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및『태정관지령』과 독도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4.12
35P 미리보기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및『태정관지령』과 독도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독도연구 / 17권
    · 저자명 : 정태만

    목차

    1. 머리말
    2.

    초록

    에도시대의 ‘죽도도해금지령’과 ‘독도 조선령’ 인식은 그 후 메이지(明治)시대에 들어 외 무성의

    영어초록

    In Edo era, Japanese government recognized Dokdo as Chosun’s territory and banned the sailing to Takeshima. That recognition led to the Secret Investigation Report on Chosun(朝鮮國交際始末內探書, 1870) of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Dajokan Directive(太政官指令, 1877) of Dajokan, the highest national institution of Meiji government, in the beginning of Meiji era.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ese Meiji government confirmed that Dokdo was Chosun’s territory regarding Dokdo as ‘neighboring island of Ulleungdo’ in Meiji year 3. In Dajokan Directive, Meiji government recorded Dokdo under the name of ‘Ulleungdo and one other island’ and reconfirmed it as Chosun’s territory in Meiji year 10.
    The Secret Investigation Report on Chosun of 1870 and Dajokan Directive of 1877 were the result of geographic recognition which regards Dokdo as an annexed island of Ulleungdo, and Dajokan Directive reconfirmed the fact that “Ulleungdo and Dokdo were confirmed as Chosun territory during the Ahn, Yong Bok Incident”. As Takeshima Issue Study Group of Shimane Prefecture asserts, this was not due to confusion or error of the Japanese name on Dokdo. Dajokan Directive put an end to historic dispute regarding the Dokdo Sovereignty. In 1877, Dajokan, the highest national institution of Meiji government, ordered Shimane Prefecture “not to record Ulleungdo and Dokdo as land of Shimane Prefecture” by way of Department of the Interior, the government institution in charge of territory. Japanese Meiji government announced Korean sovereignty of Dokdo by recording Dajokan Directive in Dajoruiten, the official gazette.
    Since Dajokan Directive was made public by the conscientious Japanese scholar in 1987, Dajokan Directive has been studied mainly by Japanese scholars. On the other hand, Korean scholars’ study is not sufficient. Moreover, Dajokan Directive has been undervalued by most Korean scholars.
    Japanese who insist that Dokdo is Japanese territory are focusing all their efforts on stubbornly claiming that Dajokan Directive has nothing to do with Dokdo. Considering this, Korean researchers have to utilize Dajokan Directive as an important point of argument in Dokdo controversy. Dajokan Directive would be conclusive evidence in judging territorial belonging not only in historical aspect but also under international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