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勿川 金鎭祜의 학문성향과 性理說 -寒洲說 수용과 寒洲說과의 同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6.06
32P 미리보기
勿川 金鎭祜의 학문성향과 性理說 -寒洲說 수용과 寒洲說과의 同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21권
    · 저자명 : 李相夏

    목차

    Ⅰ. 머리말
    Ⅱ. 물천의 학문성향
    Ⅲ. 寒洲 性理說과의 同異
    1. 達道說에서 寒洲의 說 수용
    2. 四七說에서 寒洲說과의 차이
    Ⅳ. 결론

    초록

    勿川 金鎭祜는 寒洲 李震相으로부터 性理說을 전수받았지만 性齋 許傳의 문 하에서 먼저 수학하였고 학맥의 계보 상으로도 한주보다 오히려 성재 쪽의 近 畿學派에 더 가깝다. 물천은 한주의 제자인 俛宇 郭鍾錫과의 논변을 통하여 한주 성리설의 핵심인 七情理發說을 수용한다. 그러나 여전히 分開看에 의해 理發 · 氣發을 분명히 구 별할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한주의 학설을 대체로 수용하면서 한주의 竪看 · 橫 看 · 倒看 三看과 順推 · 逆推 二推라는 용어만은 끝내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물 천이 한주의 대표적인 학설인 心卽理說의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는 竪看 대신 퇴 계 이후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져 온 渾淪看을 사용하는 것은 그가 性齋로부터 이 어받은 近畿學派의 학맥을 고수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보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한주는 主理의 필요성을 극히 강조했으나 물천을 주리를 주장하는 것을 꺼 렸고 주리라는 명목을 따로 세울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이는 각자의 학문성향 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며, 또한 학문적 노선에서 寒洲學派와 상반된 주장이다. 물천이 성리설에서 시종 后山 許愈 · 俛宇 郭鍾錫 등 한주의 제자들과 다른 견 해를 보이는인 것은 성리설을 뒷받침하는 논리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후산이 한주의 삼간에 의거하여 자신의 논의를 전개하는데 물천은 기존 영남학파의 혼 륜간과 분개간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내용이 서로 매우 흡사한 데도 서로의 견해의 차이를 좁히지 못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deals with the Neo-confucian theories of Mulcheon Kim Jin-Woo(勿川 金鎭祜, 1845-1908). He was one of the 19th century Korean Neo-Confucianists who belong to Sungjae Huh Jeon(性齋 許傳, 1797-1886) School, a sect of Keunki(近畿) Toegye(退溪) School. He also succeed Sungniseol(性理說),Neo-Confucian metaphysics and ethics from Hanju Lee Jin-Sang(寒洲 李震相, 1818-1886). He accepts the main doctrines of Hanju, that is Seven general emotions are the consequences of the motivation of Li(Principle), in the controversies with Myeonwoo Kwak Jong-Seok(俛宇 郭鍾錫, 1846-1919), a disciple of Hanju Lee Jin-Sang. While Hanju's doctrine emphasizes Chuli(主理), the active role of Li(principle), Mulcheon is reluctant to assert the Chuli(主理) doctrine. Also he don't uses terminologies of Hanju school such as Samkan(三 看),Three Perspectives and Yichu(二推), Two Inferences. Mulcheon has different views on the Neo-Confucian Metaphysics and Ethics among other Hanju disciples such as Husan Huh Yu(后山 許 愈, 1833-1904), Myeonwoo Kwak Jong-Seok. These differences come from their different basis of methodologies. Husan develops his theory on the base of Hanju's Three Perspectives. Three Perspectives is consists of Sukan(竪看), the top-down perspective from the origin of Sadan(四端), Four moral emotions and Chiljung(七情),Seven general emotions, and Hwaingkan(橫看), the horizontal perspective in the mist of different rising processes of emotions and Dokan(倒看), the upside-down perspective from the consequences of emotions. The top-down perspective from the origin of the emotions is the methodological base of Chuli(主理) doctrine. Mulcheon follows the traditional Toegye school's Hollunkan(渾淪 看),integrative perspective and Bunkaikan(分開看),separative perspective on the Sadan(四端), Four moral emotions and Chiljung(七情),Seven general emotions. This fact implies Mulcheon sticks on the academic line of Sungjae Huh Jeon(性齋 許傳, 1797-1886) School, as a Keunki(近畿) Toegye(退 溪) School. So Mulcheon's theories are similar to those of Hanju school, but he cannot agree with Hanju's disci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