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성가대의 성서적 표준과 찬양 내용의 현황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09.08 최종저작일 1980.11
20P 미리보기
성가대의 성서적 표준과 찬양 내용의 현황 분석
  • 미리보기

    목차

    가. 서론
    A. 연구의 의의와 목적 및 범위
    B. 연구방법
    Ⅰ. 성서에서의 음악
    A. 성서에서 볼 수 있는 음악 활동 (성악)
    1. 『구약성서』의 음악
    2. 『신약성서』의 음악
    B. 성서에서 볼 수 있는 악기들과 기악 연주 활동
    1. 현악기
    2. 관악기
    3. 타악기
    C. 성서의 음악 론
    1. 하나님과 음악
    2. 찬송의 범위
    3. 성가대의 특수성
    Ⅱ. 성가대의 찬양내용에 대한 현황분석
    A. 성가대용 찬양 곡집의 내용 (연구 자료의 내용)
    B. 관계 출판기관의 인식도에 대한 고찰

    나. 결론
    A. 요약적 재 논술
    B. 결론

    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A 연구의 의의와 목적 및 범위
    기독교가 한국에 정식으로 전래된 역사라면 미국 장로회 (Presbyterian Church U.S.A.) 선교부에서 파송된 선교사 언더우드 (Horace Grant Underwood) 가 입국한 1885년을 시작연도라 하겠지만 이 땅에서 찬송이 불리어진 역사에 대해 말한다면 우리나라 최초의 세례교인 중 하나인 백홍준의 딸 백관성이 자기 아버지를 회상하며 ‘主耶蘇愛我’ (주1)를 부르던 기억이 난다고 전한 바대로 (주2) 언더우드와 아펜셀라 (H. D. Appenzeller)가 한국에 오기 전 즉 1885 년 이전의 일로 소급할 수 있다.
    좀 더 신빙성 있는 근거로는 언더우드와 아펜셀라의 한국 입국 바로 전 해인 1884년 서상륜에 의해 우리나라 최초로 세워진 황해도 장연의 송천 교회에서도 그런 식으로 찬송을 불렀다는 기록을 (주3) 들 수 있다.
    한국의 초대교회에서 찬송이 불렸던 형편에 대한 기록으로는 정충량의 『이화 80년사』(주4) 나 Fisher의 『Democracy and Mission Education in Korea』(주5) 등을 들 수 있다.

    주1 耶蘇愛我我深知 예 쑤 아이 워 워 선 쯔
    聖經告訴我如此 성 찡 까오 쑤 월 르 츠
    小小孩童祂撫養 샤오 샤오 하이 통 타 후이 양
    我們輭弱祂剛强 워 먼 을완 요 타 깡 치앙
    主耶蘇愛我 쭈 예 쑤 아이 워
    主耶蘇愛我 쭈 예 쑤 아이 워
    主耶蘇愛我 쭈 예 쑤 아이 워
    有聖經告訴我 여우 성 찡 까오 쑤 워
    萬民 頌揚 聖詩編輯 出版 委員會(편), 『萬民 頌揚 聖詩』, (대만 대중시: 1965), 219장. (발 음은 대구 소재 화교초등학교 내 양춘상 장로와의 면담을 통해 알았다)
    주2 새문안 85년 편찬위원회 (편), 『새문안 85년사』, (서울: 새문안교회, 1973), pp. 69-70
    주3 이유선, 『양악 80년사』, (서울: 중앙대학교출판국, 1968), p. 93
    주4 정충량, 『이화 80년사』, (서울: 이대출판국, 1976), p. 37

    참고자료

    · 금수현 외 10인 (편), 『음악대사전』, 서울: 미도출판사, 1977
    · 기독교서회 (편), 『그리스도교대사전』, 서울: CLSK, 1978
    · 김두완 (편), 『교회음악사』, 서울: 아가페 음악 선교원, 1977
    · 김득황, 『한국교회사』, 서울: 에덴출판사, 1968
    · 나긔한, “목회자가 바라는 성가대”, 『교회음악』, 서울: 교회음악사, 1977
    · 대한 기독서회 (편), 『성경전서』, 서울: 대한성서공회, 1976
    · 딜렌버그 죤, 웰치 클라우드, 『신교사』, 정봉은 (역), 서울: 신교출판사, 1958
    · 류형기 (편), 『성서주해Ⅰ』, (서울: 기독교 문화원)
    · 문익환, “한국 찬송가는 어디까지 왔나?”, 『예배와 음악』,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1961
    · 민경배, “한국교회 찬송가의 변천과정”, 『대화 51호』, 서울: 크리스천 아카데미, 1974
    · 브레드 D.R.,『찬송가학』, 박태준 (역), 서울: 미파사, 1977
    · 새문안 85년 편찬위원회 (편), 『새문안 85년사』, 서울: 새문안교회, 1973
    · 애플바이 D.P., 『교회음악사』, 박태준 (역), 서울: 미파사, 1974
    · 윌슨 죤 F., 『교회음악입문』, 나운영, 조의수 (공역), CLSK, 1974
    · 이성호 (편), 『성구 대사전』, 서울: 혜문사, 1979
    · 이영헌, 『교회의 발자취』,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 교육부회, 1976
    · 이유선, 『양악 80년사』, 서울: 중앙대학교출판국, 1968
    · 이호운, 『한국교회 초기사』,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1970
    · 전덕영, “Gospel Song에 대한 소고”, 『교회음악』, 서울: 교회음악사, 1977
    · 정충량, 『이화 80년사』, 서울: 이대출판국, 1967
    · 제임스 셀리, 전덕영 (역), 『복음적 찬송의 역사』, 서울: 에덴문화사 1979
    · 후고 라이히텐트리트, 『음악의 역사와 사상』, 김진균 (역), 서울: 형설 출판사, 1975
    · 萬民 頌揚 聖詩編輯 出版 委員會(편), 『萬民 頌揚 聖詩』, (대만 대중시: 1965)
    · 門馬直衛, 『西洋音樂史要』, (東京: 1940)
    · 津川主一, 『교회음악 5,000년사』, 문덕준 (역), (서울: 에덴 문화사, 1978)
    · Appel Willi, Harvard Dictionary of Music, U. S. A., 1972
    · Bailey Albert Edward, The Gospel in Hymn, N. Y., 1950
    · David R. Breed, 『찬송가학』, 박태준 (역), 서울: 미파사, 1977
    · Douglas Winford, Church Music in History and Practice, N. Y., 1962
    · Fisher James E., Democracy and Mission Education in Korea, N. Y. 1928
    · Grout Donald Jay, A History of Western Music, N. Y., 1960
    · Reynolds William Jenson, A Survey of Christian Hymnody, U. S. A., 1963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