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金誠一 招諭 활동의 배경과 경상우도 義兵 봉기의 함의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4.03
34P 미리보기
金誠一 招諭 활동의 배경과 경상우도 義兵 봉기의 함의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41권
    · 저자명 : 허태구

    초록

    이 논문은 慶尙右道 義兵 봉기의 배경, 金誠一이 작성한 招諭文의 역사적 특징, 招諭 활동의 정치적 함의와 기여를 중앙과 지방의 갈등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재고찰한 연구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진왜란 初戰의 무력한 패배를 초래하는 데 일조한 경상도 지역 민 심 이반의 근본적 원인은 수령들의 무능과 비겁 때문이라기보다는 전쟁 이 전 적극적 군비 확충을 시도한 중앙 朝廷에 대한 지역민의 반발 때문이었다. 초반 전황이 극도로 불리한 상황 속에서 조정은 탄탄한 지역 기반을 가진 재 지 사족층(在地士族層)에게 손을 내밀지 않을 수 없었다. 역설적이었던 것 은, 조정이 적극적으로 활용하려고 한 경상도 재지 사족층의 잠재력에는 그 들이 불법으로 탈점한 토지, 노비로 위장하여 거느린 농민, 마땅히 수행해야 할 軍役을 회피하는 데 성공한 사족 일부가 포함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 한 것들은 임진왜란 敗因의 하나로 흔히 언급되는 軍政 문란을 포함한 失政 의 결과물이었다. 둘째, 김성일의 초유문은 지역민을 결집하고 의병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따라서 초유의 대상인 경상도 지역의 士와 民을 가장 적절하게 설득하기 위한 논리와 내용으로 구성되었는데, 여기에는 階序的 신분 구조와 華夷觀과 같은 당대인들의 특징적인 心性이 반영되어 있었다. 초유문은 크게 보아 義理와 利害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지역민을 설득하고 자 하였다. 셋째, 중앙 조정은 안동 출신의 명망 있는 前職 高官이자 南冥學派와 긴밀 한 유대가 있는 김성일에게 招諭使의 職名을 제수하여 경상우도에 파견하였 다. 김성일은 의병의 봉기를 장려·보장함으로써 武裝 起義할 경우 반란 세력 으로 오인 받을 수 있다는 재지 사족의 우려를 拂拭시켰고, 도주·관망 상태 에 있던 지방관과 지역민을 결집하여 저항의 장으로 이끌어 내는 데 성공하 였다. 나아가, 그는 전쟁 발발 이전부터 누적된 갈등의 연장선상에 있던 관 군과 의병의 충돌을 적절히 타협·조정하였다. 경상우도 의병의 봉기는 지역 의 방어뿐만 아니라, 이반된 민심을 돌이키는 데 성공함으로써 일본군의 宣撫 공작과 원활한 현지 조달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 를 갖는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first how a righteous militia movement was formed in the Gyeongsang Wu-do(慶尙右道, Western Gyeongsang) province, then what wa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all for troops” document (Cho’yu-mun, 招諭文) written by the renowned scholar-official Kim Seong-il(金誠一). Contemplated in this study are the political meaning as well as aspects of contribution displayed by such Cho’yu(招諭) efforts, amidst a situation in which conflicts were continuing between the central region and local area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population of the Gyeongsangdo region refusing to cooperate with the Joseon government’s war effort which led to dismal defeats for the Joseon troops in the early stage of the war, was actually not the incompetence and cowardice of the local prefects but was rather the local population’s resistance to the central government’s pre-war efforts designed to increase revenue so that the government would have more funding for national defense When the Joseon forces continued losing, the government had no other choice but to ask the wealthy local gentry class for financial support. The potentials of the local gentry clas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wanted to exploit ironically included land units obtained illegally, peasants disguised as slaves, and some Sajok figures who evaded military drafting, which were all part of the government’s failure to maintain a level of integrity, and also why the Joseon forces found themselves so helpless in an enemy invasion. Second, Kim Seong-il drafted the Cho’yu-mun document to mobilize the local population, and encourage them to join the righteous militia movement. The document is filled with comments designed to persuade the population either high and low in the Gyeongsang-do region. The reality of the society, as well as the people’s perception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are well reflected in the document. Kim Seong-il tried to enlist the cooperation of the public by citing two things: the preservation of the cause(義理) and the prospect of interest(利害). Third, the central government appointed Kim Seong-il, who was from Andong and also an ex-governmental official that had quite a reputation and also a connection with the Nam’myeong School(南冥學派), as the Cho’yu-sa(招諭使) official and dispatched him to the Gyeongsang Wu-do region. Kim Seong-il assured that the local gentry members who joined the righteous militia would not be accused or misunderstood as a faction of armed insurrection, and finally he succeeded in mobilizing local officials and local residents who were either on the run or merely standing by. He was also successful in mediating and resolving the years worth of conflict and dissension between the Joseon official army and the righteous militia, which had been rising since even before the war. The rise of the Gyeongsang Wu-do righteous militia not only elevated the level of defense in local regions but also succeeded to evoke the public’s loyalty, which later prevented the Japanese troops from seducing the local population and securing provisions from Korean region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