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한국 실존주의와 현대조각 : 오종욱(吳宗旭) 조각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1.06
16P 미리보기
1960년대 한국 실존주의와 현대조각 : 오종욱(吳宗旭) 조각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이론과 현장 / 11권
    · 저자명 : 김광호

    목차

    Ⅰ. 머리말
    Ⅱ. 1960년대 시대적 상황과 실존주의
    Ⅲ. 조형세계의 형성
    1. 오종욱 조각의 기저
    2. 구상적 인체 탐구와 금속재료의 도입
    3. 심리적 표현의 상징성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영어초록

    If the fine arts based on the European Existentialism after the Second World War had started saying‘ no’ about all that is humane, asked the meaning of ‘existence’ from the‘ no’, and expressed‘ essence and reality’ of human, the Korean fine arts accepted psychological responses about the absurd situations being the reality of the times of the 4․19 revolution and the 5․16 military coup in the 1960s after the Korean War as the universal dimension of the human spirit. The Korean artists started to accept Existentialism from the 1950s, which appeared actively in the early 1960s, and especially intellectual-oriented Existentialism was a representative of the times. In those days, younger generations gained their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at first hand, and revealed political and social negation and challenge of all existing values with the oppressed mood. Their essential expressions began with the existential question and rebellious violence which were shared with the writers of younger generation who tried to correspond existential situation and consciousness of heated lives on their own art. If Europeans after the Second World War had found the answer about serious question like "Who Am I ?" in the form of Existentialism, the Koreans tried to find the answer about their own lives in absurd situation of the times after the Korean War. The Sculptures of Oh Jongwook also changed in the 1960s through his selfconsciousness of the social situation and war experience. The tragedy of the human death appearing remarkably among his sculptures was expressed as a part of the heated lives of the absurd social conditions in those days. His main style was iron-welding. Because of his sensitive response on the condition of the times, the works of molding expressing the death appeared in those of Choi Manlin, Ko Youngsoo, and Shin Sukpil. In Europe, the absurdity of the humanbeings in the sculptures of Germaine Richier and Ce'sar Baldacchini was symbols of pain, isolation and fear.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