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晩醒 朴致馥의 학문 淵源과 心卽理說 비판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7.06
25P 미리보기
晩醒 朴致馥의 학문 淵源과 心卽理說 비판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23권
    · 저자명 : 이상하

    목차

    Ⅰ. 머리말
    Ⅱ. 만성의 학문 연원
    Ⅲ. 寒洲 性理說 비판
    1. 太極動靜說
    2. 明德說
    3. 心說
    Ⅳ. 결론

    초록

    晩醒 朴致馥은 定齋 柳致明과 性齋 許傳, 두 문하에서 수학하여 江右(慶尙右 道) 지역을 대표하는 퇴계학파의 학자의 한 사람이 되었다. 그래서 그는 당시에 유행하기 시작하던 한주학파의 새로운 학설로부터 師門을 보위할 것을 자임하 였다. 한주와 만나 太極動靜의 문제를 토론하고 만성은 바로 그 이듬해인 무인 년에 太極動靜辨을 저술, 한주의 태극설을 반박하였다. 여기서 만성은 태극이 홀로 동정할 수 없고 반드시 음양이 함께 있어야 하니, 음양을 떠나서 태극의 동정을 말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따라서 氣를 떠나서 理를 말하면 理가 공허하 고 추상적인 것이 될 우려가 있다고 반박했는데 이는 퇴계학파 전통의 心說인 合理氣說의 논리적 근거가 되는 것이다. 만성의 명덕설은 스승 정재의 설을 그대로 이어받아 한주의 설을 반박한 것이 다. 만성의 명덕설에서 중요한 특징은 氣의 역할을 매우 강조하고, ‘맑고 밝은 것도 명덕이요 맑혀서 다시 밝게 하는 것도 명덕’이라 하여 明明德까지 명덕의 개념 속에 포함시킨다는 점이다. 이는 만성만의 매우 특이한 것이라 아니 할 수 없으며, 工夫論의 차원에서 나온 견해로 이해된다. 태극설, 명덕설을 이어서 心說에서도 만성은 理와 氣의 불가분의 관계를 강조 하였으며, 특히 氣의 역할을 매우 강조하였는데 이는 역시 理만으로 심을 정의한 한주의 心卽理를 논박하기 위한 것이다. 만성의 心說 전반을 관통하는 심의 主槪念은 시종 合理氣일 뿐이다. 즉 합리기를 근간으로 삼은 위에서 경우에 따 라 즉기·즉리를 말할 수는 있지만 심의 개념 자체를 달리 정의할 수 없다고 생 각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Man-seong(晩醒) Park, Chi-bok(朴致馥) is a representative Teo-gye(退溪) scholar in Gyeong-sang Light Province(慶尙右道) being under Jeong-jae(定齋) Yu, Chi-myeong(柳致明) and Seong-jae (性齋) Heo, Jeon(許傳)'s instruction. Therefore, he regarded himself as a protector to defend from new theory of the Han-ju school what prevailed at that times. He wrote [Tae-keuk-dong-jeong-byeon(太極 動靜辨)] and criticized the Han-ju's theory of Tae-keuk with it in the year of Mu-in(戊寅年) right after the meeting what they debated on the matter of Tae-keuk-dong-jeong(太極動靜) with Han-ju. In this editorial, he insisted that Tae-keuk cannot move by itself and should always exist with Eum-yang(陰陽, the Negative&Positive) so that it should not be deal with the movement matter of Tae-keuk separated from Eum-yang. So he refuted that Ri(理) would be empty and abstract if it had been separated from Gi(氣). This is one of traditional and important theoretical base of Toe-gye school so called 'Hap-ri-gi-seol(合理氣說)'. Man-seong criticized the theory of Han-ju with his theory of Myeong-deok(明德說) as a instruction of Jeong-jae who was Man-seong's master. The important significance of Man-seong's theory is; he emphasized the role of Gi(氣) that he placed under the category of Myeong-deok(明德) with even Myeong-myeong-deok(明明德). It is Man-seong's own peculiar idea from the category of methodology(工 夫論). He either emphasized the role of Gi(氣) while emphasizing the indivisible relation of Gi(氣) and Ri(理) in the theory of Nature(心說). This is for the refutation method upon the Han-ju's Sim-jeuk-ri-seol (心卽理說). The main idea of Man-seong's Nature theory is nothing but 'Hap-ri-gi(合理氣)'. That is, he thought it is not possible the concept of Nature can be definite indifferently as far, altough they can deal with the matter of 'Jeuk-ki(卽氣)' or 'Jeuk-ri(卽理)' on the base of 'Hap-ri-gi'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