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재욱(2011). 노년기의 부부관계 개선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4), pp.119-143.
· 권복순·이경은(1997). 노부모 부양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31호, pp.119-146.
· 권오균·강금희(2009). 노년기 부부관계향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pp.137-145.
· 김동원·김정희·김지연(2004).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 개관. 상담학연구, 5 (4), pp.1035-1049.
· 김수영·김재우·손수경·민소영(2007). 치매노인 가족부양자 대상 집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노인복지연구, 제36권, pp.7-34.
· 김순옥(2001). 부부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1), pp.137-157.
· 김영옥(2014).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4(6), pp.173-207.
· 김은영·권정옥(2014). 장기요양노인가족수발자를 위한 전화-기반 집단적 지지 프로그램의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16(1), pp.38-48.
· 김정순·이수일·김기태·박남희(2005).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경감을 위한 자조집단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간호학회지,16(3), pp.260-269.
· 김정희, 김남초, 임영미(2005). 재가 치매노인가족 단기방문 프로그램의 가족수발자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7(1), pp.79-87.
· 김지연(2013). 재가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의 우울과 인지 상태가 가족돌봄제공자의 돌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태현·전길양(1995).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5(1), pp.15-27.
· 김혜동·윤영복·김경숙·이승우(2008). 원예치료가 손자녀 양육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08 no.춘계, p.95.
· 김홍란·김윤정(2004). 노년기 부부의 성적 적응교육 프로그램.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pp.43-69.
· 김홍미·강영숙(2007). 조손가정 주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효과성 연구:조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지, vol.2007 no2. pp.383-391.
· 박명화·박미현·김현희(2015). 복합적 심리교육 프로그램이 치매환자 가족의 부양부담, 우울, 문제대처행위에 미치는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17(1), pp.10-19.
· 박선희(2005). 노인이 지각하는 가족관계가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성희(2006). 노년기부부의 관계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노년기 부부의 학습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1권, pp.161-179.
· 박창제·강욱모(2002). 치매 노인 비공식 보호의 비용에 과한 연구. 한국노년학, 22(3), pp.67-83.
· 방미란·김옥수(2016). 치매노인 주 부양자에게 적용한 가족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8(1), pp.71-82.
· 서미경(1995). 한국 노인의 만성질환 상태 및 보건·의료 대책. 한국노년학, 15(1), pp. 28-39.
· 서혜석.(2005).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학술발표대회지, 10(3), pp.61-81.
· 서홍란·김양호(2010). 조손가족 조부모를 위한 강점기반 집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노인복지연구, 제47권, pp.161-186.
· 선우덕·강은나·이윤경·김지미·최인덕·양찬이(2015). 노인돌봄서비스의 제공 주체간 역할정립과 연계구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1(7), pp.239-349.
· 송인숙·유은광(1998). 입원한 만성질환 노인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스트레스.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1(2), pp.187-196.
· 송준아·박재원·천홍진·박명화(2015). 가족 돌봄 제공자를 위한 치매의 행동심리증상 대처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노년학, 35(2), pp.411-432.
· 심창교(2009).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 개발 - 개입연구방법의 적용-. 임상사회사업연구, 6(1), pp.69-95.
· 양광님·조순주·김영덕·지성한(2011)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원예치료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발표대회, 제2011호no.춘계, pp.81-83.
· 양옥남(1997). 노인과 부양자의 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7(3), pp.179-198.
· 오미혜·박경민(2014).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이 노인장기요양 재가급여 노인 수급자 가족원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5(2), pp.137-145.
· 오선영(2008).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련된 노인의 가족기능과 외로움. 노인복지연구, vol. 42, pp267-290.
· 유광수·소은선(2014).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간호방법에 대한 치매교육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5(2), pp97-108.
· 유민지(2000). 노년기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민지·이기숙(2002). 노년기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노년학, 21(3), pp.91-109.
· 윤영옥·이근매(2005).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스트레스 감소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12(1), pp.307-332.
· 이미영(2007). 조손가족의 안정된 관계형성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복지상담학연구,2(2), pp.69-84.
· 이선미(2003). 노년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노년학, 23(1), pp.93-112.
· 이선자·김인자(2014). 편지를 활용한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말기암 환자의 가족기능, 죽음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17(1), pp.18-26.
· 이성희·이승미(2003). 노부모부양자 교육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pp.25-31.
· 이영숙·허대석·윤영호·김현숙·최경숙·윤여정(1998). 말기암환자와 가족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 서울대학교병원 경험의분석 -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1(1), pp.56-64.
· 이영아·이준숙·김운정·조원근(2010). 치매노인과 부양가족을 위한 원예치료 필요성과 프로그램의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제2010.no.춘계, pp.170-172
· 이윤로·김양이(2002). 치매가족 부양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 노인복지연구, 제15권. pp.169-188.
· 이윤로·김영숙·배숙경·김양이(2003). 『치매노인과 사회복지실천 : 데이터케어센터를 중심으로』. 학지사.
· 이인정(2003). 뇌졸중 기능손상 노인의 가족수발자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학술발표대회지, 제53호, pp.231-255.
· 임옥희(2012). 유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요소 탐색. 부모교육연구, 9(1), pp.27-52.
· 전길양(1996).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pp.77-95.
· 전보영·조희선(2011). 조손가족의 가족기능 향상을 위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3), pp.223-250.
· 전수빈(2015).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대전광역시 노인동거형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영숙·양희택(2009). 노인부부의 공통여가 인식제고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3권, pp.287-302
· 정경희 외(2015). 『 2014년 노인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 정경희(2011). 노년기 가족의 변화전망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제175호, pp.35-44.
· 정경희·오영희·황남희·권중돈·박보미(2014). 노인단독가구의 생활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9-29.
· 정미경·김주후(2008). 노년기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한국노년학, 28(3), pp.603-618.
· 정은미(2010). 청소년기 손자녀를 둔 저소득 조손가정을 위한 조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부모교육연구, 7(1), pp.5-21.
· 조맹제 외(2008). 『 치매 노인 유병률 조사』. 보건복지가족부, 서울대학교병원.
· 조주휘(201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해 본 가족의 돌봄제공 변화.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천숙희·정성옥·공계순·송미령(2011). 치매노인 가족수발자를 위한 지역사회기반 휴식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8(3), pp.337-347.
· 최은솔(2012) 가족 돌봄제공자의 노인 돌봄비용과 돌봄비용부담감 관련요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정혜(1992). 노부모가 지각하는 성인자녀와의 결속도 및 갈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통계청(2015). 『 고령자 통계』.
· . 『 통계청 암 발생 및 사망현황』.
· 한혜림(2014). 노년기 가치관이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홍숙자(1995). 노부모 부양가족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pp.47-57.
· 홍숙자(2001). 『노년학 개론』. 하우출판.
· 홍여신·이선자·박현애·조남옥·오진주(1995). 노인성 치매환자 가족간호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1), pp.45-60.
· 황철수(2003). 노인-자녀가족과의 관계개선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연구. 한국사회복지논총, 제8권, pp.85-112.
· Maddox et al. (eds.)(2001). The Encyclopedia of aging: A comprebesice Resourece in Gerontology and Geriatrics(3rd ed.). New Youk: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450-478
· Author(s): Peter L. Montgomery. Source: Mathematics of Computation, Vol. 44, No. 170 (Apr., 1985), pp. 519-521. Published by: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Maslach, C., & Jackson, S.E.(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9-113.
· Martin, L. L. & Kettner P. M.(1997).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Human Service Programs”, Ca; SAGE.
· Sorensen, S., Pinquart, M., Habil, D., Duberstein, P. 2002. "How Effective are Interventions with Caregivers? An Updated Meta-Analysis." The Gerontologist, Vol. 42, No. 3, 356-372.
· Poulshock, S. W. & Deimling, G.T. (1984). Families caring for elder in residence’ issues in the measuremet of burden. J Gerontol 39(2), 230-239
· Neugarten, B.I. and Weinstein, K(1984). The Changing Americcan Crandpar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26, 199-204
· 한국치매가족협회, http://www.alzza.or.kr
· 부산광역시 광역치매센터, busan.ni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