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적 행복 - 비판적 이해와 현대적 재구성을 위한 시론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7 최종저작일 2016.02
22P 미리보기
불교적 행복 - 비판적 이해와 현대적 재구성을 위한 시론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44권
    · 저자명 : 조성택

    목차

    I. 들어가는 말: 불교적 행복에 관한 통념들
    II. 왜 이웃의 고통에 외면하는가
    III. ‘도인(道人)불교’: 불교 ‘안’에서의 행복(?)
    IV. 결론: ‘불교적 행복’의 현대적 재구성을 위한 시론
    참고문헌

    초록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행복에 대한 관심이 높다. 다양한 행복론이 제시되고
    있으며 불교적 행복론도 그 중의 하나다. 물론 아직은 ‘이론’이라고 할 만한 일정
    한 체계를 갖춘 것은 아니지만, 불교전통 가운데 고통을 치유하고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여겨지는 다양한 ‘기법’과 이론들이 제시되는 가운데 ‘불교적 행복’이라
    는 통념이 일정 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있는 것 같다. 통념적으로 이해되는 불교적
    행복은 주로 명상을 통한 심신의 이완, 비움으로서 얻는 만족, 그리고 사물을 관조
    하는 지혜 등을 통해 얻어지는 행복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기법’이나 행복감
    은 중요하며 또 오늘날 사회적 환경에서 꼭 필요한 것이긴 하다. 하지만 행복을 개
    인의 주관적, 심리적 상태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유형의 행복추구가
    과연 불교적 가치관이 기반 한 것인가에 대한 의구심이 든다. 이는 한편으로 불교
    전통이 ‘웰빙’이란 이름의 상업적 콘텐츠로 왜곡되거나 축소되는 것이기도 하고 다
    른 한편으로는 불교전통에서 빚어진 역사적 문제가 불교적 행복이란 이름으로 오늘
    날에 다시 재현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질문을 통해 ‘불
    교적 행복’에 관한 일반적 통념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웃이 고통스러운
    데, 공동체가 아픈데 붓다는 행복할 수 있는가? 그리고 깨달음은 최상의 행복을 경
    험하는 일종의 ‘체험’인가?

    영어초록

    There is a high interest in happiness in modern society. Various eudemonics
    have been presented, one of which is Buddhist eudemonics. While a constant
    system that can be called a theory has not been formed yet, a variety of
    techniques and theories of Buddhist tradition deemed to heal pain and enhance
    happiness have been proposed. . It seems that a social convention of Buddhist
    happiness has been formed to some extent. Buddhist happiness, in conventional
    thought, mainly emphasizes physical and mental relaxation through meditation,
    satisfaction from emptiness, and euphoria from contemplation. These techniques
    and euphoria are important and essential in the current social environment.
    However, since happiness is understood as th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state
    of an individual, it is doubtful whether this type of happiness is really based
    on Buddhist values. Rather, Buddhist tradition seems to have been distorted or
    reduced to a commercial concept named “well-being.” It also appears as if a
    historical problem in the Buddhist tradition is reproduced in the name of
    Buddhist happiness in today’s society.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general social conventions about
    Buddhist happiness through the following two questions: Can Buddha be happy
    when his neighbors and community are suffering? Is enlightenment an
    experience of feeling supreme happ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