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촌과 도시 초등학생의 굴절이상 비교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5.03 최종저작일 2007.09
13P 미리보기
농촌과 도시 초등학생의 굴절이상 비교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시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시과학회지 / 9권 / 3호
    · 저자명 : 윤미옥, 마기중

    초록

    경남 소재 농촌 초등학교 3곳과 도시 초등학교 1곳의 166명 (저학년 각 36명 고학년 각 47명)을 대상으로 나안시력과 자각식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지역별 학년별 및 성별간 비교 분석하였다. 나안시력은 농촌과 도시 학생에서 각각 0.75±0.34, 0.45±0.3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5.68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와 0.84±0.25 와 0.54±0.37(t=4.088, p=0.000) 및 0.68±0.39 0.39±0.38(t=3.989,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비교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각각 0.65±0.40, 0.55±0.38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안경 착용률은 농촌과 도시 학생에서 각각 12%와 51.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7.356,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0%와 44.4%(t=-5.291, p=0.000) 및 21.2%와 57.4%(t=-5.105,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비교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30.7%(27명)와 33.3%(26명)으로 차이가 없었다(t=0.412, p=0.680).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농촌 학생(-0.52±1.02D)과 도시 학생(-1.60±1.80D)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4.86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14±0.48D와 -0.97±1.32D(t=5.048, p=0.000) 및 -0.81±1.21D와 -2.08±1.98D(t=5.051,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비교에서 남학생(-0.85±1.24)보다 여학생(-1.31±1.78)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t=-1.952, p=0.052). 근시 유병률은 저학년보다 고학년에서, 농촌보다 도시에 거주하는 학생에서 더 높았으나, 성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으로부터 초등학생의 시력저하를 예방하고 효율적인 시력관리를 위해서는 거주 지역과 연령에 적합한 다각적인 시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visual acuity and subjective refraction to examine correlations among the place of residence, school year and gender. The subjects were 166 children at 3 schools in rural and 1 school in urban Gyeongsangnamdo(low grade : n=36, high grade : n=47).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75±0.34 in the rural and 0.45±0.38 in the urban.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54±0.37 in the rural and 0.84±0.25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68±0.39 in the rural and 0.39±0.38 in the urban. And by gender,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65±0.40 in the boys and 0.55±0.38 in the gir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The frequency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of 0.8 or better in at least one eye was 66.2%(n=55) in the rural and 29.8%(n=24) in the urban.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frequency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of 0.8 or better in at least one eye was 72.2% in the rural and 33.3%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frequency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of 0.8 or better in at least one eye was 61.7% in the rural and 25.5% in the urban. And by gender, the frequency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of 0.8 or better in at least one eye was 51.1%(45 명) of the boys and 43.6%(34 명) of the gir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The wearer of spectacle were 53 children(rural ; 12% < n = 10>, urban ; 51.8% < n = 43>).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wearer of spectacle was 0.0% in the rural and 44.4%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wearer of spectacle was 21.2% in the rural and 57.4% in the urban. The wearer of spectacl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And by gender, the wearer of spectacle was 30.7%(27 명) of the boys and 33.3%(26 명) of the gir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The prevalence of myopia(-0.50D or more in spherical equivalent) was 28.9% in the rural and 62.6% in the urban.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prevalence of myopia were 13.9% in the rural and 50.0%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prevalence of myopia were 40.4% in the rural and 72.3% in the urban. And by gender,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42.0%(37 명) of the boys and 50.0%(39 명) of the girls.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greater in higher grade children than lower grade children, in the urban than the rural.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In conclusion, subnormal visual acuity, the prevalence of spectacle wearing and myopia were greater as in the higher grade and in the urban children. It must be related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an congenital factors. So multilateral vision care promo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subnormal visual acuity and keep vision car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시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