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A 연구의 의의와 목적 및 범위
기독교가 한국에 정식으로 전래된 역사라면 미국 장로회 (Presbyterian Church U.S.A.) 선교부에서 파송된 선교사 언더우드 (Horace Grant Underwood) 가 입국한 1885년을 시작연도라 하겠지만 이 땅에서 찬송이 불리어진 역사에 대해 말한다면 우리나라 최초의 세례교인 중 하나인 백홍준의 딸 백관성이 자기 아버지를 회상하며 ‘主耶蘇愛我’ (주1)를 부르던 기억이 난다고 전한 바대로 (주2) 언더우드와 아펜셀라 (H. D. Appenzeller)가 한국에 오기 전 즉 1885 년 이전의 일로 소급할 수 있다.
좀 더 신빙성 있는 근거로는 언더우드와 아펜셀라의 한국 입국 바로 전 해인 1884년 서상륜에 의해 우리나라 최초로 세워진 황해도 장연의 송천 교회에서도 그런 식으로 찬송을 불렀다는 기록을 (주3) 들 수 있다.
한국의 초대교회에서 찬송이 불렸던 형편에 대한 기록으로는 정충량의 『이화 80년사』(주4) 나 Fisher의 『Democracy and Mission Education in Korea』(주5) 등을 들 수 있다.
주1 耶蘇愛我我深知 예 쑤 아이 워 워 선 쯔
聖經告訴我如此 성 찡 까오 쑤 월 르 츠
小小孩童祂撫養 샤오 샤오 하이 통 타 후이 양
我們輭弱祂剛强 워 먼 을완 요 타 깡 치앙
主耶蘇愛我 쭈 예 쑤 아이 워
主耶蘇愛我 쭈 예 쑤 아이 워
主耶蘇愛我 쭈 예 쑤 아이 워
有聖經告訴我 여우 성 찡 까오 쑤 워
萬民 頌揚 聖詩編輯 出版 委員會(편), 『萬民 頌揚 聖詩』, (대만 대중시: 1965), 219장. (발 음은 대구 소재 화교초등학교 내 양춘상 장로와의 면담을 통해 알았다)
주2 새문안 85년 편찬위원회 (편), 『새문안 85년사』, (서울: 새문안교회, 1973), pp. 69-70
주3 이유선, 『양악 80년사』, (서울: 중앙대학교출판국, 1968), p. 93
주4 정충량, 『이화 80년사』, (서울: 이대출판국, 1976), p. 37
· 금수현 외 10인 (편), 『음악대사전』, 서울: 미도출판사, 1977
· 기독교서회 (편), 『그리스도교대사전』, 서울: CLSK, 1978
· 김두완 (편), 『교회음악사』, 서울: 아가페 음악 선교원, 1977
· 김득황, 『한국교회사』, 서울: 에덴출판사, 1968
· 나긔한, “목회자가 바라는 성가대”, 『교회음악』, 서울: 교회음악사, 1977
· 대한 기독서회 (편), 『성경전서』, 서울: 대한성서공회, 1976
· 딜렌버그 죤, 웰치 클라우드, 『신교사』, 정봉은 (역), 서울: 신교출판사, 1958
· 류형기 (편), 『성서주해Ⅰ』, (서울: 기독교 문화원)
· 문익환, “한국 찬송가는 어디까지 왔나?”, 『예배와 음악』,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1961
· 민경배, “한국교회 찬송가의 변천과정”, 『대화 51호』, 서울: 크리스천 아카데미, 1974
· 브레드 D.R.,『찬송가학』, 박태준 (역), 서울: 미파사, 1977
· 새문안 85년 편찬위원회 (편), 『새문안 85년사』, 서울: 새문안교회, 1973
· 애플바이 D.P., 『교회음악사』, 박태준 (역), 서울: 미파사, 1974
· 윌슨 죤 F., 『교회음악입문』, 나운영, 조의수 (공역), CLSK, 1974
· 이성호 (편), 『성구 대사전』, 서울: 혜문사, 1979
· 이영헌, 『교회의 발자취』,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 교육부회, 1976
· 이유선, 『양악 80년사』, 서울: 중앙대학교출판국, 1968
· 이호운, 『한국교회 초기사』,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1970
· 전덕영, “Gospel Song에 대한 소고”, 『교회음악』, 서울: 교회음악사, 1977
· 정충량, 『이화 80년사』, 서울: 이대출판국, 1967
· 제임스 셀리, 전덕영 (역), 『복음적 찬송의 역사』, 서울: 에덴문화사 1979
· 후고 라이히텐트리트, 『음악의 역사와 사상』, 김진균 (역), 서울: 형설 출판사, 1975
· 萬民 頌揚 聖詩編輯 出版 委員會(편), 『萬民 頌揚 聖詩』, (대만 대중시: 1965)
· 門馬直衛, 『西洋音樂史要』, (東京: 1940)
· 津川主一, 『교회음악 5,000년사』, 문덕준 (역), (서울: 에덴 문화사, 1978)
· Appel Willi, Harvard Dictionary of Music, U. S. A., 1972
· Bailey Albert Edward, The Gospel in Hymn, N. Y., 1950
· David R. Breed, 『찬송가학』, 박태준 (역), 서울: 미파사, 1977
· Douglas Winford, Church Music in History and Practice, N. Y., 1962
· Fisher James E., Democracy and Mission Education in Korea, N. Y. 1928
· Grout Donald Jay, A History of Western Music, N. Y., 1960
· Reynolds William Jenson, A Survey of Christian Hymnody, U. S. A.,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