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융복합교육에서 디자인을 통한 학습(Learning by Design)의 의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자인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7.11 최종저작일 2016.06
22P 미리보기
융복합교육에서 디자인을 통한 학습(Learning by Design)의 의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자인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교육 / 58권
    · 저자명 : 김선아, 이승희, 이현정

    목차

    I. 도입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빠른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미래에는 개별성, 다양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안정된 사회 구축과 효율성이라는 명목 하에 지식은 여전히 표준화 되는 경향
    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적 당면 과제에 대응하고자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는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미술과 안에서 융복합교육과 관련한 기존의 논의는 연구주제가 지나
    치게 STEAM 교육에 집중되거나 처방적인 모형 혹은 프로그램 개발에 치우쳐있다는 한계점
    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을 통한 창의·융합 능력 개발이라는 맥락 안에서 창의적 사
    고의 도구이자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적 지식이라는 측면에서 디자인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을 통한 학습(Learning by Design)의 개념을 제안하고 핵심적
    인 요소로서 디자인적 사고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디자인 전문가 8인
    을 대상으로 집단심층면접(FGI)를 2차에 걸쳐 6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로 도출된 ‘조율: 경
    계를 넘어 연결하기’와 ‘형상화: 행동으로 생각하기’의 주제가 향후 미술교육에 갖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 안에서 디자인을 통한 학습(Learning by Design)의 의미를
    개념화하고 디자인적 사고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는 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
    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mega trends of future society shows that there will be more emphasis
    on diversity and individuality in education. However, the feature of school
    education still remains in the track of standardization in the name of social
    stabilization and effectiveness. In reaction to the task of transformati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roclaims to move toward creative and convergence
    education, in which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connect interdisciplinary
    concepts and to create innovative value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education as on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ools and thinking method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Learning by Design(LbD) was proposed focusing on the notion of
    design thinking.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onceptualize
    and specify the concepts of LbD and design thinking based on 8 design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design practices. As a result, two themes were
    generated ‘coordination-connecting beyond boundaries’ and ‘imagery-thinking
    through a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has
    provided the conceptual ground for expanding the discourse of design education
    within and outside of the field of art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