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메이지 시대 문헌에 나타난 울릉도와 독도인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5.12
43P 미리보기
일본메이지 시대 문헌에 나타난 울릉도와 독도인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독도연구 / 1권
    · 저자명 : 윤소영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메이지 초기의 울릉도와 독도 문제
    3. 일본 지식인들의 울릉도와 독도 인식
    4. 지도에 나타난 울릉도와 독도
    5. 맺음말

    초록

    본 논문은 이제까지 선행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메이지 시대 문헌들을 중심으로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인식의 한 단면을 살펴 본 것이다. 독도의 일본에 대한 역사적 영유권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울 릉도와 독도를 분리하여 울릉도는 조선의 영토였으나 독도는 일본의 영 토였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이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는 근대국가형 성기에 과연 이러한 인식을 뒷받침해주는 근거가 있었는지를 밝히지 않 으면 안 될 것이다. 본 논문은 메이지시대의 울릉도와 독도 인식은 전 통시대와 마찬가지로 울릉도를 중시하였을 뿐으로, 울릉도개척논의는 존재했으나 독도를 단독으로 주시한 견해는 보이지 않는다는 점, 당시 메이지 지식인의 언설에서 볼 때 울릉도와 독도를 동해상에 위치한 두 섬으로 인지하고 있었고 이를 따로 떼어 인식하지는 않았다는 점, 메이 지 시대 이전과 이후의 지도자료를 통해 볼 때 울릉도와 독도를 모두 일본의 영토로 간주한 지도도 있지만 이 두 섬을 조선의 영토로 간주한 지도, 혹은 아예 울릉도와 독도가 표시되지 않은 지도가 존재했으며 메 이지 시대 지도에도 독도를 일본의 영토권 내로 표시한 지도는 없었음 을 밝혔다. 이러한 사실은 배타적 영토관념이 희박했던 시대에 독도에 대한 관심이 불명료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즉, 이러한 자료를 통해 볼 때, 1905년 독도를 시마네현에 영토편제하기 이전인 19세기 후반기에

    영어초록

    Korea claims that it holds dominion over Dokdo historically and so does Japan. But as far as historical records are concerned,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island are rarely found. We can only get those about Ulleungdo. It is because that in the latter, people can live and do fishing, but the former is just a sunken rock. Dokdo was neglected before the modern age when the idea of territories between nations were not definitely established. Though Joseon knew its existence over Ulleungdo, it did not try to confirm the island is its own. Coming over there by boat from Oki island in Japan and doing fishing, the Japanese saw it just a rock island that they would go through on the way to and from Ulleungdo. Though there remain non official records on Dokdo, Japan's government had no interest in it. Accordingly Japanese allegation has its limit to prove the dominion over the island, based on the literature.
    Considering such limits,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both countries dealt with this problem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respectively. I will try to look into Japanese intellectuals percep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the Meiji period, based on the Japanese maps and literature which has been neglected or not referred to until now.
    The result runs as follows. Japan was pushing forward policies to expand its territory by gaining the neighboring regions in the 1870s. At that time the Japanese keeping their eyes upon Ulleungdo, there was a lively discussion on cultivating the island. But with the island being identified as Joseon's territory, the debate has fallen through. Under the circumstances, no one took notice of Dokdo. If Japan wants to insist upon its claim on the island, there must be any document in the Meiji period where Japan saw Dokdo as its territory and the perception must be succeeded. In the Meiji period, however, the government and the intellectuals in opposition always regarded the two islands as one. Thus we can not find any indications that the Meiji government and the intellectuals saw Dokdo as their territory.
    Each Japanese map made in this period were not always the same as the others, also. There was a map made in Joseon, in which Ulleungdo was included in our territory, though, I could not find any Japanese map including Dokdo in its own. Newly colonized Taiwan and Hokkaido which was incorporated by policies of expanding its territory were identified on the Japanese maps published after prefecture’s incorporation of Dokdo in 1905.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Korea and Japan to claim their dominion over the island respectively only through the literature and maps. There are a few indications that we should not fail to notice; As indicated in the earlier studies, Japan officially expressed that 'Ulleungdo and an island(一島) does not belong to it' through Daijoukan(太政官)'s notice. The people of Joseon called the island Dokdo before 1904 as shown in the Japanese records. Sokdo(石島) reverted to Uljin prefecture(울진군) in 1900 was the Chinese notation of a rock island (돌섬), according to the dialect of Chonra province(全羅道). Based on these indications, Dokdo is proved to have been regarded and established as Joseon's territory before Shimane prefecture's incorporation of it on the pretext of its being uninhabited. In addition to these, it was Ulleungdo, not Dokdo, that the Japanese intellectuals took notice of, even when Japan was pushing forward to expand its territory and the actual investigation was done in the early days of the Meiji period. It proves that it is unreasonable for the Japanese to claim its dominion over Dokdo.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