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작업치료(학)과 임상실습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4.09
20P 미리보기
작업치료(학)과 임상실습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22권 / 3호
    · 저자명 : 이향숙, 장기연, 우희순, 윤여용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전국 작업치료학과 임상실습체계조사
    2. 작업치료(학)과 교수와 임상실습교육자를 통한 임상실습 전 준비기술과 초임작업치료사 준비기술 조사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국내 작업치료(학)과 임상실습 체계
    2. 임상실습 전 준비 기술/초임작업치료사 준비기술 중요도 분석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초록

    목적:본 연구는 전국의 작업치료(학)과 및 작업치료 임상가를 대상으로 임상실습 체계를 조사하여 학생들이 적정한 질적 수준의 직무 중심 임상실습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임상실습을 표준화하고, 이를 통해 임상실습지침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3년 8월부터 2014년 4월까지 2013년 전국의 작업치료(학)과와 작업치료 임상실습 기관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체계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2013년도에 시행된 작업치료사 직무분석 자료를 기초로 임상실습에 필요한 준비 기술과 초임작업치료사에게 필요한 준비 기술의 중요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결과:본 임상실습 체계조사에 38개 대학이 참여하였다. 평균 임상실습 시간은 3년제 517.2시간, 4년제 983.5시간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의뢰 기관수는 재활병원, 대학병원 순으로 많았으며, 성인지체장애 대상 기관이 전체 실습지의 66.8%를 차지하였다. 임상실습에 필요한 준비 기술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4.5점 이상(5점 만점) 높게 나타난 항목은 교수 응답의 경우 평가 14개 항목, 중재 2개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교육자는 평가 3개 항목, 중재 2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평가 18개 항목, 중재 1개 항목이었다. 초임작업치료사에게 필요한 준비 기술의 중요도 조사 결과 4.5점 이상 높게 나타난 항목은 교수 응답의 경우 평가 23개, 중재 30개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교육자는 평가 14개, 중재 25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평가 20개 항목, 중재 8개 항목이었다.결론:임상실습의 시행에 있어서 학제간 실습 시간의 차이가 크며, 성인지체장애의 실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 영역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술에 대한 인식이 작업치료학 교수와 임상실습 교육자 간에 차이가 크므로 양쪽의 의견을 적절히 반영한 임상실습지침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작업치료 영역에 따라 중요 기술이 차이가 나므로 각 분야에 대한 임상지침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the basic standards for clinical training guidelines to receive a proper quality level of on-site clinical training education by investigating a system of clinical training for a nationwid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nd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A survey regarding a system of clinical training was conducted in a nationwid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nd at an institution of clinical occupational therapy from August 2013 to April 2014. Based on the job analysis data from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eparation technique, and its importance, required for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Results:Thirty-eight colleges and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clinical training system survey. The average time of the clinical training is 517.2 hours in colleges and 983.5 hours in universities. University hospitals have the largest number of clinical training institutions, followed by rehabilitation hospitals. In addition, disabled adult institutions make up 66.8% of the total number of clinical training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 in the use of a preparation technique show that the number of items scoring higher than 4.5 points (on a 5-point scale) are 14 for the evaluation items and 2 for the intervention items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professors surveyed, and 3 for the evaluation items and 2 for the intervention items based on the responses from the clinicians. In the two group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19 of the evaluation items and 1 of the intervention items. The results of the preparation techniques of newly appointed occupational therapists show that the items scoring higher than 4.5 points (on a 5-point scale) are 23 for the evaluation items and 30 for the intervention items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professors, and 14 for the evaluation items and 25 for the intervention items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clinicians. In the two group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20 of the evaluation items and 8 of the intervention items.Conclusion: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disciplinary training times when implementing a clinical training program. There is large difference between professors and clinicians in terms of which techniques are important in the area of occupation therapy. The development of clinical training guidelines reflecting the opinions of both sides is neede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ccording to each field is needed because there is big difference in the important techniques used in the areas of occupational therap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작업치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