인가?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수록지 정보 : The Yeats Journal of Korea / 50권
    · 저자명 : Kyungsim Chung

    목차

    I. Yeats’s Women Imagery
    II. The Dancer as a Merger of Maud Gonne and Crazy Jane
    III. Conclusion
    Works cited

    초록

    예이츠의 후기시를 이해함에 있어 여성이미지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시인은 대표적인 여성이미지로서 모드 곤과 크레이지 제인을 제시하여 아일랜드인의 개인적, 역사적, 민족적 정체성에 대한 상징으로 삼아왔다. 특히 상류계층의 양심적 지 식인의 대표인 초기시의 모드 곤과 달리 후기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창녀 크레이지 제인의 상징적 역할은, 궁극적으로 시인이 거칠고 조악하지만 적나라한 삶의 이중성을 가감 없이 수용하는 아일랜드 민중의 지혜에 대한 신뢰를 드러낸다. 그러나 예이츠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모드 곤과 크레이지 제인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시에 그들의 상징 성을 통합하는 여성이미지를 꾸준히 제시하고자 노력하는 데 바로 댄서이미지가 그것 이다. 예이츠에게서 댄서란 앞서 두 여인의 이미지가 상징하는 양심적 지성과 민중적 삶의 지혜를 연결하는 동시에 각각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는 이미지로서 예이츠 후 기시의 궁극적인 여성이미지이면서 민족적 구원을 약속하는 상징이다.

    영어초록

    Maud Gonne and Crazy Jane have long been critical focuses in discussing the imagery of Yeats’s women, which symbolizes the Irish identity. Yeats, however, sticks to the dancer imagery throughout his writings, while being fascinated with Maud Gonne and even after he had finished with the Crazy Jane poems. It may be that the dancer transcends both Maud Gonne and Crazy Jane, both of whom being not confined to the dominant ideology of their society. They are complimentary, on the levels not only individual but also symbolic, social, cultural and national, each representative of the upper minority and the lower majority—with the poet’s growing confidence in the wisdom of the Irish people, who are crude but penetrate the duality of life. The dancer imagery is Yeats’s ultimate Image of the Woman who extends to all the levels of identities—personal, social, and national—toward redemption, merging the two opposite yet complementary images of women, Maud Gonne and Crazy Jan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The Yeats Journal of Korea”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