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룹홈 및 사업체 연계교수를 통한 직업훈련이 지적장애인의 요양보호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7 최종저작일 2016.04
30P 미리보기
그룹홈 및 사업체 연계교수를 통한 직업훈련이 지적장애인의 요양보호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연구 / 26권 / 1호
    · 저자명 : 김영준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그룹홈 및 사업체 연계교수를 통한 직업훈련이 지적장애인의 요양보호 직무기술에 미치
    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졸업 후 미취업의 상태로 일반가정에서
    1~2년 동안 머물다가 복지관 내 그룹홈에 5~6개월째 거주하고 있는 세 명의 지적장애인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기법 중 한 가지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
    계로 구성되었으며, 이에 따른 실험 조건은 기초선, 중재, 유지와 같이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중재프
    로그램인 그룹홈 및 사업체 연계교수를 통한 직업훈련에서는 연구 대상들을 그룹홈에서 지도하고 있
    는 세 명의 담당교사들과 세 명의 사업체 내 직원들이 교수자로 참여하였고, 이를 위해 그룹홈 담당
    교사들과 사업체 내 직원들에게 사전 연수를 제공하였다. 먼저, 중재프로그램의 그룹홈 내 교수에서
    는 선정된 사업체의 홈페이지에 탑재된 생활정보 동영상을 활용하여 ‘인터넷 매체 시청’의 교수기술
    을 일차로 구성하였고, 교수자와 연구 대상의 1:1 상호작용 방식에 따른 가상적 행동시연(역할놀이)
    역시 한 가지의 절차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사업체 내 교수에서는 간략한 반응촉진의 일환인 동작촉
    진, 언어촉진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들은 그룹홈 내 교수가 마무리된 이후 상호 연이어 사업체 내
    교수에 참여하는 일정으로 중재를 제공받았다. 목표행동(종속변인)인 요양보호 직무기술은 연구 대상
    들이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식사와 세안을 돕는 수행 기술로 조작
    적 정의되었으며, 과제분석을 통해 총 10가지의 하위 단계들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을 통하여 요양보호 직무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vocational training through group home and
    workplace instruction on the care task skill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three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staying in general homes for 1~2 years being
    unemployed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and have been living in the group home in a welfare center for
    5~6 month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design was composed of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one of the techniques of single subject research, and the research condition was
    composed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In the vocational training through group home and
    workplace instruction, three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e research subjects in the group home and three
    workplace employees participated as instructors, and a training was provided to group home teachers and
    workplace employees in advance. First, in the group home instruction of intervention program, the
    instruction technique of ‘watching Internet medium’ was composed primarily by using the life information
    video posted on the homepage of selected workplace. Also, an imaginary behavioral rehearsal (role play)
    according to the 1:1 interaction method of instructors and research subjects was also formed as one step.
    In addition, workplace instruction included movement prompting and language prompting, which were a
    part of brief response prompting. The research subjects received intervention as a schedule of participating
    continuously in workplace instruction, after group home instruction was complete. Care task skill, the
    targeted behavior (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operant as a performance skill for the research subjects
    to help geriatric patients hospitalized in elderly care hospitals with meals and facial wash; it was composed
    as a total of 10 sub steps through task analysis. The research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research
    subjects effectively acquired and maintained care task skill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