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중국 고지도가 증명하는 독도 영유권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3.12
26P 미리보기
중국 고지도가 증명하는 독도 영유권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독도연구 / 15권
    · 저자명 : 이명희

    목차

    1. 현재 중국이 독도를 바라보는 시선
    1) 중국이 독도 문제에 관심을 갖는 이유
    2) 독도 문제를 바라보는 중국 각계의 반응
    2. 청대 이전 중국고지도에 표현된 독도
    1) 명대 이전의 중국 지도에 표현된 한국
    2) 명대 중국 지도에 표현된 한국
    3) 명대까지 중국 지도에서 찾아 볼 수 있는 한반도 표현의 특징
    3. 청대 중국 지도에 표현된 한국과 독도
    1)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에 표현된 독도
    2) 『황여전람도』이후의 중국 지도에 표현된 독도
    4. 맺음말

    초록

    중국은 전통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동해 해역에 대한 관심이 적은 편이어서 이 지역에 대한 문헌이나 지도상의 기록이 많은 편은 아니다.
    현재는 독도를 비롯해 한·중·일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역사문제, 영토문제 등이 동북아 정세에 미치는 영향력으로 중국은 이 지역에 초연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중국 정부와 언론 매체 등은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독도에 대해 명확한 논평을 내놓지 않고 비교적 중립적인 입장을 지키고 있으면서 공식적인 표기법은 “獨島(竹島)”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학계와 일반의 사용빈도를 조사한 결과 “獨島”를 좀 더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부 『역대지리지장도(Lidaidilizhizhangtu)』의 「당십도도(Tangshidaotu)」, 『대명혼일도(Daminghunyitu)』, 『광여도(Guangyutu)』경우를 빼고 현존하는 송대부터 명대까지 중국의 고지도에서 한반도의 윤곽이 정확하게 표현되었거나 독도가 표기된 지도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20세기 이전 중국의 지도 중 최초로 독도를 표현하고 있는 것은 18세기 초반에 만들어진 『황여전람도(Huangyuquanlantu)』이다. 이 지도 중의 조선부분은 바로 조선이 청측에 제공한 것이다. 중국에서 목판본 지도를 제작하며 울릉도의 “鬱”이 너무 복잡해 뜻과 발음이 같은 “菀”로 바꾸었고 “于山島”의 경우는 전사 과정의 오류로 “千山島”라 표기했다. 울릉도와 독도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있는 것은 조선에서 가져온 지도의 내용 그대로 그렸을 것이다.
    이런 『황여전람도』의 울릉도와 독도의 표현 방법과 표기 방법은 이후의 지도에도 그대로 영향을 주었다. 청 후기 독도가 표기된 거의 대부분의 『황여전람도』의 영향을 받은 지도라는 점이다. 이 지도들의 경우 19세기까지는 아직 바다의 국경선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바다에 국경선 등을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독도와 울릉도의 경우 일본과 동해를 사이에 두고 조선의 바로 옆에 섬 두 개와 지명을 표기하고 있어 지도를 보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알 수 있도록 했다.
    『황여전람도』는 중국을 대표하는 지도로 조선부분은 조선에서 제공한 지리 정보를 거의 그대로 수용했다. 그 과정에서 울릉도와 독도를 확실히 조선의 영토에 속하도록 표현한 것은 이 지도의 영향이 19세기 중국에서 발간된 다수의 세계지도에도 그대로 이어져 울릉도와 독도가 명확하게 조선의 영토라고 표현될 수 있었던 사실을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ompared to other regions, there are not much literature and maps of Korea in China, since China traditionally had little interest in the sea waters in the East Sea. China has to be concerned with the current situation in Northeast Asia, necessarily because of intertwined historical and territorial issues among China, South Korea and Japan, and it’s impact on China. Therefore,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media are going on a relatively neutral stance to Dokdo without a clear commentary on this issue, while keeping formal notation of “獨島(竹島)”. However,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frequency of using the terms in the academic and general field, “獨島” is preferentially a bit more used than “竹島”.

    There is little map of Sung and Ming Dynasty on which the accurate outlin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Dokdo were marked except for 「Tangshidaotu」 of of 『Lidaidilizhizhangtu』, 『Daminghunyitu』, 『Guangyutu』.

    The first chinese map marking Dokdo before 20th century is 『Huangyuquanlantu』 made in the early 18th century. Chosun’s part of this map was provided by Chosun. In the wooden mapping process in China, the letter, “鬱” of Ulleungdo is replaced by the letter, “菀” in the same pronunciation and meaning, because of its complication. In the transcription process, “于山島” was wrongly changed to “千山島”. The wrong posi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each map was exactly as it was in Korean maps.

    The expression and nota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Huangyu- quanlantu』as an effect on subsequent maps. In the late Qing Dynasty, most maps which marked Dokdo were affected by 『Huangyuquanlantu』

    In these maps, there were no maritime boundaries, because there was no clear concept of the sea border in 19th century. However, there were written and marked the two islands, Dokdo and Ulleungdo on East Sea closer to Chosun than Japan so that anyone looking at a map knew Ulleungdo and Dokdo were Korean territory.

    『Huangyuquanlantu』is a typical chinese old map which accepted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provided by Chosun. In the mapping process, the clear expression and notation of Ulleungdo and Dokdo as a Korean territory in this map has a long-lasting influence on the many maps made in China in the 19th century. In this regard, 『Huangyuquanlantu』is of great value to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