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순사상의 형이상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궁극적 실재를 중심으로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7 최종저작일 2015.08
33P 미리보기
대순사상의 형이상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궁극적 실재를 중심으로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42권
    · 저자명 : 김의성

    목차

    I. 머리말
    II. 궁극적 실재의 다면성
    IV. 궁극적 실재의 통합 원리로서 ‘인존’
    V.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한국 신종교에서 궁극적 실재에 대한 연구는 종교의 형이상학적 문제를
    다루는 측면으로서 유용하다. 특히 대순사상(大巡思想)에는 한국 신종교에서 공유될
    수 있는 조화와 통합의 가치들이 궁극적 실재가 드러나는 양상 속에서 제시되며
    나름의 독특한 형이상학적 이론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상제(上帝)와 신명(神
    明)에 대한 관념을 비롯해서 도(道), 무극(无極), 태극(太極), 대순(大巡), 천지(天地)
    와 지기(至氣)로 얘기될 수 있는 궁극적 실재의 개념들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것
    은 개별 종교에서 다뤄지는 다양한 궁극적 실재의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어 다면성
    이라는 특징으로 이해된다. 다면성의 네 가지 범주는 대순사상에서 직접 표현되고
    있는 궁극적 실재의 개념들을 중심으로 구분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다양
    한 측면의 나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되는 양태를 보이며, 조화되고 통합되
    어 나타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조화와 통합은 ‘인존’(人尊) 사상을 통해
    표현되고 있다. ‘인존’ 사상은 인간이 신과 같은 위상을 갖는 것이며, 도덕적 추구
    의 모습이며, 천지와 같은 존재이며, 모든 생동하는 기운을 함축하는 인간의 가치
    를 갖게 되는 사상인 것이다. 종교의 이상적 가치인 궁극적 실재의 문제가 고원한
    이상으로서가 아닌 인간적 차원으로 다가올 때, 궁극적 실재의 다양한 모습들은 보
    다 내면적인 것이 되며 삶의 일상적 가치 속에 스며들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궁
    극적 실재의 모습들이 하나의 종교사상 속에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은 종교사상이
    갖고 있는 배타성을 넘어 종교와 종교, 인간과 인간의 대립과 갈등을 극복할 수 있
    는 이론적 토대를 형성한다. 통합과 조화의 한국적 사상이 종교의 근본적인 문제에
    까지 투영되는 것이다. 대순사상에서 궁극적 실재의 다면성을 확인하는 작업과 그것의 통합원리로서 ‘인존’ 사상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In Korean New Religion, the study on ultimate reality provides a useful
    aspect that deals with metaphysic issues of religion. Daesoon thought, in
    particular, suggests clearly the values of harmony and integration, which can be
    commonly shared in Korean New Religion, while uncovering the ultimate
    reality, and forms a unique metaphysical theory of its own. It shows various
    concepts of ultimate reality including the concept of Sangje(Supreme God) and
    Shinmyeong(gods of heaven and earth) as well as Dao(道), Mugeuk(Infinity,无
    極), Taeguek(the Great Ultimate, 太極), Daesoon(Great Itineration, 大巡),
    Cheonji(Heaven and earth, 天地) and Jigi(Utmost energy, 至氣). This feature is
    considered as universalness because it includes various concepts of ultimate
    reality referred in each religion. The universalness has been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ultimate reality that are directly
    described in Daesoon thought. However, it doesn't mean that it just lists all
    the different aspects of ultimate reality, but means it has a nature to mix all
    the aspects and consequentially harmonize and integrate them. Such harmony
    and integration is represented through the thought of ‘Injon’(Human of nobility,
    人尊). Thought of ‘Injon’ is a idea that places human being on an equal status
    to a god, and represents a human who pursuits morality and, as a being equal
    to heaven and earth, has a value of implicating energy of all living creation.
    When we approach the matter of ultimate reality, which is an ideal value of
    religion, not as some lofty ideal, but as something of humane dimension, the
    various aspects of ultimate reality can be more internal and become part of
    daily value of our life. In addition, being able to integrate various aspects of
    ultimate reality in one religious thought means it could form a theoretical
    foundation which goes beyond exclusiveness that religious thoughts have, and
    overcome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humans. It means the Korean
    thought of integration and harmony is projected into the fundamental matter of
    religion.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meaningful to do the work of
    verifying universalness of ultimate reality in Daesoon thought and study ‘Injon’
    thought as its tool of un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